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는 작은 시골 마을에는 대형 마트나 슈퍼가 없다. 마을 곳곳의 작은 가게들에서 생필품을 조달한다. 닭은 닭집에서 치즈는 치즈집에서 고기는 고기집에서 사는 식이다. 다만 매주 토요일에는 마을에 장이 열린다. 마을 각 가게 주인들이 자신들의 물건을 한 군데 모아 놓고 파는 식이다. 지난 토요일 나는 마을 장터에서 토마토 열 개, 오렌지 네 개, 양파 아홉 개, 당근 여섯 개, 사과 여섯 개, 호박 두 개, 바나나 다섯 개, 파파야 반 통, 포도 1kg을 샀다. 내가 계산한 돈은 289페소다. 그 중 절반(140페소)가 포도 값이었다. 멕시코에서 포도는 매우 비싼 과일이다.
림수진
중간에 간식을 전혀 하지 않았음에도 이른 저녁이 되어 식구들이 모일 때까지 부부 합계 소득의 40%가 오직 식비로 이미 지출되었다. 저녁은 그래도 아침이나 점심보다는 나아야 할 텐데, 부부에겐 이제 300페소(한화 2만2800원)의 돈이 남아 있을 뿐이다. 날이 제법 쌀쌀해진 요즘 닭수프라도 끓여 먹으면 좋으련만, 2㎏ 기준 닭 한 마리 값이 150페소(한화 1만1400원)를 넘어섰다. 고기 중 가장 만만한 게 닭인데, 이젠 닭도 맘대로 사 먹기 쉽지 않다. 닭수프를 끓이자면 쌀, 마늘, 양파, 토마토 등을 사야하기에 적어도 200페소는 써야 한다. 물론, 여기에 전기료와 가스값은 포함되지 않는다.
맘 크게 먹고 저녁은 닭수프를 끓인다. 저녁을 먹고 나면 부부가 아침부터 늦은 오후까지 일을 하며 벌어온 돈 중 100페소가 남는다. 일요일엔 일을 하지 않기에 하루에 100페소 정도는 일요일을 위해 모아둬야 한다. 하루 번 돈 80%를 일용할 양식으로 지출하고 20%를 남기는 셈이다.
후안과 마리아 부부가 한 달에 25일을 일하고 버는 돈은 1만2500페소(한화 95만원), 2023년 멕시코 중산층의 가계소득 기준이 1만4500페소(한화 110만원)에서 시작되니, 약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현재 멕시코 도시에서 절대빈곤선 기준이 1인 한 달 소득 2225페소(17만원), 그리고 빈곤선 기준이 4415페소(34만원)이니 마리아와 후안의 경우 결코 빈곤층이라 할 수 없다. 둘의 소득을 합하면 교사, 은행 창구 직원, 대졸 신입사원, 택배 기사들보다 훨씬 높다. 그럼에도 가계 소득의 80%를 식료품 지출로 사용한다. 주거비나 의복비 혹은 교육과 여가는 이들의 지출 항목에 끼어들 여지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