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2일 벌어진 통합진보당 중앙위원회 폭력사태는 심상정·유시민 공동대표 등 중앙위원회 의장단과 당권파인 장원섭 당 사무총장 사이의 권한 다툼으로 번지고 있다. 당권파는 13일 중앙위원회 인터넷 토론 생중계, 전자투표를 사적인 행위 간주했고 의장단은 '이를 지휘체계를 부정하는 당헌 파괴행위'라고 비난했다.

심상정 중앙위원회 의장이 이날 오후 2시부터 중앙위 속개와 관련해 의견수렴을 위한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하자 당권파 장원섭 통합진보당 사무총장은 "사무총국에 공식적인 통보나 협조 요청이 없는 사적행위"라고 주장했다.

그 근거로 장 사무총장은 "심상정, 유시민 공동대표는 당 대표직을 사임해 평당원으로 돌아갔다"며 "당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점유할 지도집행권을 갖지 못하다"고 밝혔다.

장 총장은 오후 8시부터 시작될 중앙위 전자투표에 대해서도 "(전자투표가) 당의 공인된 전자인증시스템이 마련되지 않는 조건에서 별도의 형태로 진행할 경우에는 실효성과 정당성이 상실된다"고 주장했다. 장 총장은 "이 행위에 가담한 당직자들에게는 지위고하를 불문하고 고도의 주의 의무 위반에 따라 당규에 따라 엄격히 처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심상정 의장은 이날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권한이 없다고 주장한 장 사무총장의 발언에 대해 "중앙위원회는 끝난 게 아니고 진행 중"이라며 "저는 아직 공동대표이자 적법한 중앙위원회 의장으로서 그 책임을 다하면 공동대표직을 사퇴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SNS에는 장 사무총장의 행태에 대해 "어제는 폭력, 오늘은 하극상"이라고 비난하는 글들이 이어졌다.

시사평론가 진중권 동양대 교수(@unheim)는 '12·12사태'에 비유했다. 진 교수는 "당권파, 이제는 전두환까지 벤치 마킹한다"며 "장원섭 장군의 5·13 쿠데타"라고 비꼬았다. 진 교수는 "한 마디로, 국고보조를 받는 공당의 시스템이 경기동부연합이라는 쿠데타 세력의 손아귀에 장악 당한 상태"라며 "저 폭력집단에 맞서서 당헌을 수호하기 위한 제2의 5·18 항쟁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진 교수는 당권파의 이같은 대응에 대해 "당 중앙위를 무산시킨 뒤 지도부 공백사태가 발생하면 당권파인 장원섭 사무총장 체제로 임시 지도부를 구성할 것"이라며 "내달 1일 국회가 개원하면 원내대표를 선출해 원내대표가 사실상 당을 운영하는 체제로 가져가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태그:#통합진보당, #중앙위원회, #부정선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