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일 오전 10시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용자 선택권 보호' 토론회가 구글코리아쪽 패널이 빠진 채 열렸다.
 2일 오전 10시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용자 선택권 보호' 토론회가 구글코리아쪽 패널이 빠진 채 열렸다.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스마트폰 기본 검색'을 둘러싼 구글과 네이버-다음 간 '맞짱' 토론이 결국 무산됐다.

'모바일 환경에서의 이용자 선택권 보호' 토론회가 방송통신위원회 주최로 2일 오전 10시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실에서 열렸다.

애초 이날 토론회에선 구글, NHN, 다음 쪽 관계자가 직접 나와 모바일 검색 경쟁 전초전격인 '스마트폰 기본 검색 엔진' 선택권 등을 놓고 토론을 벌일 예정이었다. 하지만 정작 이 문제의 키를 쥐고 있는 구글코리아 쪽에서 갑자기 행사 불참을 통보하면서 직접 토론은 성사되지 못했다.

네이버-다음 "우리도 아이폰-구글폰 기본 검색에 넣어 달라"

현재 구글은 애플 아이폰과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채택한 스마트폰 기본 검색 엔진과 지도 서비스 등 기본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선점한 상태다. 이에 NHN, 다음 등 국내 포털 업체들은 '이용자 선택권 보장'을 내세워 모바일 검색 시장에서 불공정 경쟁 문제를 제기했다. 한마디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에 구글이나 야후 대신 네이버, 다음 등 국내 검색 엔진도 기본으로 선택하게 해달라는 것이다.

먼저 포문을 연 건 네이버다. 김상헌 NHN 사장은 지난달 15일 기자 간담회에서 "스마트폰 운영체제(OS) 환경에 따라 특정 검색 엔진이 기본으로 돼 있어 (네이버가) 불리하다"면서 "이용자가 선택하게 하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이어 "안드로이드 폰의 경우 계속 (구글) 검색창이 뜨고 핫키로도 뜬다"며 "검색 결과가 더 좋으면 네이버나 다음도 쓸 수 있게 해 달라"며 사회적 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에 구글코리아는 지난달 18일 열린 모바일 전략 기자간담회에서 구글 기본 검색은 단말기 제조업체 선택 사항이라고 맞받았다. 이날 조원규 구글코리아 R&D센터 총괄 사장은 "안드로이드는 오픈 소스 플랫폼이기 때문에 반드시 구글을 넣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면서 "제조사와 이통사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1일 서울 한남동 다음 사옥에서 열린 방통위원장-인터넷기업 CEO 간담회에서 얼굴을 맞댄 양사 대표들은 이 문제를 에둘러 거론하며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날 김상헌 사장은 글로벌 경쟁 문제를 언급하며 "모바일 환경이 좋아지면 기존에 아이폰, 안드로이드폰 등을 오래 준비한 곳이 유리하다"면서 "제조업체와 협의해 보니 이해관계 조정이 어렵다"면서 기본 검색 엔진 문제에 대한 방통위의 관심을 촉구했다.

반면 조원규 사장은 "글로벌 기업 진출이 장기적으로 긍정적 측면도 많은데 한국 기업과 글로벌 기업 간의 경쟁에만 집중되고 있다"며 '국내-국외업체' 이분법 잣대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1일 낮 서울 한남동 다음 본사에서 열린 방송통신위원회-인터넷기업 CEO 간담회에서 최시중 방통위원장 인삿말을 듣고 있는 CEO들. 왼쪽부터 조원규 구글코리아 사장, 주형철 SK커뮤니케이션즈 사장, 김상헌 NHN 사장.
 1일 낮 서울 한남동 다음 본사에서 열린 방송통신위원회-인터넷기업 CEO 간담회에서 최시중 방통위원장 인삿말을 듣고 있는 CEO들. 왼쪽부터 조원규 구글코리아 사장, 주형철 SK커뮤니케이션즈 사장, 김상헌 NHN 사장.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구글 불참으로 김빠진 '선택권' 토론... "선택은 결국 이용자 몫"

2일 토론회에도 조원규 사장이 직접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이날 아침 참석자가 염동훈 상무로 갑자기 바뀌었고, 끝내 염 상무마저 나타나지 않아 구글코리아 쪽 자리는 비워둔 채 토론이 진행됐다. 네이버, 다음을 대표해 한종호 NHN 이사, 유창하 다음 센터장이 참석하긴 했지만 아무래도 맥 빠진 토론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날 발제를 맡은 한상기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에 익스플로러를 기본 탑재해 넷스케이프가 몰락한 사례나 MS 미디어플레이어와 메신저 기본 탑재 문제가 소송까지 간 '트라우마'를 언급하며, 과거 경험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모바일 기본 소프트웨어 선택권 문제 역시 초기에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검색창에 기본 검색이 있지만 수많은 검색엔진을 등록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 '파이어폭스' 사례를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유창하 다음 센터장 역시 "(윈도 모바일과 안드로이드 OS를 만든) MS와 구글은 인터넷서비스 분야에서 다른 사업자들과 경쟁하고 있다"면서 "이들이 스마트폰 등 단말기를 통해 검색이나 지도,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끼워 넣기 전략으로 나가면 다음, 네이버 등 기존 서비스업체에겐 치명적인 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토론이 실질적인 이용자 선택권보다는 국내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의 이해 관계 때문에 열린 게 아니냐는 누리꾼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와 기업 모두 몸을 낮췄다.

한종호 NHN 이사는 "기업 입장에서 소비자 선택권 문제를 얘기하는 게 조심스럽지만 네이버가 이용자를 팔아 이익 보려는 건 아니다"라면서 "스마트폰이 중립적, 개방적으로 운영된다면 기존 서비스업체뿐 아니라 새로운 개발자에게도 기회가 되고 이통사, 제조사,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에코시스템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형 카이스트 교수는 방청석 발언에서 "안타깝지만 냉정히 생각하면 플랫폼을 남에게 얻어 쓰면서 왜 내 것 안 써주느냐고 주장하는 거 같다"면서 "기업 활동에 문제가 있다면 정부가 나설 게 아니라 소비자나 시민단체가 나서서 감시하는 게 맞다"며 이날 토론회를 방통위가 주최한 것 자체를 문제 삼기도 했다.

홍진배 방통위 인터넷정책과장은 "개인적으로 순수하게 이용자 입장에서 처음 제기한 이슈"라며 "너무 이른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만 한번 결정하면 뒤로 가기 힘든 IT분야 톱니효과 때문에 초기 방향 잡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해명했다.


태그:#스마트폰, #구글 , #모바일 검색, #네이버, #다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회부에서 팩트체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