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울산 남구 울산항만공사에서 열린 울산 경제인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울산 남구 울산항만공사에서 열린 울산 경제인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대통령실 제공

관련사진보기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10일 한국갤럽 3월 2주차 조사에서 34%로 나타났다. 전주 조사 대비 2%p 하락한 결과로 한국갤럽 조사 기준,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약 한 달 만에 30% 중반대 아래로 다시 떨어진 셈이다. 일본 정부 사죄 및 전범기업 배상 없는 '제3자 변제' 방식의 정부 강제동원 해법안에 대한 역풍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은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응답률 9.5%)에게 무선(95%)·유선(5%) 전화면접 조사 방식으로 윤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부정평가 여부 등을 물었다. 그 결과, '윤 대통령이 국정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전주 조사 대비 2%p 하락한 34%로 나타났다. 부정평가는 전주 조사 대비 3%p 오른 58%였고, 그 외는 '어느 쪽도 아님/모름 및 응답거절' 등으로 의견을 유보했다.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30대 긍정평가 10%p 하락, 보수층 긍정평가 8%p 하락

특성별 응답자 변화를 살펴보면 대다수 지역·연령별에서 긍정평가가 하락했다. 게다가 국민의힘 지지층과 이념성향별 보수층의 긍정평가 역시 하락했다.

지역별로 봤을 땐, 대구·경북(5%p▲, 45%→50%, 부정평가 36%)을 제외한 대다수 지역에서 긍정평가가 하락했다. 서울(7%p▼, 36%→29%, 부정평가 65%)의 긍정평가 하락 폭이 가장 컸다. 부정평가 역시 전주 대비 11%p 올랐다. 그 다음으로 긍정평가 하락 폭이 큰 곳은 광주·전라(5%p▼, 16%→11%, 부정평가 82%), 인천·경기(2%p▼, 35%→33%, 부정평가 61%), 대전·세종·충청(1%p▼, 38%→37%, 부정평가 55%), 부산·울산·경남(1%p▼, 44%→43%, 부정평가 46%) 순이었다.

연령별로 봤을 땐, 40대(1%p▲, 21%→22%, 부정평가 74%)와 50대(3%p▲, 34%→37%, 부정평가 57%)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긍정평가가 하락했다. 특히 3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10%p 하락한 13%,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7%p 오른 79%로 나타났다. 18·19세 포함 20대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5%p 내린 19%,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9%p 오른 66%였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적 평가를 했던 60대(1%p▼, 58%→57%, 부정평가 39%)와 70대 이상(1%p▼, 59%→58%, 부정평가 33%)의 긍정평가도 소폭 하락했다.

여당 지지층과 보수층의 경우, 긍정평가는 내리고 부정평가가 올랐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5%p 내린 71%,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5%p 오른 22%였다. 보수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8%p 내린 56%, 부정평가는 9%p 오른 38%였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의 긍·부정평가(긍정 18%-부정 64%)는 전주 대비 변화 없었다. 하지만 중도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2%p 내린 27%,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p 오른 65%였다.

부정평가 1순위 '민생·물가' 밀어낸 '강제동원 배상 문제'
  
전범기업의 배상 책임을 묻지 않는 ‘제3자 변제’를 핵심으로 하는 윤석열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 발표를 규탄하는 촛불집회가 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주최로 열렸다. 참가자들이 윤석열 대통령, 박진 외교부장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서민정 외교부 아태국장을 을사오적과 비교해 ‘강제동원 계묘5적’으로 표현한 피켓을 만들어 규탄하고 있다.
 전범기업의 배상 책임을 묻지 않는 ‘제3자 변제’를 핵심으로 하는 윤석열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피해배상 해법 발표를 규탄하는 촛불집회가 6일 오후 서울광장에서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주최로 열렸다. 참가자들이 윤석열 대통령, 박진 외교부장관, 김성한 국가안보실장,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서민정 외교부 아태국장을 을사오적과 비교해 ‘강제동원 계묘5적’으로 표현한 피켓을 만들어 규탄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안에 대한 비판 여론이 반영된 결과다. 이번 조사의 대통령 국정수행 긍·부정평가 사유를 살펴보면, 부정평가 사유로 '일본 관계/강제동원 배상 문제'(16%)가 새로 등장해 1순위를 차지했다.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자에게 자유응답으로 그 이유를 물은 결과다.

대통령 국정수행 부정평가자들은 그 이유로 '일본 관계/강제동원 배상 문제'(16%), '외교'(13%), '경제/민생/물가'(10%), '독단적/일방적'(6%), '경험·자질 부족/무능함', '소통 미흡'(이상 5%), '검찰 개혁 안 됨/검찰 권력 과도', '인사(人事)'(이상 4%) 등을 이유로 들었다. 한국갤럽 2월 1주차 조사 이후 부정평가 사유 1순위였던 '경제/민생/물가'를 3순위로 밀어내고,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 논란과 연관된 사유들이 1, 2순위로 올라온 셈이다.

한국갤럽이 이번 조사에서 따로 조사한 강제동원 해법 및 한일관계 관련 질문에서도 정부 해법안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비등한 편이었다.

정부 강제동원 해법안에 대해 "한일관계와 국익을 위해 찬성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37%, "일본의 사과와 배상 없어 반대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59%였다. 의견을 유보한 응답은 6%였다. 특성별 응답을 봤을 땐,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자(78%), 여당 지지층(67%)에서 정부 해법안에 대한 찬성 의견이 강했다. 그러나 보수층과 60대 이상에서는 찬성 의견이 50% 안팎이었고 반대 의견도 약 40% 수준으로 적지 않은 편이었다.

정부가 한일 경제단체를 통해 '청년미래기금'을 공동 조성해 양국 청년들을 지원하되, 해당 기금에 전범기업의 참여를 유도해 사실상의 배상참여를 이끌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배상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64%로 나타났다. "배상한 것으로 보겠다"는 의견(27%)을 훌쩍 앞서는 결과다. 특히 이에 대해서는 정부 해법안 찬성자(57%),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자(52%), 여당 지지층(47%)에서도 "배상한 것으로 보겠다"는 의견이 60%를 넘지 않았다.

컨벤션 효과 없었나... 국민의힘 지지도 소폭 하락
 
 
김기현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가 8일 오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후 당기를 흔들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신임 당대표가 8일 오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3차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후 당기를 흔들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한편, 이번 조사에선 국민의힘 지지도도 하락했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전주 대비 1%p 내린 38%로 나타났다. 새 지도부를 선출한 3.8 전당대회의 '컨벤션 효과(정치적 이벤트 직후 해당 정당 및 정치인의 지지율이 상승하는 현상)'가 발휘되지 않은 셈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5%p 오른 32%로 집계돼 양당 지지도 격차는 다시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 이 밖에 정의당 지지도는 전주 대비 1%p 내린 4%,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5%였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태그:#윤석열 대통령, #한국갤러, #국정 지지율, #여론조사, #강제동원 해법
댓글1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