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8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2030 청년 세대 정치세력화를 위한 대안과 전망 토론회가 열렸다.
 18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2030 청년 세대 정치세력화를 위한 대안과 전망 토론회가 열렸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양대 정당의 청년정치 참여는 사기극이다"

19대 총선에 민주통합당 청년비례대표로 출마하기도 했던 조용술 청년연합36.5 대표는 격한 표현을 써가며 정치권의 청년정치 참여를 비판했다. 더불어 총선 과정에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청년들의 정치 진출을 돕겠다며 펼쳤던 정책들은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조 대표는 그 이유로 권위주의적이며 폐쇄적인 청년 후보 선발을 꼽았다. 새누리당은 '아이돌 양성'하듯 선발했고, 민주당 역시 권위적인 자세로 청년 비례대표를 선발해 초반의 관심을 이어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그는 "청년이라는 아이콘을 잡기 위한 정당의 쇼에 놀아난 게 아닌가 하는 안타까움을 자아낸다"며 자조 섞인 불만을 내뱉었다.

18일 오전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청년을 위한 정당은 없다?-2030 청년 세대 정치세력화를 위한 대안과 전망 토론회'는 이런 불만으로 시작됐다. 한국청년유권자연맹과 유정복 의원실이 공동 개최한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확산시키는 방안을 놓고 토론을 이어나갔다.

참석자들은 제도를 고쳐야 한다는 점에 관심을 뒀다. 이연주 한국청년유권자연맹 운영위원장은 "부재자 투표소 설치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직선거법을 개정해 2000명 이상이어야 신청할 수 있는 부재자 투표소를 500명 정도에도 설치가 가능하게끔 해야 한다는 지적이었다.

청년들의 국회 진출을 돕기 위해 의무할당제를 시행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준한 교수(인천대 정치외교학과)는 "(청년들의 공천을) 여성할당제 같이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9대 총선에 출마했던 손수조 새누리당 부산 사상구 당협위원장도 "여성의무공천제와 같은 특별 레드카펫을 청년을 위해 깔아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청년단체들이 서로 연대해 청년 정책을 구상해야 한다는 주문도 있었다. 남부원 한국 YMCA 전국연맹사무총장은 "청년단체들이 대통령 선거 시기에 연대 운동을 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무리 완벽한 제도가 있어도 청년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이 역시도 빛을 바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참석자들은 청년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호소했다. 토론회 사회를 맡은 김형준 교수 (명지대 인문교양학부)는 "청년들이 사회적 약자를 위해 함께 울어줄 수 있어야 한다"고 말을 꺼냈다. 그는 "분노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며 "반드시 참여해 함께 세상을 바꾸는 일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유정복, #한국청년유권자연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