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햇볕이 내리쬐는 8월의 어느 날,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 도착한 나와 21명의 청년들. 한국의 여름과 별반 다를 것 없었지만 무더운 날씨는 앞으로의 여정의 험난함을 예상케 했다. 열정적인 신앙인의 고무적인 표정도 보였고, 부모님의 등쌀에 떠밀려 억지로 끌려온 사람들의 찌푸린 표정도 보인다. 나도 그들 중 한명이다.

 

"우리나라 사람도 도와준 적이 없는데 무슨 외국까지 와서... 그리고 일주일도 안 되는 시간에 무슨 선교가 되겠어요?"

여전히 냉소적인 말투로 투덜투덜 짐을 푼 채 마닐라의 첫날밤을 보냈다.

 

다음날 오전 7시, 평소라면 꿈나라에 있을 시간. 허겁지겁 아침을 먹고 버스에 몸을 맡긴다. 도착한 장소는 마닐라에서 2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어느 빈민촌. 동물보호구역처럼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허가 없이는 들어갈 수 없다. 반대편에 보이는 으리으리한 집과 너무 대비되는 모습에 잠시 영문모를 생각에 잠긴다.

 

청년들이 할 일은 조만간 진행될 아스팔트 공사에 대비에 길을 정리하는 것. 내리쬐는 햇볕에 질퍽한 진흙. 결국 모두 신발과 웃통을 벗고 삽을 하나씩 들었다. '무슨 군대도 아니고...' 또 푸념을 한다. 찝찝한 감촉의 진흙을 밟으며 길에 난 돌들과 잡초를 걸러낸다. 현지 목사님이 옆에서 말을 걸었다.

 

"힘들죠? 우리에겐 3시간의 노동이지만, 저 사람들에게는 평생의 편안함이 될 수 있어요."

 

 

반대편 너머로 멀뚱멀뚱 우리를 지켜보는 아이들이 보인다. "

 

"애들 눈빛이 순수해 보이네요. TV랑 컴퓨터를 안 해서 그런가?"

나의 말에 순간 주위 사람들이 웃는다. 근데 그 아이들의 눈은 정말 맑고 순수했다. 잠시 동안의 휴식 이후 현지 주민들과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어떻게 이런 곳에서 살죠? 진짜 불쌍하다."

내 말에 목사님이 대답한다.

"저들이 정말 힘들면 저렇게 웃을 수 있을까요? 물질적 기준에서 판단하면 모든 게 그렇게 보일 수 있어요. 저들이 정말 왜 불쌍한지 느끼고 돌아갔으면 좋겠어요."

 

목사님의 말에 잠시 조용해 졌다. 모두들 나처럼 생각했던 것 같다. 우리의 목적은 선교였기 때문에 노래와 설교를 통해 기독교에 대한 얘기를 전했다. 말은 안 통했지만 모두들 사람들의 손을 잡고 기도를 시작했다. 기도가 어색한 나도 어설프게 시작했다.

 

 

힘든 여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 버스에서 목사님이 말씀하신다. "아까 말한 것 기억나죠? 과연 그들에게 무엇이 필요했을까요?" 짓궂은 표정으로 목사님이 나를 쳐다본다.

 

"음... 제가 신앙심도 없고, 그렇다고 기도할 때 제 말을 알아듣지도 못했을 거 아니에요? 선교의 목적 이전에 그냥 관심이 필요했던 것 같아요."

 

"맞아요. 그들에게 우리가 해줄 수 있는 것은 조금의 양식과 돈이 전부가 아니에요. 그건 우리가 그들을 단순히 물질적으로만 동정하는 것뿐이죠. 물질은 오래가지 않습니다. 그들의 눈을 봤죠? 경제적으로 힘들어 하는 표정이던가요? 오히려 그들을 통해 우리가 얻어 가는 것이 더 많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들은 우리에게 물질을 떠난 마음의 풍족함을 보여주었어요. 우리는 마음속에 우러나온 관심과 사랑을 주고, 그들을 위해 기도를 해주면 되요. 그것이 우리 삶 속에 실천할 수 있는 선행이고, 진정한 선교입니다."

 

 

다들 깨닫지 못했던 것들을 깨달은 표정이었다.  내일을 걱정하는 나의 피곤한 표정... 하지만 어제보다 훨씬 밝아져 있었다.


태그:#선교, #기독교, #사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