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 중구 정동 정수장학회 사무실 입구
 서울 중구 정동 정수장학회 사무실 입구
ⓒ 조재현

관련사진보기


재단법인 정수장학회가 최필립 이사장의 후임으로 김삼천 전 상청회 회장을 선임했다. 상청회는 정수장학회 장학금을 받은 졸업생들의 모임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연관이 깊은 상청회장 출신이 정수장학회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되면서, '정수장학회를 사회에 환원했다'는 박 대통령의 말이 무색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수장학회 관계자는 28일 <오마이뉴스> 기자에게 "지난 27일 이사회를 열어 김삼천 전 상청회 회장을 신임 이사장으로 선임했다"며 "오늘 중으로 서울시교육청에 신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임 김삼천 이사장은 대구 출신으로 영남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뒤 방림방적에서 기업인 생활을 시작했다. 2005년부터 2012년까지(26~27대) 상청회장을 역임했고, 한국문화재단에서 2009년 9월부터 지난해 재단이 청산 절차를 밟기 전까지 감사를 맡았다.

김 이사장은 박 대통령과도 인연을 맺고 있다. 그가 감사를 지낸 한국문화재단은 박 대통령이 32년간 이사장을 지낸 곳이다. 또한 김 이사장은 박 대통령이 국회의원 신분일 때 매년 500만 원의 고액 후원금을 냈고, 상청회장을 지내는 동안에도 회장 자격으로 후원했다. 500만 원은 개인이 낼 수 있는 정치후원금 최고 한도다.

그가 몸담은 상청회 역시 박 대통령과 관련이  깊다. 3만8000여 명에 이르는 상청회 회원 중 박 대통령 측 주요 인사로는 원로자문그룹인 '7인회' 멤버인 김기춘·현경대 전 의원이 있다. 박 대통령이 대선 후보일 당시 캠프에서 활동한 최외출 영남대 교수, 박선영 전 의원 등도 회원이다. 이를 두고 지난 대선 기간 당시 '상청회가 사실상 박 후보의 외곽 지원단체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새 이사장 선임 두고 '비판' '실망' 목소리 나와

박정희 전 대통령과 육영수 여사의 이름을 딴 정수장학회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유신장물'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그러자 대선 후보 당시 박 대통령은 "이미 사회에 환원했다, 나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히며, 자신과 인연이 깊은 최필립 전 이사장에게 사실상 사퇴를 요구했다. 그럼에도 정수장학회가 또 다시 박 대통령과 직·간접적 관계를 맺어온 인물을 정수장학회 새 이사장으로 선임한 것이다. 

이번 정수장학회 새 이사장 선임으로 정수장학회 사회환원 논란은 당분간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 등 SNS에는 "그 놈이 그 놈이네", "완전히 공익법인으로 재탄생시켜야 할 정수장학회 이사장에 상청회 출신이 웬 말?"이라는 비판 글이 올라왔다.

정수장학회 소유인 <부산일보>는 이번 인사를 비판하고 나왔다. 이승욱 부산일보 노조 부지부장은 "많은 분들이 객관적인 인물로 존경할 수 있을 만한 분이 선임되기를 바랐는데, 누가 보더라도 박 대통령과 개연성이 깊은 분이 이사장이 된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태그:#정수장학회, #김삼천, #박근혜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