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얼굴 윤곽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이 불상은 특이한 배치구조때문에 이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보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내판 조차 없어 국보 대접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 태안마애삼존불 얼굴 윤곽이 뚜렷하지는 않지만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이 불상은 특이한 배치구조때문에 이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보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내판 조차 없어 국보 대접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우리가 흔히 '마애삼존불상' 하면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을 연상할 것이다. 하지만,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면서 서산 마애삼존불상과 버금가는 '태안 마애삼존불상'도 가히 백제의 미소라 불릴 만하다.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중앙에 중앙에 본존불이 위치해 있고, 좌우에 보살이 배치되어 있다.
▲ 서산 마애삼존불상 '백제의 미소'라 불리는 서산 마애삼존불상은 중앙에 중앙에 본존불이 위치해 있고, 좌우에 보살이 배치되어 있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비록 서산마애삼존불상에 비해 얼굴의 윤곽이 뚜렷하지 못하지만 태을암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태안마애삼존불은 일반적인 삼존불과는 달리 그 배치가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어 세간에 이목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 1966년 2월 28일 보물 432호로 지정돼 관리되어 오다가 지난 2004년 8월 31일 국보 제307호로 승격 지정된 데는 중앙에 본존불이 위치하고 좌우에 협시보살을 배치하는 일반적인 삼존불과는 달리 좌우에 불상을 배치하고 중앙에 작은 보살을 배치하는 파격적이고도 특이한 구도 때문인 듯 보인다.

또한, 마애삼존불 인근에는 바위에 '일소계(一笑溪)'와 '태을동천(太乙洞天)'이라 암각된 작은 골짜기가 보이는데, 이곳 경관 또한 수려해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으며 꽤나 운치있어 보인다.

마애삼존불이 있는 태을암에서 바라본 태안읍내 전경
▲ 태안이 한 눈에... 마애삼존불이 있는 태을암에서 바라본 태안읍내 전경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태을암에는 이곳을 통하는 등산로가 있어 평일에도 주민들의 모습이 많이 띤다.
▲ 태을암 대웅전 태을암에는 이곳을 통하는 등산로가 있어 평일에도 주민들의 모습이 많이 띤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등산을 하다가 목이 마르면 이곳에서 잠시 갈증을 풀 수 있다.
▲ 태을암 약수터 등산을 하다가 목이 마르면 이곳에서 잠시 갈증을 풀 수 있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삼존불 주변에는 이뿐만 아니라 감모대(感慕臺)와 동옥대(同玉臺)라고 새겨진 정확한 용도와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유물들도 있고, 특히 점점 붉게 물들어가는 백화산의 가을단풍도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어 이번 가을 태을암을 찾으면 가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다.

좌측불상 높이 255cm, 우측불상 240cm, 중앙보살 181cm의 규모인 태안마애삼존불은 태안읍의 상징인 백화산 정산부근에 위치해 있으며, 가을을 맞아 단풍 구경을 위해 백화산을 찾은 많은 등산객들에게도 좋은 구경거리다.

태안마애삼존불은 국보에도 불구하고 안내판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아 문화재관리에 헛점을 드러내고 있다.
▲ 안내판은 어디에? 태안마애삼존불은 국보에도 불구하고 안내판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아 문화재관리에 헛점을 드러내고 있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군내 국보급 문화재가 유일하게 마애삼존불 밖에 없음에도 이를 설명하는 안내판 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이곳을 찾는 군민과 관광객들로부터 '과연 국보가 맞는지'하는 의구심을 들게 하고 있다.

태안군이 올 연말까지 설치하겠다는 안내판 시안. 국보는 안내판도 규격과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 태안군이 설치하려는 안내판 태안군이 올 연말까지 설치하겠다는 안내판 시안. 국보는 안내판도 규격과 형식을 갖추어야 한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태안군 관계자는 "안내판 설치는 군에서 임의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며 "현재 안내판과 관련해 영어, 일본어 시안을 위탁기관에 의뢰한 상태로 완료가 되면 문화재청으로 문서를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올해 초 문화재청에서 내려온 마애삼존불 주변 정비사업 예산이 남아 이중 248만 원을 책정해 올해 말까지 안내판 설치작업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통제줄 안쪽으로 발자국들이 가득하다. 건전한 관람문화가 절실하다.
▲ 문화재 보호에 관심을 가져야... 통제줄 안쪽으로 발자국들이 가득하다. 건전한 관람문화가 절실하다.
ⓒ 김동이

관련사진보기


한편, 마애삼존불 보호각 내에 불상 보호를 위해 통제선을 설치했는데도 선을 넘어 안으로 들어가 불상을 만져보려는 관람객들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덧붙이는 글 | 유포터, 태안신문에도 송고합니다.



태그:#태안마애삼존불, #태을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태안의 지역신문인 태안신문 기자입니다. 소외된 이웃들을 위한 밝은 빛이 되고자 펜을 들었습니다. 행동하는 양심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