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ㄱ. 히트(hit)

 

.. 몇 년 전인가 〈사랑과 영혼〉이라는 미국 영화가 우리 나라에서도 상당한 히트를 친 적이 있었다 ..  《한정식-사진, 시간의 아름다운 풍경》(열화당,1999) 68쪽

 

 “몇 년(年) 전(前)인가”는 “몇 해 앞서인가”로 다듬으면 좋아요. ‘상당(相當)한’은 ‘크게’나 ‘많이’로 다듬을 수 있어요.

 

 ┌ 히트(hit)

 │  (1) 세상에 내놓거나 발표한 것이 크게 인기를 얻음

 │   - 최고의 히트 상품 / 신곡이 히트를 치다

 │  (2) = 안타(安打)

 │

 ├ 상당한 히트를 친 적이 있다

 │→ 크게 인기를 모은 적이 있다

 │→ 널리 사랑을 받은 적이 있다

 └ …

 

 야구라는 운동경기에서 ‘안타’를 ‘히트’라고도 하는데, 이 말을 걸러내야 한다고 말하면서도 해설자나 신문기자는 ‘히트 앤드 런’이라는 말을 버리지 못합니다. 우리 말로는 ‘치고 달리기’인데요. ‘런 앤 히트’라는 말도 쓰는데, ‘달리고 치기’로 고치면 좋습니다.

 

 보기글은, “미국 영화를 우리 나라 사람들도 많이 좋아했던 적이 있다”로 다듬을 수 있어요. “최고의 히트 상품”은 “최고 인기 상품”이나 “가장 사랑받는 상품”으로 다듬으면 되고요. “신곡이 히트를 치다”는 “새노래가 사랑을 많이 받다”로 다듬으면 딱 어울립니다.

 

 

ㄴ. 퀄리티(quality)

 

.. 그리하여 건강과 시간과 작업의 퀄리티에 얼마나 큰 손해를 끼치는지를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이나미-나의 디자인 이야기》(마음산책,2005) 17쪽

 

 “너무나 잘 알고”가 아니라 “아주 잘 알고”라든지 “대단히 잘 알고”처럼 써야 올바릅니다. “큰 손해(損害)를 끼치는지”로 써도 나쁘지 않지만, “안 좋은지”나 “나쁜지”라고만 쓰면 한결 낫구나 싶어요.

 

 ┌ quality

 │  1 [U.C] 질(質)(opp. quantity)

 │   a 특성, 특질, 특색(characteristic)

 │   b [U.C] 소질, 자질

 │   c [U.C] 품질, (품질의) 좋고 나쁨

 │   d 본질

 │  2  우량질, 우량성(excellence), 우수성, 고급

 │  3 《드물게》 성격, 기질

 │  4  《고어》 사회적 지위;《고어》 높은 신분;자격(capacity)

 │  5 《드물게》 자격, 입장

 │  6  【음악·음성】 음질;(모음 등의) 음색(timbre)

 │  7 X선의 침투력

 │  8 고급 신문[잡지]

 │  9 능력, 재능

 │

 ├ 작업의 퀄리티에

 │→ 작업의 질에

 └ …

 

 문화나 예술 쪽에서 일하는 분들은 요 100 해 사이에 ‘퀄리티’ 같은 서양말을 즐겨씁니다. 앞으로도 한동안 이런 말씀씀이가 이어가리라 봅니다. 저처럼 어리숙하고 지식이 얕은 사람은 알아듣기 어려운 말이라, 그때그때 영한사전을 뒤적여야 비로소 말뜻을 헤아릴 수 있는데, 이런 서양말을 즐겨쓰는 분들은, 자기들이 하는 말을 ‘다른 사람이 잘 알아듣는지 못 알아듣는지’는 생각하지 않는 듯합니다. 듣는 쪽을 생각한다면, 자기 말투나 말씨를 바꿔야 하지 않겠어요? 아이들을 앞에 놓고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감으로 강의를 한다고 해 보셔요. 이때 이런저런 서양말을 잔뜩 끼워넣어서 말하면 아이들이 알아들을까요?

 

 이 보기글은 통째로 다듬고 싶습니다. 저라면, “그리하여 몸과 시간과 일 모두에 얼마나 나쁜지를 참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처럼 쓰겠어요. 쉽게 쓰자고요. 말하는 이도 듣는 이도 고개를 끄덕거리며 받아들이거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쓰자고요. 쉽게 풀릴 일을 비비 꼬지 말자고요.

 

 

.ㄷ 멤버(member)

 

.. 멤버는 상당한 지식인들인 것 같은데, 꼬리가 영 안 잡힌단 말씀이야 ..  《우라사와 나오키/윤영의 옮김-플루토 (3)》(서울문화사,2007) 65쪽

 

 ‘상당(相當)한’은 ‘꽤나-적잖이-저으기(적이)’로 다듬을 수 있습니다.

 

 ┌ 멤버(member) : 단체를 구성하는 일원(一員). ‘구성원’, ‘선수’, ‘회원’

 │    으로 순화

 │   - 후반전에 들어와서 멤버 교체가 있었다 / 구인회의 멤버가 모여들어

 │

 ├ 멤버는 상당한 지식인들

 │→ 회원은 꽤나 지식인들

 │→ 그곳 사람들은 적잖이 지식인들

 │→ 모두들 대단한 지식인들

 └ …

 

 한자말이라고 하지만, 예부터 써 온 말은 ‘회원’입니다. ‘회원’이라고 쓰는 한편, 때에 따라서는 ‘사람’이라고 해도 알맞습니다. 보기글에서는 ‘모두’로 다듬어도 어울리네요.

 

 요사이는 ‘멤버’뿐 아니라 ‘멤버쉽’이라는 말도 두루 쓰일 만큼 미국말이 우리 삶 깊숙하게 파고들었습니다. “모임 회원이에요” 하고 말하기보다 “까페 멤버예요” 하고 말하는 일이 한결 흔하다고 볼 수 있고, 앞으로도 이런 흐름은 이어지거나 더 깊어지리라 느끼고 있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방 <함께살기 http://hbooks.cyworld.com> 나들이를 하시면 여러 가지 우리 말 이야기를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태그:#영어, #우리말, #우리말, #미국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새로 쓴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를 꾸린다. 《쉬운 말이 평화》《책숲마실》《이오덕 마음 읽기》《우리말 동시 사전》《겹말 꾸러미 사전》《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비슷한말 꾸러미 사전》《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숲에서 살려낸 우리말》《읽는 우리말 사전 1, 2, 3》을 썼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