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 이인규 '차명계좌' 발언…조중동 "차명계좌 신빙성"에 힘실어

<조선> "그래도 뭔가 있는 것 아니냐" 의혹 띄우기

<중앙> "검은 돈 거리 있었다면 차명계좌로 봐야"

<동아> "차명계좌, 권 여사와 관련됐을 가능성" 수사 촉구

<한겨레> "확인되지 않은 피의사실 공표에 해당"

<경향> "조 청장 차명계좌 발언에 힘 실어주는 것" 비판

 

5일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자금 수사를 지휘한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이 <중앙선데이>와의 인터뷰에서 '노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가 있다'는 조현오 경찰청장 발언에 대해 "틀린 것도 아니고 맞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지금 야당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정치인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한테 돈을 받았다. 최소한 1만달러"라며 "노 전 대통령이 죽음으로써 살아난 사람이 여럿 정도가 아니라…많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은 "구체적 사실관계만 놓고 보면 이 전 중수부장의 발언은 노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가 없다는 걸 확인해준 것"이라며 "그러면서도 마치 뭔가 있는 것처럼 냄새를 풍겨 놨다"고 말했다. 이어 "표적·강압수사와 피의사실 공표를 주도한 책임자가 반성해야 마땅한데, 여전히 나쁜 버릇을 고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6일과 7일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이 전 중수부장이 사석에서 피의사실을 공표하고 "조 청장의 차명계좌 발언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비판하며 진실 규명을 촉구했다.

 

반면, 조중동은 이 전 중수부장의 발언이 신빙성이 있는 양 힘을 실어 보도했다. 특히 동아일보는 6일 사설에서 "차명계좌가 권 여사와 관련됐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수사를 촉구하기도 했다.   

 

<청 관계자 "차명계좌 수사·특검 반대" 야당 "이인규 발언 사실여부 밝혀라">(한겨레, 8면)

<검찰, 9일 문재인 변호사 조사>(한겨레, 9면) 

<차명계좌 논란, 변죽만 울려 뭘 노리겠다는 건가>(한겨레, 사설) 

 

한겨레신문은 사설에서 이인규 전 대검 중수부장의 발언에 대해 "수사의 실무책임자가 확인한 것이니, 조 청장을 사자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처벌하는 데는 이제 아무런 지장이 없어졌다"고 주장했다.

 

또 "그와 별개로 이 전 부장이 인터뷰에서 '이상한 돈의 흐름'을 언급한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보통의 사건이라면 아직 확인되지 않은 피의사실의 공표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노 전 대통령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지경까지 이른 것도 검찰만이 알 수 있는 피의사실이나 정황이 일부 언론을 통해 흘러나와 공개적으로 욕보이고 옥죈 탓이 크다"면서 "그 책임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당시의 수사 책임자가 이제 또 그런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은 무슨 까닭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사설은 "이런 식으로 진실을 얼버무리면서 의혹만 남겨두는 행태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며 "여야는 당장 특검이 어렵다면 국회 상임위라도 열어서 이 전 부장을 증인으로 소환해 진상을 따져 물어야 한다", "그래서 돈을 받은 정치인이나 살아있는 권력의 비리가 나온다면 처벌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와대 "盧수사재개 반대? 그런 적 없는데…">(경향, 5면)

 

경향신문은 5면에서 청와대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 존재 여부에 대한 수사 재개와 관련해 '수사 기관이 판단해서 할 일이지 청와대가 어떤 입장을 정해서 할 일은 아니다'라고 밝힌 데 대해 "검찰 수사 재개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 언급"이라고 해석했다.

 

앞서 6일 사설 <검찰, 조현오․이인규 발언 하루빨리 규명하라>에서는 이전 중수부장의 발언에 대해 "직무상 벌인 수사 내용을 법정이나 청문회 같은 자리가 아닌 사석에서 밝혔다는 점에서 비난받아 마땅한 행위"라며 "노 전 대통의 차명계좌라고 단정할 수 없지만 뭔가 있다는 식으로 언론에 흘려 조 청장의 차명계좌 발언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검찰이 보존된 수사 기록을 다시 꺼내 보고 진실을 밝히는 수밖에 없다"면서 "진실이 규명되지 않아 의혹이나 유언비어가 계속 굴러다니게 놔둔다면 노 전 대통령의 명예를 더욱 훼손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盧 차명계좌 발언' 고소 곽상언·문재인 모레 조사>(조선, 1면)

