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자원봉사 워크숍 스텝 배한선 씨가 마치 모델처럼 완성 가방을 들고 찍었다. 모델처럼 한 미모한다.
▲ 모델 자원봉사 워크숍 스텝 배한선 씨가 마치 모델처럼 완성 가방을 들고 찍었다. 모델처럼 한 미모한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지난 13일 안성 레이크힐스리조트에서 안성시 자원봉사문화센터가 자원봉사 워크숍을 실시했다. 이날 워크숍 중 맨 마지막 시간은 아주 특별했다. 세계적인 섬유공예가 최양숙이 지도하는 모시 손가방 제조 시간이었다. 15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모두 흠뻑 빠져든 순간이었다.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을까.

"가방이 너무 이뻐네유."

여성이 한 말이 아니다. 한 대머리 중년신사가 자신이 만든 가방을 보고 한 말이다. 이날 참석자가 직접 모시로 만든 손가방이 단연 인기다.

참가자들의 집중력이 대단하다. '눈은 번쩍, 귀는 쫑긋, 손은 펄펄'이다. 20대 처녀총각부터 팔순 어르신들에 이르기까지 누구라도 모시재료와 빨래집게만 있으면 가방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매력에 푹 빠져든 것 같다. 모두가 10년 이상 내공 쌓은 장인이 된 듯하다.

완성된 모시 손가방. 거기에 온 150 여명의 참가자는 모시 재료와 빨래집게 만으로 2시간 여만에 모두 완성시켰다.
▲ 모시 손가방 완성된 모시 손가방. 거기에 온 150 여명의 참가자는 모시 재료와 빨래집게 만으로 2시간 여만에 모두 완성시켰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다 같은 초보자라도 속도와 실력이 다르다. 남달리 눈썰미와 손재주가 뛰어난 사람은 척척 해낸다. 뿐만 아니라 벌써 옆에 사람에게 가르쳐주기도 한다. 좀 느린 사람은 묻고 또 묻고, 보고 또 보고. 최양숙 강사와 조교들을 수시로 불러댄다.

일어서서 하는 사람, 앉아서 하는 사람, 테이블 위에 놓고 하는 사람, 의자 위에 놓고 하는 사람, 바닥에 퍼질러 앉아 하는 사람 등 각양각색이다. 이렇게 두어 시간 만든, 세상에 하나뿐인 자신만의 손가방을 손에 쥔 참가자들은 뿌듯함이 얼굴 가득했다. 마지막이 좋아야 다 좋다 했던가. 잊지 못할 선물 하나 들고 그들은 집으로 돌아갔다.

이날 강사로 나선 섬유공예가 최양숙. 그녀가 도대체 누구이기에 이렇게 단숨에 사람들을 매료 시킨 걸까. 아래는 그녀와의 일문일답이다.

한 어르신도 열심이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가 열심히 했다.
▲ 어르신 한 어르신도 열심이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두가 열심히 했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 섬유공예가란 무엇인가?
"한국 고유의 천으로 공예를 하는 사람이란 뜻이다. 섬유공예가란 이름은 지난 해 청주 비엔날레 주최 측에서 나에게 지어준 것이다. 한국의 고유 천인 모시 천으로 염색 보자기도 만들고, 손가방도 만드는 등의 공예를 한다. 어떤 면에선 '섬유공예가'란 영역의 선구자가 아닐까  생각한다. 원래 난 염색작가이기도 하다."

- 한국보다 일본에서 더 유명하다고 들었다. 어떠한가?
"그렇다. 1988년 일본에서 염색작가로 데뷔했다. 현재 내가 운영하는 '가라무시 공방'은 그 무렵 생긴 공방이다. 거기서 2000 여명의 일본인 문하생이 거쳐 갔다. 현재 초급, 중급, 고급 등 3년 코스로 공예 강사를 양성하고 있다. 현재 강사들만 50명이며, 200명의 강사가 배출됐다. 나의 기법에 함께 하는 일본인은 약 10만 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일본에서 이 분야에 관한 책도 몇 권이나 저술했다. NHK 방송에도 방영되었다."

