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집안의 가장 으뜸신인 성주신을 상징하는 성주대. 성주는 집안의 모든 가신 중 가장 상위신이다.
▲ 성주신 집안의 가장 으뜸신인 성주신을 상징하는 성주대. 성주는 집안의 모든 가신 중 가장 상위신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성주신(成主神)은 집안에 있는 가신 중에서는 가장 상위신에 속한다. 집안의 대청 대들보나 안방의 문 위에 좌정하는 성주신은, '상량신(上樑神)', 혹은 '성조(成造)' 등으로도 불린다. 성주는 남신으로 집안의 대주라고 하는데, 성주를 맞이할 때는 안택굿을 올리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따로 성주맞이굿을 하면서 성주를 받기도 한다.

경기도 지방의 성주신에는 세 가지 형태가 있다. '대성주'는 대나무에 성주의 신위를 한지로 오려 만들어 대청의 대들보 등에 올려놓는다. 또 '무성주'는 한지로 만든 종이봉투에 대주의 나이만큼 동전이나 쌀 등을 넣어서 안방 출입문 위에 붙인다. 끝으로 '떡성주'는 한지를 막걸리에 적셔 덩어리처럼 만들어 문 위에 붙이는 방법이다.

성주대에 붙일 성주를 한지를 오려 만들고 있다. 가운에 사람형태는 '삼성주'를 상징하고 좌측은 버선발, 우측은 하늘을 뜻한다
▲ 성주만들기 성주대에 붙일 성주를 한지를 오려 만들고 있다. 가운에 사람형태는 '삼성주'를 상징하고 좌측은 버선발, 우측은 하늘을 뜻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가신 중 으뜸인 성주신 맞는 굿, 도심에서 보다니

성주신은 가장을 상징하는 신격으로, 가신 중에서는 가장 으뜸이다. 그래서 집안의 가장 높은 곳인 대들보나 가장이 묵는 방의 문 위에 걸어 놓는다. 4월 27일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 손아무개씨네 집에서 안택굿이 열렸다. 요즘은 주변의 반대가 심해 집에서는 굿을 할 수가 없기에, 이렇게 집안에서 하는 안택굿을 도심 한복판에서 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런 어려움 가운데 집안에서 열리는 안택굿이다. 경기도 지방은 원래 강신무와 세습무가 공존하는 지역이다. 세습무는 도당굿을 중심으로 마을의 굿을 주로 담당해 왔으며, 강신무는 안택굿이나 지노귀굿 등을 담당해왔다. 경기도의 안택굿은 그 절차가 달라 나름의 지역적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런 안택굿의 과정 중에서 성주맞이굿이 행해진다. 성주대는 미리 만들어 굿 상 옆에 쌀을 붓고, 그곳에 모셔놓는다. 성주를 맞이할 때는 굿을 진행하는 무격이 성주대를 들고 축원을 한 다음, 집안의 가장에게 넘겨준다.

안택굿을 하는 굿상 한 편에 모셔진 성주대
▲ 성주대 안택굿을 하는 굿상 한 편에 모셔진 성주대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집안의 어려움 편안히 지나가길 바라는 마음, 성주님은 아실까

성주신은 집안의 가신 중에서도 가장 까다롭다. 성주신은 단 한 개의 신위만이 존재한다. 이 성주신은 집안에 부정한 일이 있으면 나가버린다고 한다. 성주신이 나가면 다시 성주맞이굿을 해서 성주를 모셔들이게 된다.

성주굿을 하는 무격은 연방 집안의 평안과, 가장이 하는 사업이 번창하기를 축원한다. 그리고 자녀가 모두 성공하기를 빌어준다. 굿에서는 이렇게 무격의 입을 빌려 축원을 해 주는 '신탁'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 말만 들어도 기운이 난다고 한다. 아마도 성주를 맞이하는 것도 그렇게 믿는 마음 때문일 것이다.

안택굿을 한 집의 가장인 손아무개가 성주를 넘겨 받아 안방 문 위에 올리고 있다
▲ 성주 안택굿을 한 집의 가장인 손아무개가 성주를 넘겨 받아 안방 문 위에 올리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오전 11시 경부터 시작한 안택굿에 이어, 오후 8시 반에 성주굿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무격을 손을 떠난 성주대는 가장에게 옮겨져 안방의 문 위에 좌정했다. 이렇게 자리를 잡은 성주신은 집안의 가장 높은 상위신으로 모든 가신을 다스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 집은 무슨 일이 있어도 3년에 한 번은 집안에서 안택굿을 합니다. 힘들고 어려울 때도 안택굿을 하면서 성주님을 맞아들이면, 그저 별 탈 없이 잘 지나가는 것 같아요."

안택굿을 진행하는 당주인 무격 고아무개씨(55세·남)의 말처럼 그렇게 편안히 지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안방 문 위에 좌정한 성주님은 잘 아시는가 보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성주신, #가신, #상위신, #성주맞이굿, #안택굿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