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해우재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안내를 하고 있는 이연숙 팀장
 해우재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안내를 하고 있는 이연숙 팀장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수원시 장안구 이목동 186-3에 소재한 해우재. '근심을 푼다'라는 뜻을 가진 해우소에서 이름을 딴 해우재는, 심재덕 전 수원시장의 집이었다. 2007년 11월 11일 완공된 해우재는 2009년 유족들이 고 심재덕 전 수원시장의 유지에 따라 수원시에 기증하였다. 2010년 수원시는 해우재를 화장실 문화전시관으로 전환하였고, 지난해 화장실 문화공원으로 개장한 바 있다. 3월 27일 해우재를 찾아 '화장실을 홍보하는 여인' 이연숙 팀장을 만났다.

"사람들이 저희 해우재에 들리시면 먼저 웃기부터 하십니다. 입구에 있는 응가하는 소년을 보고요. 그리고 해우재 안으로 들어오면 더 많은 웃음을 웃죠. 어머니들은 조형물에 아이를 먼저 올려보내려고 다투기도 하십니다. 정말 재미있는 일이죠."

(사)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 기념사업회의 기회홍보팀장을 맡고 있는 이연숙(여·38) 팀장의 말이다. 이연숙 팀장은 2010년 10월 30일 해우재가 처음으로 개관할 때, 해우재에 서 지금 홍보팀장의 자리로 함께했다. 이연숙 팀장이 하는 일은 전시운영과 행사기획, 홍보 등이다. 그리고 관람객들이 단체로 들어오면 친절하게 안내도 맡아 한다.

안내하는 방법도 색달라

세계 최초 화장실 문화공원 안의 변기모양 전시공간인 해우재
 세계 최초 화장실 문화공원 안의 변기모양 전시공간인 해우재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이연숙 팀장이 안내하는 데는 나름대로 노하우가 있다고 한다. 일반인들하고 기업이나 공무원들이 단체로 왔을 때, 판에 박은 설명을 하면 안 된다는 것.

"저는 일반인들이나 아이들이 오면 '걸리버 여행기'를 보았느냐고 먼저 물어보죠. 그리고 걸리버 여행기의 거인나라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변기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면 모두 신기해하죠."

이연숙 팀장의 안내를 받은 사람들은 상대에 맞추어 안내하기 때문에 지루하지가 않아서 좋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상대방의 눈높이를 맞춘 안내라는 것. 기업이나 공무원들이 단체로 방문할 때면 '화장실 문화운동의 메카 해우재를 찾아주셔서 고맙다, 여러분은 지금 세계 최초의 화장실을 소재로 한 문화공간을 둘러보고 계시다'등의 이야기를 한다고.

자신이 근무하는 해우재에 대한 사랑도 남다르다. 그리고 이곳에서 근무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자부심도 대단하다.

많은 행사를 준비하고 있어

(사) 미스터통일렛 심재덕 기념사업회 기획홍보팀장 이연숙(38)씨
 (사) 미스터통일렛 심재덕 기념사업회 기획홍보팀장 이연숙(38)씨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동안 어떤 행사를 했느냐고 묻자. 지난해 개관 2년을 맞아 유치부와 초등부의 '똥'을 주제로 한 그림대회를 열어, 그중에 수상작들을 전시하고 있다는 것. 그리고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20여 명의 해우재 어린이기자단을 선정해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어린이들에게 해우재 어린이 기자증과 볼펜 등을 줍니다. 이번에는 기자수첩도 준비했어요. 어린이 기자들이 공중화장실 등을 다니면서 나름대로 느낀 점을 기사로 올리고는 하죠. 그런 것이 깨끗한 화장실 가꾸기에 많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올해는 5월 4일에 제3기 해우재 어린이기자단의 발대식을 할 예정이란다. 올해는 수원관내의 100여 개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5~6학년의 학생 중에서 신청을 받아, 25명 정도를 기자로 임명할 예정이란다. 5월 5일에는 작음악회 등 어린이날 행사를 갖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내년에는 심재덕 전 수원시장님이 타계를 하신 지 5년입니다. 그래서 나름대로 큰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우선은 매년 1월 14일에 하던 시장님의 추모식을 좀 큰 행사로 할 생각입니다. 음악회와 화장실에 대한 학술대회도 열 생각입니다. 그리고 아직은 미정이지만 화성박물관을 이용한 특별전도 열어볼까 합니다."

해우재 고 심재덕 전 수원시장의 흉상 옆에서 포즈를 취하는 이연숙 팀장
 해우재 고 심재덕 전 수원시장의 흉상 옆에서 포즈를 취하는 이연숙 팀장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아직 2% 부족한 문화공간, 더 많은 것이 필요해

아직은 화장실문화공원 해우재가 조금은 부족한 듯하다고.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들면 해우재 안이 비좁아, 아이들이 마음대로 뛰어놀 수가 없어서 답답해한다고 한다.

"문화센터가 꼭 필요한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죠. 저희는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게 합니다. 그저 뛰고, 웃고, 즐기다가 보면 저절로 공부되는 것이죠. 그리고 배변에 대해 더 많은 공부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체험하면서 스스로 깨우치는 것이 좋은 공부가 되죠. 교육을 위한 체험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화센터가 생기게 되면 많은 곳에서 벤치마킹하러 올 테고, 그러다가 보면 해우재가 관광과 교육, 연구, 산업 등으로 저절로 연계가 될 것이라고 한다.

"해우재는 변기처럼 생긴 조형물입니다. 그런데 위에서 보아야 그렇게 보이죠. 지금은 해우재를 내려다볼 수 있는 곳이 없어서 사람들이 사진을 보고는 합니다. 해우재 곁에 전망대처럼 위에서 내려다볼 수 있는 조형물을 하나 세웠으면 합니다. 많은 분들이 그런 지적을 하시죠."

사람들에게 해우재를 더 많이 알리고 싶어 하는 이연숙 팀장. 아마도 끝없는 발전을 위한 욕심이 있어, 이곳에서 근무하기를 정말 잘했다고 생각을 하는가 보다. 화장실을 홍보하는 여인 이연숙 팀장. 그녀가 있어 해우재를 찾아오는 사람들이 즐겁단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e수원뉴스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이연숙, #해우재, #화장실문화공원, #기획홍보팀장, #(사) 미스터토일렛 심재덕 기념사업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