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프랑스, 베네수엘라 대선 투표율 80%대, 우리는?

올해는 세계적으로 유난히 선거가 많은 해다. 지난 5월 6일에는 프랑스 대선 결선투표가 있었다. 1차 투표에 이은 결선 투표에서의 투표율은 80.34%였다고 한다. 10월 7일 치러진 남미 베네수엘라 대선의 투표율은 80.94%였다고 한다. 지난 베네수엘라 대선 때의 74.69%보다 높아졌다. 이처럼 유럽과 남미의 대선 투표율이 80% 전후를 오가고 있는데 우리는 어떤가? 과연 올해 12월 19일 한국에서 치러질 18대 대선 투표율은 어떻게 나올까?

우리나라 역시 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 투표 시점까지만 해도 대체로 80% 이상의 국민들이 투표에 참여했다. 2002년 대선까지는 그래도 70%까지는 투표를 했다. 그러나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되던 2007년 대선에서는 유권자의 3분의 2도 안 되는 63%만이 투표를 했다.

프랑스 등과 비교하면 거의 20% 가까운 투표율 차이다. 이는 심각한 정도를 넘어선다. 20대 후반 연령대는 42.9%밖에 투표를 하지 않았다. 절반이 훨씬 넘는 20대 후반 유권자는 투표 자체를 포기했다는 얘기다. 선거관리위원회나 정치권이 이런 상황을 손 놓고 바라보는 것이 납득이 안 될 정도이다. 

우리나라는 1997년까지도 80%대의 대선 투표율을 기록했지만, 이후 투표율은 점차 낮아져 지난 2007년 대선에서 63.0%라는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다.
▲ 역대 대선 투표율 변화 우리나라는 1997년까지도 80%대의 대선 투표율을 기록했지만, 이후 투표율은 점차 낮아져 지난 2007년 대선에서 63.0%라는 최저 투표율을 기록했다.
ⓒ 새사연

관련사진보기


그나마 지난 4월 11일 치러진 총선에서 2008년 총선 투표율 46.1%보다 높은 54.3%의 투표율을 기록했지만, 이 역시 대한민국 헌정사상 두 번째로 낮은 총선 투표율일 뿐이었다. 심지어 2010년 지방선거 투표율 54.5%보다도 낮다.

70% 투표율 달성하려면, 750만 명이 더 투표할 수 있어야 해

4·11 총선에 비추어 볼 때, 이번 대선에서 다소 투표율이 오를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다. 하지만 투표율 70%를 달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는 분위기다. 지난 6월 18일 한국일보가 30명의 정치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올해 대선 예상 투표율은 68.1%였다고 한다.

올해 대선에서 70% 이상의 투표율이 나오려면 지난 총선보다도 최소 750만 명 이상의 유권자가 투표장에 가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까? 선거운동에서부터 투표에 이르기까지 과정에서 많은 참여 방법들이 제안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투표율을 올릴 수 있는 가장 간단하고 확실한 방법이 바로 투표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다. 

그래서 제안한다. 그리고 요구한다.  

"18대 대통령선거, 저녁 9시까지 투표시간 연장하자!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새사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김병권 기자는 새사연 부원장입니다.



태그:#2012 대선, #투표율 , #투표시간 연장
댓글

새사연은 현장 중심의 연구를 추구합니다. http://saesayon.org과 페이스북(www.facebook.com/saesayon.org)에서 더 많은 대안을 만나보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