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23년 9월 30일 기준 완도군 인구
 2023년 9월 30일 기준 완도군 인구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전남지역 인구가 180만 명 아래로 내려갈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 2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인구는 2020년 말 185만1천여 명, 2021년 말 183만2천여 명, 2022년 말 181만7천여 명, 올해 8월 말 180만8천여 명으로 매년 1만 명 이상 감소하고 있다. 

도는 "이 흐름이라면 2024년 상반기에 180만 명 선마저 무너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 밝혔다. 전남 인구는 1990년 250만7천여 명, 2000년 213만여 명으로 200만 명을 유지했지만, 2010년 191만8천여 명으로 200만 명 선이 깨졌다.

4만 7천 명 무너진 완도

올 9월 30일 기준, 완도군의 인구 또한 4만6874명으로 지난해 같은 날짜에 비해 956명이 감소하면서 4만 7천 명이 무너졌다.

완도읍은 12개 읍면 중 가장 많은 감소세를 보였다. 271명 감소한 1만7327명을 기록했다. 그다음으로 노화읍이 116명 감소한 4833명, 고금면이 114명 감소한 4009명으로 나타났다. 

금당면은 33명 감소한 907명, 생일면은 21명 감소한 761명으로 완도군 12개 읍면 중 가장 적은 인구수를 보였다. 

조직개편 등 민선 8기 정책의 효용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면, 0~9세 인구는 2472명으로, 지난해 2711명보다  239명 감소했다. 이는 신생아 출산율의 저조로, 출산장려정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역 내 청소년 수 또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세부터 19세에 해당하는 인구는 올해 3449명으로 지난해 3362명 보다 87명이 감소했다. 

20대 청년정책을 가늠해 볼 수 있는 20~29세 인구는 지난해 3347명에서 3164명으로 183명 감소했다. 군이 조직개편을 통해 중점을 두겠다고 밝힌 경제 생활인구 유입에 해당하는 30~39세 인구는 지난해 3367명에서 올해 3112명으로 255명 줄어들어 직장이나 귀어·귀촌 등 사회적 진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흐름이다. 

은퇴 후 귀농을 희망하는 나이대인 50~59세의 인구 또한 지난해 7755명에서 올해 7502명으로 253명이 감소했다. 

80세 이상에서 유일하게 인구 증가세를 보였는데, 80~89세 인구는 지난해 5480명에서 올해는 5653명으로 173명이 증가했다. 완도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나이대로는 60~69세로 올해 8863명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1만6717명으로 36%의 고령화율을 보였으며, 남자가 7001명, 여자는 9716명으로 여초 현상이 두드러졌다. 

완도의 평균 연령은 53.5세로 전남의 48.4세보다 5세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청년 유출 막는 게 더 시급"

지역 언론 종사자 A씨는 "군이 민선 8기 들어 6급의 인구정책팀을 4급 서기관급 직제 2순위 부서로 격상시키며 지역소멸의 가속화를 막고자 했으나, 그 많은 혈세와 인력을 투입하고도 주요 연령대의 인구수가 감소하고 있다"며 "정책의 실패라고 여겨진다"고 말했다.

A씨는 "타지역 청년을 유입하기에 앞서 지역 청년의 유출을 막는 일이 더 시급하다. 무엇보다 지역의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유년기, 청소년기부터 지역을 이해하고 알아가는 체험·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성찰했다. 

이어 "지금의 위기는 사회, 경제, 문화 등 복합적 요소가 작용한 결과로 지방 차원에서 해결하기는 매우 어려운 문제"라며 "저출산 문제, 부동산 과열, 양극화, 지방소멸이라는 국가적 난제를 풀기 위해선 정부, 국회, 지자체가 한뜻으로 지역을 견인할 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완도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완도신문, #완도 인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완도신문은 1990년 9월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고, 참 언론을 갈망하는 군민들의 뜻을 모아 창간했다. “진리는 반드시 따르는 자가 있고 정의는 반드시 이루는 날이 있다”는 사훈을 창간정신으로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언론의 길을 걷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