<野 "비밀누설 수사를" 與 "차명계좌 규명을">(조선, 5면)

<창고 속 '박연차 게이트'… 16개월만에 門 열리나>(조선, 5면)

 

조선일보는 5면 <창고 속 '박연차 게이트'… 16개월만에 門 열리나>에서 이 전 중수부장의 발언에 대해 "노 전 대통령과 관련해 그간 외부에 공개된 일이 없는 의심스러운 돈 흐름이 발견됐다는 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소인인 노 전 대통령 유족의 '요구'가 무엇이냐에 따라 수사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면서도 "결국은 '차명계좌의 유무'를 밝힐 수밖에 없다는 것이 검찰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라고 전했다.

 

또 "검찰 안팎에선 지난해 '박연차 게이트' 수사가 마침표를 찍은 것이 아니라, 중요 피의자였던 노 전 대통령의 자살로 인해 '중단'됐다는 점 등을 들어 '그래도 뭔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에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사는 조 청장이 "'차명계좌'와 '10만원짜리 수표'가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흐름인 것처럼 말했다"면서 "조 청장이 알았든 몰랐든 두 가지가 다른 흐름일 수도 있"고, 이 전 중수부장은 "이런 가능성을 은근히 암시했다고 추측해 볼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법조계 일각에선 조 청장이 누구나 납득할 만한 정보 취득 경위 등 발언의 근거를 댄다면, '진실이라고 믿을만한 사유'에 해당해 처벌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이런 맥락에선 이 전 중수부장이 조 청장에게 유리한 참고인일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 청장이 "'차명계좌 발언'을 하게 된 근거에 대해 주변에 '자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

 

같은 면 다른 기사에서는 청와대가 노무현 전 대통령 차명계좌 관련 수사를 재개해야 하는지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면서 "노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를 완전히 들춰내지도, 그렇다고 완전히 덮어두지도 않은 상태에서 정치적으로 활용하겠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검찰, 9일 노무현 사위 고소인 조사···문재인 "출석할 것">(중앙, 6면)

<청와대 "다 지난 일인데···특검 반대">(중앙, 6면) 

<"검은돈 거래 있었다면 차명계좌로 봐야">(중앙, 6면) 

 

중앙일보는 6면에서 이인규 씨의 발언에 대해 "그는 '박연차 게이트' 수사를 주도하면서 누구보다 돈의 흐름을 잘 알고 있다"며 "검찰이 이 전 중수부장을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할 경우 그가 어떤 발언을 하느냐에 따라 이 사건 수사는 정국에 태풍을 몰고 올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법조계에서는 알듯 모를듯한 이 변호사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조 청장의 차명계좌 발언이 '허위라고 보기는 어렵다'라는 주장을 강조하며 "중요한 것은 검은 돈 거래가 있었는지 여부"라고 힘을 실었다.

 

<민주 "정국 반전 의도" 한나라 "의혹 해소 안돼">(동아, 6면)

 

동아일보는 이인규 변호사의 발언에 대해 여야가 공방을 벌였다고 보도했다.

 

앞서 6일에는 사설 <검찰, 태산 옆에 놓고 쥐 잡는 수사만 할 건가>에서 "이 전 부장의 폭탄발언으로 조 청장의 명예훼손 사건은 노 전 대통령 차명계좌의 진실 쪽으로 무게중심이 급격하게 쏠리게 됐다"면서 "차명계좌가 권 여사와 관련됐을 가능성을 시사 한 것으로 볼 여지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노 전 대통령은 사망해 공소권이 없지만 가족과 정치인에 대한 수사는 얼마든지 재개할 수 있다"면서 여야가 "특별검사법을 만들어 봉인된 비밀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민언련 홈페이지(www.ccdm.or.kr)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신문 일일브리핑을 받아보기 원하는 분은 ccdm1984@hanmail.net으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태그:#이인규 전 중수부장, #노무현 차명계좌, #조중동, #조현오, #박연차 게이트
댓글

민주사회의 주권자인 시민들이 언론의 진정한 주인이라는 인식 아래 회원상호 간의 단결 및 상호협력을 통해 언론민주화와 민족의 공동체적 삶의 가치구현에 앞장서 사회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