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4월 3일 저녁 8시30분 경기도 성남 모처 도로가. 산후조리원이 그곳에 있어 갔는데 도로가에 불법 주차차량이 즐비해 있다. 언제나 그랬듯이 주차위반 스티커가 붙어 있다. 꼼짝없이 4만원을 내야 한다. 간발의 차이로 딱지를 면한 차도 있다. 그러나 안심할 수 없다. 저녁 8시에 구청에서 한 바퀴 돌았으니 9시가 되면 또 한바퀴 돈다.

 

그런데 이상하다. 유독 딱지를 안 붙인 차량이 몇 대 보인다. 낮부터 세워져 있다가 들락날락한 차량인데 바로 선거유세, 선거운동원들 차량이다. 바로 앞 건물을 보니 이번 총선 후보 사무실이 보인다. 그때 식당에서 나오던 운전자가 자신의 차에 붙은 주차위반 스티커를 보더니 불만을 털어놓는다.

 

"아니 저 차들은(운동원들 차량) 낮부터 있었는데 딱지 안 떼고 저녁 먹고 나왔는데 왜 우리 차만 딱지를 뗀 거야?"

 

뭔가 형평성에 어긋나 보였다. 구청 단속반들이 선거 관련차량은 무서워서 불법주차 딱지를 안 붙였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스티커에 구청 단속반 전화번호가 있어 받아 적었다.

 

산후조리원에서 1시간 정도 있다가 나왔다. 여전히 선거운동원들 차량에는 딱지가 붙어 있지 않았다. 나는 휴대폰으로 후보의 얼굴이 크게 나와있는 선거차량을 촬영했다. 바로 그때 예닐곱 명의 선거운동원이 차를 타고 나타났다. 그들이 내게 물었다.

 

운동원들 "왜 찍으시는거에요?"

나  "네, 일반차량은 딱지 떼고 선거차량은 안뗀 게 좀 이상해서요. 구청 단속반에게 물어보려구요."

운동원들 "아, 그거요. 선관위하고 구청하고 협의해서 선거운동기간에는 선거운동 차량에 한해서 딱지 안 떼기로 했어요. 선거라고 앞에 스티커 붙어 있는 차들이요. 워낙 많은 곳을 돌아다녀야 하니까요. 그런데 선거차량인데요 어떤 차는 딱지가 계속 날아와요. 나중에 서류 첨부해서 제출해야 해요."

 "그럼 이미 끊은 딱지는 구제받을 수 있다는 얘기네요?"

운동원들 "그렇지요.”"

 

나는 혹시 선거법이 개정돼 선거운동 차량의 주차위반은 예외로 했는지, 선관위와 구청이 협의했다는 내용이 전국 공통인지 물어보았지만 시원한 대답을 듣지 못했다. 단지 "선관위에서 내려와서…" 라는 말밖에 들을 수 없었다.

 

선관위에서 구청하고 협의해서 한다는데 내가 무슨 할 말이 있겠는가? 나랏님이 하시는 일이니 말이다. 그래도 좀 찜찜한 생각이 들었다. 선거유세 차량이 역주행하고 불법주차에 고성능 스피커로 소음공해를 만들어내는 일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니까.

 

그런데 선거 운동원들의 운동 행위는 공공을 위한 것일까 아니면 당선될 국회의원 개인의 명예와 이익을 위한 것일까? 전자라면 주차위반 스티커를 면제받을 만한 사유가 되겠지만 후자라면 좀 곤란할 것이다. 그런데 공공을 위한 것인지 개인을 위한 것인지는 아직은 알 수 없을 게다. 총선이 끝나 봐야 할 일이다.

 

덧붙이는 글 | 티스토리 블로그에도 올렸습니다.


태그:#주차위반, #선거운동, #선거운동원, #불법주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안녕하세요. 소통과 대화를 좋아하는 새롬이아빠 윤태(문)입니다. 현재 4차원 놀이터 관리소장 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성을 존중하며 착한노예를 만드는 도덕교육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