- 언제, 어떻게 일본으로 건너갔는가?
"1986년 오로지 염색분야를 배우기 위해 일본에 갔다. 벌써 26년이 되었다. 아무래도 일본은 장인정신으로 세습하는 곳이어서 전문적이라 생각했다. 대학을 다니던 중 혈혈단신으로 일본에 건너갔다."

20초반인 아가씨도 열심이다. 아예 바닥에 놓고 끼워 맞추는 중이다
▲ 20대 초반 아가씨 20초반인 아가씨도 열심이다. 아예 바닥에 놓고 끼워 맞추는 중이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 일본생활은 힘들지 않았는가?

"왜 그렇지 않았겠는가. 모두 그런 건 아니지만, 유난히 국수적인 일본인은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힘들게 했다. 여성이라고 무시했다. 자신들의 염색 분야를 넘본다며 멸시했다. 처음엔 전승공예 공모전에서 3번이나 낙방했다. 그 시절들을 생각하면 운 기억밖에 없다.(이런 말을 하는 그녀의 얼굴이 일그러진다. 그 때가 생각난 듯)"

- 프랑스에는 어떻게 진출하게 되었는가?
"프랑스가 본사인 유명 패션 잡지 <보그> 지사가 일본에 있다. 그 출판사가 나의 책을 출간했다. 그 책을 접한 프랑스인들이 나를 프랑스로 초청해 3번이나 개인전을 했다. 거기서 한국 모시천의 아름다움과 염색의 신비로움을 보여줬다. 프랑스인들은 '원더풀'을 연발했다. 한국 고유의 모시 천과 염색의 매력에 그들이 푹 빠졌다. 프랑스 측에서 책도 직접 출간해줬다."

15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앞에서 자신의 작품을 설명중 인 최양숙작가. 이제 안성에서 자리를 잡고 세계의 기지국이 되고 싶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 최양숙 작가 150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앞에서 자신의 작품을 설명중 인 최양숙작가. 이제 안성에서 자리를 잡고 세계의 기지국이 되고 싶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 송상호

관련사진보기


- 2012 안성 세계민속 축전에 활약하는가?

"그렇다. 올 9월 30일에 일본에서 200명의 나의 문하생들이 와서 100여 점의 염색 보자기를 전시할 계획에 있다. 이때 세계가 주목하게 될 것으로 본다. 나의 꿈이 있다면 안성이 한국의 천의 아름다운 문화를 계속 발신하는 기지국이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안성에 공방을 자리 잡아 한국의 멋을 세계에 알리고 싶다. K-POP, 김치 비빔밥 등의 한류열풍이 한국고유의 염색과 섬유공예에도 불고 있다."

- 굳이 안성에 깃발을 꽂으려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내가 염색과 모시에 관심을 가진 이유가 안성 외할머니 덕분이다. 어렸을 적 할머니와 같이 있으면서 받은 영감이 나의 길을 이끌어갔다. 이제 나의 할머니의 품(고향 안성)으로 돌아와 후진양성, 세계보급 등의 사명을 다하고 싶다."

- 마지막으로 할 말이 있다면?
"한국의 전통 천인 모시와 염색이 만나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한국 고유의 것을 살려 세계인들을 한국(안성)에 오게 하자면 여러분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


태그:#섬유공예가, #염색작가, #최양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회에서 목사질 하다가 재미없어 교회를 접고, 이젠 세상과 우주를 상대로 목회하는 목사로 산다. 안성 더아모의집 목사인 나는 삶과 책을 통해 목회를 한다. 그동안 지은 책으로는 [문명패러독스],[모든 종교는 구라다], [학교시대는 끝났다],[우리아이절대교회보내지마라],[예수의 콤플렉스],[욕도 못하는 세상 무슨 재민겨],[자녀독립만세] 등이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