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주지역에 남아 있는 많은 석탑 가운데 기단이나 몸돌에 조각이 표현되어 새겨진 석탑을 찾아간다. 국립경주박물관에 들어서면 약간 언덕 위에 있는 경주 남산 승소곡에서 옮겨진 삼층석탑이 있다. 이 탑은 하층기단과 상층기단면석에 각각 안상무늬를 새겼으며, 1층 탑신 4면에도 안상무늬를 새기고 그 속에 사천왕상을 새겼다.

승소곡 삼층석탑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 승소곡 삼층석탑 승소곡 삼층석탑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옮겨져 있다.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승소곡 삼층석탑
▲ 승소곡 삼층석탑 안상 승소곡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승소곡 삼층석탑
▲ 승소곡 삼층석탑 사천왕상 승소곡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안상 속에 사천왕상을 조각한 것은 유례가 드물다. 경주박물관 야외에는 탑 몸돌에 사천왕상이 새겨진 것이 여기 저기 보인다.

국립경주박물관 야외 탑신 사천왕상
▲ 국립경주박물관 야외 탑신 사천왕상 국립경주박물관 야외 탑신 사천왕상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숭복사지 삼층석탑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에 있는 숭복사지에는 탑이 동서 2기가 있는데 현재 동탑은 2층 몸돌이 없어졌고 서탑은 2층과 3층 몸돌과 3층 지붕돌이 없다.

숭복사지 삼층석탑
▲ 숭복사지 삼층석탑 숭복사지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숭복사지 삼층석탑
▲ 숭복사지 삼층석탑 팔부중상 숭복사지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상층 기단에는 불법을 지키는 여덟 신장인 팔부중이 새겨져 있는데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이다. 조각 수법이 아주 우수한 작품으로 동쪽과 서쪽의 위치가 일부 달라져 있다.

원원사지 삼층석탑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에 있는 원원사지 옛터에 동서로 삼층석탑이 있는데 상층기단에 십이지신상이 새겨진 유일한 탑이다.

원원사지 삼층석탑
▲ 원원사지 삼층석탑 원원사지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원원사지 삼층석탑
▲ 원원사지 삼층석탑 십이지신상 원원사지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원원사지 삼층석탑
▲ 원원사지 삼층석탑 사천왕상 원원사지 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그리고 1층 몸돌에는 생동감이 넘쳐 사실적인 표현으로 동서남북에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다. 동탑에 소는 머리 방향을 따로 돌리고 있어 특이하다.

관문성이 보이는 곳

신대리에 관문성 일대가 일부 보이는 마우나오션리조트 입구에는 루지를 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루지는 소형 썰매로 좌석에 앉아 발과 손잡이 로프로 조정한다. 잠시 휴식을 취하고 양남 쌍계폭포를 보고 동해 바다로 가서 식사를 하였다.

루지를 타는 사람들
▲ 루지를 타는 사람들 루지를 타는 사람들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동해바다
▲ 동해바다 동해바다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동해바다를 보고 잠시 여유를 즐기며 이견대 감은사지를 거쳐 장항리 사지에서 금강역사상을 살펴보고 분황사로 와서 금강역사상들을 비교해 보며 여러 가지 이야기를 나누다 황룡사지 서편 절터에 남아 있는 탑신석에 새겨진 사천왕상을 살펴보고 야간에 주말이라 안압지에서 열린 야외 행사를 관람하고 마무리한다.

황룡사지 서편 절터
▲ 황룡사지 서편 절터 탑신 사천왕상 황룡사지 서편 절터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주말 안압지 공연
▲ 주말 안압지 공연 주말 안압지 공연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하나의 주제를 정하여 유적지를 살펴보니 한 가지는 확실히 눈에 들어오고 전체적인 윤곽이 확 잡히는 느낌이다. 언제나 갈 곳 많은 경주는 정말 찾아도 무한정 유적지의 아름다움를 시사하고 있다.


태그:#경주지역 탑, #사천왕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국의 문화유적을 찾아 답사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구석진 곳에 우리문화를 찾아서 알리고 문화관련 행사를 좀 더 대중에게 보급하고자 하며 앞으로 우리문화재의 소중함을 일깨워 나아가려고 합니다. 괌심분야는 역사유적, 석조조형물과 민속,고건축물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