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지난주 토요일 4교시. 우리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전교어린이회의가 열렸다. 주제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동아리 모임을 만드는 것이었다. 학생회장이 된 큰아이의 첫 번째 선거 공약을 실천하는 자리다. 큰아이는 학생회장 선거 당시 자신을 뽑아준다면 제일 먼저,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동아리를 만들어 즐거운 학교로 만들겠다고 했다.

 

이 공약은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고, 큰아이가 회장으로 당선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큰아이는 선거 전, 공약을 만들 때부터 과연 자신이 실천할 수 있는 일인지 꼼꼼히 살폈다. 그리고 당선이 되고 난 뒤에는 자신의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몇 날 며칠을 고민했다. 전교어린이회의가 있기 전날에는 모의 전교어린이회의를 집에서 해보기도 했다.

 

이날 전교어린이회의에서는 너무 많은 동아리가 제안되어서 20여 개에 달했다고 한다. 그 가운데서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4개의 동아리를 꾸리기로 결정했다는데, 축구, 보드게임, 요리, 과학발명 동아리가 선정되었다. 각 동아리의 회장을 뽑고, 회장 중심으로 동아리 회원을 모집하기로 하자고 결의하고는 회의를 마쳤다고 한다. 현재 4개의 동아리는 회원을 모집해, 첫 모임을 가지는 등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최근 대통령의 공약 실천을 둘러싼 논란이 있다.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대통령 출마 당시에 약속했었는데, 지금에 와서 못 지키겠다고 하니 이래저래 말이 많을 수밖에 없다. 3년 전 일이니, 경제적 타당성이 지금과 그다지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도 지금 경제적 이유를 들어 약속을 지키지 못하겠다고 하니, 필시 공약을 만들 당시에 정확한 타당성 검토가 없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반값 등록금 문제도 마찬가지다. 선거 당시 같은 당의 책임 있는 정치인들이 반값 등록금을 약속했다. 하지만 대통령의 임기가 절반이 훌쩍 지난 지금에도 아무런 대책이 없다. 이 역시 약속을 지킬 의사가 없음을 의미한다. 표를 의식한 '묻지마식 공약'이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꼴이다. 대통령은 '자신이 직접 한 약속이 아니다'고 하지만 옹색하기 이를 때 없다.

 

모름지기 대표가 되려는 사람은 약속에 신중해야 한다. 표만을 의식한 '묻지마식 공약'으로 유권자를 현혹시키는 정치는 더 이상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 물론 피치 못할 사정으로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럴 때는 그 과정을 소상히 국민 앞에 고백하고, 일반인들보다 더 엄정한 잣대로 자신을 꾸짖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어쨌든 잘못됐다거나 옹색한 변명으로 넘어 가려고 해서는 안 된다.

 

비록 작은 실천이지만 어린 학생들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참으로 믿음직스럽다. 민주적인 교육을 통해 올바른 시민으로 자라고 있는 아이들이 있는 한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둡지 않을 것이다. 이런 어린 학생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어른의 모습을 보여 달라고 대통령께 요구하는 것은 나의 지나친 욕심일까?

 

오빠의 공약 실천으로 즐거워하는 동생의 일기

2011년 4월 4일 월요일

날씨; 오우! 운동하기 딱 좋은 날씨네!

제목; 보드게임 동아리

 

오늘 오빠가 공약을 실천했다. 그 공약은 점심시간에 보드게임, 축구, 요리 등 동아리를 만들어서 노는 것이다. 동아리는 보드게임, 축구, 요리, 과학만 했는데 나는 보드게임을 할 것이다. 보드게임회장은 진욱이 오빤데, 나 역시 진욱이 오빠가 회장을 할 줄 알았다. 축구는 우현이 오빠가 했고, 요리는 아현이 언니, 과학은 준희 오빠가 했다.

 

그래서 아현이 언니와 영미 언니가 우리 교실에 와서 요리할 사람을 모집했다. 곧 진욱이 오빠도 왔고 무섭이와 내가 이름을 적었다. 그리고 진욱이 오빠가 내일부터 시작할 거라며 매일 점심 먹고 12시 45분까지 육학년 교실로 오라고 했다. 너무 신이 났다.

 

보드게임은 11명이 모였고, 축구는 14명, 요리는 스무 명이 넘고, 과학은 딱 3명만 했다. 보드게임이 수가 가장 적당하고 재밌다. 나랑 무섭이는 내일 꼭 45분까지 육학년 교실로 갈 것이고, 매일 매일 갈 것이다. 내일이 너무 기대된다. 나는 우리 오빠가 그런 동아리를 참 잘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덧붙이는 글 |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anti21에도 올립니다.


태그:#공약 실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소비자 차원에서만 머물지 않고 직접 언론에 참여하고자

이 기자의 최신기사삼성 노동자들의 무임승차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