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논은 물이 흥건한 습지이며 당연히 습지식물이 나고 자라는 곳이다.

농부는 논에서 벼 외의 식물이 자라는 것이 탐탁지 않기에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잡초를 제거한다. 벼농사에 있어서 잡초는 큰 일거리이다. 예전엔 이 잡초들을 손으로 다 제거했었지만, 지금은 과학의 힘을 빌어서 해결하고 있다.

제초제는 참으로 편리하게 잡초 문제를 해결한다. 모내기 전에 초기 제초제를 뿌리고, 모낸 후 보름 정도 지나서 중기 제초제를 살포하면 잡초 문제는 거의 해결할 수 있다. 요즘 새롭게 문제가 되는 잡초는 저항성 잡초이다. 항생제를 남용으로 인한 슈퍼박테리아가 발생하여 항생제 치료효과가 없어지듯이, 제초제를 사용해도 제초효과가 생기지 않는 저항성 잡초가 발생했다.

오랫동안 같은 계통의 제초제를 계속 사용하면 나중에는 그 제초제가 살포해도 잡초가 죽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저항성 잡초라고 한다. 우리나라 논잡초의 경우에는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등이 설포닐유레아계(SU계)의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나타나고 있어 잡초방제의 새로운 문제거리가 되고있다. 따라서 같은 계통 대신 다른 계통의 약제를 번갈아 사용해야 한다.

벗풀
 벗풀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잡초는 뭘까? 원하지 않는 곳에서 자라는 풀이다. 즉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상대적인 기준이다. 잡초의 대명사인 피도 예전에는 작물이었고, 예전에 작물이었던 달맞이꽃이 지금은 잡초이다. 벼농사에 있어서 왕골은 잡초이지만, 반면에 왕골농사를 하는 논에서는 벼가 잡초이다. 우리나라에 발생하는 논잡초는 약 100종이다. 이천 지역에서 문제가 되는 논잡초는 올방개, 물달개비, 자귀풀, 가막사리 등이다.

잡초는 씨를 뿌리기는커녕 해마다 제거하는 데도 끊임없이 발생하는 까닭은 왜일까? 잡초종자는 크기가 작고, 이동성도 높으며, 휴면성도 복잡하여 오랜 기간 동안 생존할 수 있으며, 특히 종자생산량이 많다. 한 그루에서 보통 수백~수백만 개의 종자를 생산하며, 미숙한 종자라도 발아할 수 있다. 토양은 종자은행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잡초의 종자는 땅 속에서 오랜동안 휴면하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발아하며 번식한다. 그러므로 잡초를 완전히 없앤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올방개
 올방개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논잡초의 분류는 생활주기에 따라서 일년생잡초와 다년생잡초로 나누고, 형태에 따라서 화본과(벼과), 사초과(방동사니과), 광엽잡초로 나눈다. 일년생잡초란 발생 후 일년 사이에 개화하여 종자를 생산한 다음 고사하는 잡초를 말하고, 다년생잡초란 지상부인 잎과 줄기는 일년 이내에 죽지만 지하부인 뿌리가 남아서 다음 해에 발생하는 잡초이다.

화본과와 사초과 잡초의 잎은 가늘면서 길고, 뿌리는 수염뿌리로서 비슷하여 구분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화본과는 줄기가 둥글고 속이 비었으며, 마디가 있는 반면에, 사초과는 줄기가 대체로 삼각형이고 속이 차있으며 마디가 없다. 또한 화본과잡초는 잎집(엽초)과 잎몸(엽신)이 뚜렷하고 잎의 가장자리가 둔한 곡선을 그리는 반면에 사초과잡초는 잎집과 잎몸이 뚜렷하지 않으며 잎 끝이 비교적 뽀쪽하고 가운데에 능선이 있다. 광엽잡초는 잎이 넓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잡초 비교
 잡초 비교
ⓒ 농촌진흥청

관련사진보기


잡초는 분명 벼를 힘들게 하는 경쟁자이다. 그렇다고 해서 잡초를 모조리 없애려고 제초제를 마구 살포하다가는 벼와 인간도 피해를 볼 수 있다. 벼의 잡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을 고려해야 한다.

제초제의 처리 시기와 양을 잘 조절해야 하며, 우렁이 등을 이용한 친환경농업과 논갈이와 예초기 등을 이용한 방법 등을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잡초의 씨를 말리겠다는 욕심은 오히려 농약중독, 토양오염, 노동력 낭비 등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잡초는 어쨌든지 잡초의 근성대로 살아날 것이다. 잡초의 성질을 잘 파악하여 관리해야 하며 벼에게 큰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타협을 봐야 할 것이다.

재배벼는 잡초의 싸움 상대가 되지 못한다. 재배벼는 인간의 돌봄이 없다면 잡초에게 KO패를 당할 운명이다. 재배벼는 생산을 위해 자라지만 잡초는 생존을 위해 자라기 때문이다. 재배벼는 식량을 생산하기 위한 인간에게 길들여진 맞춤식물인 반면에, 잡초는 스스로 생존력을 터득한 야생식물이다. 식량을 위해 농사를 짓는 인간에게 있어서 잡초는 골치거리이지만, 잡초의 삶에 대한 의지와 야성은 배울 만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종이인형-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DAUM블러그 <시골뜨기의 잠꼬대>에도 기재되었습니다.



태그:#이천쌀, #벼, #잡초, #벗풀, #올방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