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한항공(KAL)과 현대중공업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매각 본입찰에 참여한 가운데, KAI노동조합은 '부실자본·투기자본의 인수참여 반대'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8일 한국항공우주산업노동조합 비상투쟁위원회는 언론사에 배포한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노조는 "자주국방·항공산업을 위협하는 민영화를 중단하라"고 밝히며 투쟁 수위를 높이고 있어 앞으로 갈등도 예상된다.

KAI 민영화는 정책금융공사가 주도하고 있다. 전체 주식 가운데 41.75%를 매각하는데, 정책금융공사가 보유한 지분(26.4%) 가운데 11.41%와 삼성테크윈(10%), 현대자동차(10%), 두산그룹(5%), 오딘홀딩스(5%), 산업은행(0.34%)의 주식이다.

경남 사천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 공장 전경.
 경남 사천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국항공우주산업 공장 전경.
ⓒ 한국항공우주산업

관련사진보기


정책금융공사·삼성·현대차·두산 등 4개사 주주협의회는 지난 5일 본입찰 적격자로 대한항공·현대중공업을 선정했다. 1차 매각에서는 대한항공만 참여해 유찰됐는데, 2차 매각 때 현대중공업이 참여해 경쟁이 벌어진 것이다.

대한항공·현대중공업은 조만간 군당국으로부터 '비밀취급 인가'를 받은 뒤 예비실사를 거치게 된다. 정책금융공사는 올해 안으로 매각 절차를 마무리 짓는다는 계획이다. KAI의 지분 매각대금은 1조 원이 넘는데, 입찰에 참여한 두 업체가 어떻게 자금을 조달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다.

KAI노조 "부실자본·투기자본의 인수 참여 반대"

이런 속에 한국항공우주산업노동조합은 '매각주체에 대한 요구사항'을 제시했다. 노조는 '부실자본·투기자본의 인수 참여 반대'를 요구했는데 "과도한 부채비율과 부채보유 기업의 인수참여 제한, 일정비율 이상의 부채비율 보유시 입찰 대표자로서의 입찰참여배제, 경쟁업체의 대표컨소시엄자로서의 입찰참여배제"를 요구했다.

'방위산업의 공공성 확보'를 강조한 노조는 "정부지분의 일정비율 이상 보유 의무화, 주요 경영결정사항에 대한 거부권 보유, 국방부·시민단체 추천 사외이사 도입의 법제화, 외부추천 사외이사 비율의 확대와 의무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노조는 '매도자·매수자·노동조합 3자 간의 합의문건 작성'을 요구했다. 노조는 "인수시 5년간 투자계획의 사전 제시와 계약 반영, 인수후 5년간 당기순이익의 30% 넘는 배당금 지급 금지, 인수후 5년간 주요자산 처분과 사업 분할매각 등 주요사업 처분 금지, 계열사·관계사간 자금대여와 자회사 인수 등의 자본거래 금지" 등을 요구했다.

또 KAI노조는 "부도덕한 노사관계 기업은 반대한다"며 "최근 5년 이내 불법적인 노사문제를 발생시켰거나 부당해고 등의 부당노동행위를 한 기업의 인수참여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노조는 "전 직원의 고용보장과 매각 성과배분"과 "전 직원의 당사자로서의 참여 보장" 등을 요구했다.


태그:#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 #현대중공업, #정책금융공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