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전 6시면 어김없이 주방의 라디오를 튼다. 시사뉴스가 끝나가는 오전 7시 즈음이면, 매일아침 금강보호캠페인이라며 MBC 라디오를 통해 뜬금없는 멘트가 흘러나온다.

 

"금강의 수많은 나루를 아십니까? 우리고장의 젖줄이 어떻고, 금강의 역사가 어떻고~ 이번 주에는 가족과 금강의 나루로 나들이를 한번 가보는 것은 어떠신가요."

 

맞다. 금강 물길을 이용한 나루는 백여개도 더 있었다. 과거에야 나루가 상류와 하류를, 강 건너를 잇는 가장 쉬운 교통수단이었으니까. 금강의 대표적 나루로 구드레나루와 곰나루가 일반인에게 잘 알려져있지만, 실은 기능과 용도면에서 요긴했던 나루는 그 외에도 실로 많았다.

 

근대 들어 뱃길이 사양하고 하구의 막힘으로 나루는 과거 속에 묻혀버렸지만, 4대강사업에 맞서 강 유역의 문화와 옛마을들을 들추어내는 작업이 조명되면서 정부와 일부 언론도 나루에 대한 관심을 표하고 있다.

 

나루는 사람이 만들어간 역사와 문화가 있었으니까. 나루를 통해 강과 소통한 진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었으니까. 그렇다면 진정 그들은 지금 나루의 현실을 알고나 그러는 것일까?

 

물떼새는 발만 물에 담글 수 있는 수위의 모래나 자갈둔치에서 둥지를 짓고 새끼를 키우며 서식하는 새이다. 당연히 곰나루가 이렇게 변해가니 이들의 서식처가 파괴되기 마련이고 어쩌면 이들에게 곰나루는 새끼를 기르는 금년이 마지막이 될 수도 있다.

 

 

곰나루에 들면 영겁의 세월 동안 강을 지켜 온 역사의 파편들과 물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다양한 생명들의 흔적을 만날 수 있다.

 

하얀 백사장을 맨발로 밟고 가 강가에서 아이들이 모래장난을 할 것이라 여겼던 그런 곰나루로 알았을까? 그런 곰나루로 알고 가족과 함께 나루로 나들이를 가보라고 한 것일까?

 

그 그 방송 듣고 금강의 나루를 찾아 떠난 가족소풍에서 위법이 만연한 공사판 트럭들의 질주에 치이는 곰나루 아수라장을 맛보지나 않을는지.
 

공주 곰나루가 그렇다면 또 유명한 부여의 구드레나루터로 가 볼까? 구드레나루 맞은 편의 신리 갈대밭과 드넓던 호암리 백사장도 볼 만은 했지.

 

하지만, 그건 옛말이요. 이 지경이 된 공사판에서 무엇을 본단 말인가. 그러나 금강보호캠페인을 하는 대전MBC 라디오여! 볼 것이 없는 건 아니다.

 

옛사람들의 삶을 이어주던 강의 나루가 이 지경이 되가고 있음을, 금강의 살들이 이렇게 유린되고 있음을, 누구도 이 참혹한 현장에 관심주지않아 강이 혼자 아파하고 있음을 이번 주말에 가족과 함께 소풍나가서 제대로 보고 느끼며 위로해주라고 하자. 그래서 금강사람들에게 바로 알리자고 하자.


태그:#곰나루, #구드레나루, #금강정비, #금강보, #4대강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교육, 생태관광을 연구 기획합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