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킥오프 회의'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킥오프 회의' 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변인실 이영규

관련사진보기

   올해 5월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제2차 'AI 안전성 정상회의'(아래 정상회의)를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AI 글로벌 규범 자문단'(아래 자문단)의 첫 회의가 16일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아래 과기정통부)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 중구에 있는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국내 AI 전문가들이 참여한 자문단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정상회의의 주요 논의와 합의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산업계·학계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날 킥오프 회의에는 박윤규 과기정통부 차관, 산·학·연 전문가 20여 명이 함께 모였으며, 제1차 정상회의 결과를 공유하고, 제2차 정상회의의 주요 목표와 세부 내용에 대해 논의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이번 회의 참석자들은 AI 진전성 평가, 기업이 취해야 할 조치, 고성능 AI의 사회적 위험성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다. 

또 국내 AI 산업 환경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글로벌 차원의 AI 안전성 확보 및 AI 막대한 전력소요‧탄소배출 등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안전성 확보 등 지속가능한 AI 발전을 위한 제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이외에도 과기정통부는 자문단과 대면·영상회의를 수시로 개최해 정상회의의 목표, 의제 등을 설정‧구체화하고, 우리나라 AI 산업 육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공동 개최국인 영국, 정상회의 참석 국가들과 협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은 이날 회의에서 "이번 'AI 안전성 정상회의' 개최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규범 및 거버넌스 정립에 기여하고 전 세계와 함께 AI 혜택을 안전하게 누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존 방향성 중심의 AI 이니셔티브에서 나아가 구체적인 AI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글로벌 논의를 주도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산업계·학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국내 AI 산업 발전을 도모하겠다"라고 말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킥오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킥오프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변인실 이영규

관련사진보기

 
한편, 제1차 정상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처음으로 개최됐으며, 주요국 정상과 각료급 인사, 빅테크 CEO 및 글로벌 석학 등이 함께 AI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민간의 역할과 공조 방안을 논의했었다 .

이와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제1차 정상회의 후속 조치로서 요수아 벤지오 교수가 담당하는 '과학현황보고서' 작성에 우리나라 이경무 서울대 교수, 오혜연 카이스트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면서 "영국·미국·일본 등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AI의 안전성 연구와 평가를 담당하는 'AI 안전 연구소' 설립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생성형 AI, 온디바이스(On Device) AI 등 AI가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면서 일상생활과 사회·산업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나 거짓정보, 딥페이크, 사이버 보안 위협 등 고도화된 AI가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져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UN(국제연합) 고위급 자문기구, G7(주요 7개국) AI 히로시마 프로세스, 미국 AI 행정명령, EU(유럽연합) AI 법 등 국제사회와 주요국에서 AI 규범을 정립하는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디지털 기술·산업 역량을 인정받아 아시아 권역의 AI 강국으로서 차기 정상회의를 수임하게 됐으며, 전 세계적으로 AI가 안전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국가,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킥오프 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이 16일 오전 서울 중구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킥오프 회의'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변인실 이영규

관련사진보기


태그:#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박윤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