메뉴 건너뛰기

close

염홍철 대전시장.
 염홍철 대전시장.
ⓒ 오마이뉴스 장재완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정부가 내세우고 있는 '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 대덕R&D특구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지정되어 있는 대전이 최적지라며 정부에 이와 관련된 사업을 제안할 것이라고 염홍철 대전시장이 밝혔다.

염 시장은 3일 오전 대전시청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국정핵심과제 조기 실현과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대덕특구 창조경제 전진기지 조성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염 시장은 이 자리에서 "대덕특구를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만들기 위한 타당성과 조성전략, 구체적인 사업계획 등이 담긴 제안서를 4월 중에 정부에 제출할 계획"이라며 "대전은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40년간의 연구개발 노하우와 카이스트 등 5개 대학, 30개의 정부 출연연구소, 2만여 명의 석·박사, 1300여 개의 기업 등 창조경제 조기실현을 위한 인프라가 이미 구축되어 있어 '창조경제 전진기지의 최적지'"라고 말했다.

염 시장의 설명에 따르면, 창조경제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서는 현재의 대덕특구에 있는 인프라를 활용하면서 부족한 ▲ 과학기술과 접목한 창업 촉진 ▲ 창업기업의 생존율 제고 등을 위한 산-학-연-정 네트워크 ▲ 대학, 연구소 등의 기업가정신 교육, 창업 인큐베이터 등 연관 인프라 ▲ 부족한 산업용지 ▲ 기업체, 연구소 종사자들의 주거환경 및 문화시설 등을 보완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대덕특구를 국가와 대전이 함께 기존의 인프라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대전시는 이러한 목표를 실천하기 위해 창조경제 전진기지를 1단계 창조적 아이디어·상상력 발굴, 2단계 과학기술과 아이디어 접목, 3단계 창업 활성화, 성장 지원, 4단계 창조경제 인프라 구축 등의 단계별로 나누어 조성하고,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다양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조성 또는 구축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대전시는 이러한 단계별 추진 과제 24개를 예시로 제시하기도 했다.

염 시장은 "창조경제 전진기지는 대덕특구 어느 한 곳에 건물 몇 개를 짓는 개념이 아니다, 대덕특구 2000만 평 전체를 창조경제 전진기지로 삼아야 한다"며 "창조경제가 일자리를 만드는 게 아니라 아이디어가 일자리다, 대덕에 널려있는 아이디어를 일자리로 만들어내는 것, 그것이 바로 창조경제 전진기지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염 시장은 또 '창조경제'의 개념이 모호하다는 언론의 지적이 있다면서 "창조경제는 이미 1900년대 말 영국에서부터 논의가 있었고, 2001년 존 호킨스가 쓴 '창조경제(The Creative Economy'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로 제조업과 서비스업, 유통업, 엔터테인먼트 산업 등에 활력을 불어 넣는 것'이라는 정의가 나오면서 논의가 시작됐다, 결코 어느 날 뚝 떨어진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 대통령도 대선후보가 되기 전 부터도 '창조경제'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우리나라는 자원이 없이 때문에 지식을 자본으로 하는 지식경쟁력을 국가경쟁력으로 만들겠다고 생각해 정부의 중요정책으로 창조경제를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면서 "따라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념에 대해 이제 와서 논쟁을 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고 잘라 말했다.

이러한 설명에 대해 '대전이 창조경제의 전진기지가 된다면 미래창조과학부는 과천이 아닌, 대전으로 오는 게 타당하지 않느냐'는 질문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염 시장은 "미창부는 당연히 우리 지역으로 와야 한다"며 "다만 제가 파악하기로는 현재는 세종시에 미창부가 들어갈 공간이 없기 때문에 우선 공간이 비어있는 과천으로 정하고, 내년 말 세종시에 공간이 마련되면 그 때 세종시로 이전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미 세종시와 관련된 법에도 그렇게 반영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새누리당 박성효 의원이 주장하고 있는 엑스포과학공원에 미래창조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원칙적으로 찬성한다"고 답했다.

염 시장은 "국가가 어떤 용도로든지 엑스포 과학공원을 국가정책과제로 사용하여 재창조해 준다면 그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고, 찬성한다"며 "설사 창조경제가 아닌 다른 것이라도 가리지 않고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우리의 경험으로 지난 20년 동안 중앙정부가 지원을 하지 않았는데, 지금에 와서 수천억 원을 들여서 재창조시켜줄 것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있다"며 "1년에 100억 원의 적자가 나고 있는데, 정부만 바라보고 있을 수 없지 않느냐, 그래서 민간자본을 끌어들여 재창조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롯데테마파크 조성계획의 타당성을 강조하면서도 염 시장의 2014년 대전시장 선거의 잠정적 경쟁자인 박성효 의원의 주장을 한 마디로 일축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그러면서 염 시장은 "어떤 분은 과학공원에 무슨 놀이시설이냐 하고 말하는데, 공원에 아이들 놀이시설이 들어서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닌가, 이미 지난 20년 동안 꿈돌이랜드가 운영되어 왔다"며 "그런데 이제 와서 우리가 민간 자본을 유치해서 놀이시설을 만들면 왜 안 된 말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염 시장은 끝으로 "이 사업을 중앙정부에 제안하는 것은 국가발전을 위한 애국심에서 기초한 것"이라며 "왜 대덕인가하는 분명하고 타당한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리고 꼭 필요한 일이기에 정부에 제안서를 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염홍철, #대전시, #창조경제, #창조경제 전진기지, #대덕특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