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대학 1학년 때 터미널에서 버스를 기다리다 선배를 만났다. 선배는 꿈의 크기를 공과 비교해서 이야기했다. 1학년 때는 꿈의 크기가 운동회 때 공굴리기 공만큼 컸다는 것이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농구공 축구공 핸드볼 공으로 점차 줄더니 이제는 탁구공만 하다고 했다. 그때는 웃어넘겼는데 나도 나이를 먹으며 그렇게 되었다. 아마 많은 사람이 그럴 것이다. 

꿈이 줄어드는 이유는 뭘까? 현실의 벽이 너무 높기 때문일까? 아니면 현실의 벽을 뛰어넘을 만큼 노력을 덜 했기 때문일까? 아무리 공이 커도 바람이 빠지면 끝이다. 정현종 시인의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되려면 바람이 빵빵해야 한다.

  그래 살아봐야지
  너도나도 공이 되어
  떨어져도 튀는 공이 되어
  살아봐야지
  쓰러지는 법이 없는 둥근
  공처럼, 탄력의 나라의
  왕자처럼
  가볍게 떠올라야지
  곧 움직일 준비 되어 있는 꼴
  둥근 공이 되어
  옳지 최선의 꼴
  지금의 네 모습처럼
  떨어져도 튀어 오르는 공
  쓰러지는 법이 없는 공이 되어.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정현종

당신은 꿈을 성취해 가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떨어져 보았는가? 쓰러진 적은 있는가? 떨어진 자리에 푹석 주저앉으면 바람 빠진 공이다. 바람(air)을 바람(wish)으로 바꿔 생각해보자. 공은 바람(air)이 빠지면 떨어졌을 때 튀어 오르지 못하고 사람은 바람(wish)이 빠지면 쓰러졌을 때 다시 일어나지 못한다. 바람으로 가득 찬 사람만이 튀어 오른다. 튀는 공처럼 바람으로 가득 찬 사람 이야기를 들어보자. 오자서(伍子胥) 이야기다.

오자서는 초(楚)나라 사람으로 이름은 오원이다. 아버지는 오사, 형은 오상이다. 오자서 선조로 오거가 있었다. 오거는 초 장왕을 바른말로 섬겨 이름을 드러냈기 때문에 후손이 초나라에서 명망 있는 집안이 되었다. 그러나 비무기라는 자의 모함에 빠져 아버지와 형이 죽임을 당하고 오자서는 도망자 신세가 되었다. 이 나라 저 나라 도망 다니며 죽을 고비를 넘기고, 병이 나서 먹을거리를 구걸하며 오나라에 도착했다. 오자서는 공자 광을 통해 오왕을 만나고자 했다. 

지금까지 오자서는 떨어진 공의 신세였지만, 오나라에서 다시 튀어 오를 준비를 시작한다. 오자서는 공자 광이 왕을 죽이고 나라를 차지하려는 은밀한 뜻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야외에서 농사를 지으며 때를 기다렸다. 5년 후 오나라의 모든 군대가 초나라를 쳐들어갔다. 오나라 내부가 비자 공자 광은 오왕 요를 습격하여 찔러 죽이고 스스로 왕위에 올랐다. 이 사람이 오왕 합려(闔廬)다. 합려가 즉위하여 뜻을 이루자 바로 오자서를 불러 함께 나랏일을 도모했다. 떨어진 공이 튀어 오르는 순간이다. 

합려는 즉위 3년(기원전 512년)에 군대를 일으켜 오자서, 백비와 함께 초나라를 쳐서 서를 함락하고 내친김에 영(郢)까지 가려고 하자 장군 손무가 "인민들이 지쳐있어 안 됩니다. 잠시 기다리시지요."하고 만류하여 바로 돌아왔다. 

합려 9년에 오왕 합려가 오자서와 손무에게 물었다. "처음에 그대들은 영(郢)에 들어갈 수 없다고 했는데 지금은 어떻소?"두 사람은 대답했다."초나라 장수 낭와는 욕심이 많고 당(唐)나라, 채(蔡)나라가 모두 그를 원망하고 있습니다. 왕께서 기어코 초나라를 크게 정벌하시겠다면 반드시 당나라와 채나라를 먼저 얻어야만 합니다."

합려가 그 말을 들어 군사를 모조리 일으켜 당나라, 채나라와 함께 초나라를 공격하여 초나라와 한수(漢水)를 끼고 진을 쳤다. 오나라는 승기를 타고 전진하여 다섯 번 싸우면서 마침내 영(郢)에 이르렀다. 오나라 병사들이 영에 들어왔을 때 오자서는 소왕을 찾았으나 찾지 못하자, 초나라 평왕의 무덤을 파헤쳐 시신을 꺼내 300번 채찍질을 가한 다음 그만두었다. 오자서가 원수를 갚은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오자서를 이렇게 평가했다."오자서가 오사를 따라 함께 죽었더라면 땅강아지나 개미와 무엇이 달랐겠는가? 작은 의리를 버리고 큰 치욕을 갚아 이름을 후세에 남겼으나 참으로 비장하구나! 오자서는 강에서 곤궁에 빠지고 길에서 구걸하면서 단 한시도 초나라를 잊지 못했을 것이다. 그래서 치욕을 견디고 공명을 세웠으니 장렬한 대장부가 아니고서야 누가 이렇게 하겠는가?" 

오자서는 떨어질 때까지 떨어지고 쓰러질 때까지 쓰러졌다. 그러나 그 자리에 주저앉지 않았다. 오자서는'쓰러지는 법이 없는 둥근 공처럼' 다시 튀어 올랐다. 바람(wish)이 있기 때문이다. '옳지 최선의 꼴 지금의 네 모습처럼' 당신은 튀어 오르는 공처럼 바람이 꽉 차 있는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화성시민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오정환, #정현종, #떨어져도 튀는 공처럼, #오자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밑빠진 독 주변에 피는 꽃, 화성시민신문 http://www.hspublicpress.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