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개똥지빠귀(34×24, 아르쉬지 수채, 2013)
 개똥지빠귀(34×24, 아르쉬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새! 하늘을 날다…'

김태완 화가가 <새>전(展)을 열고 있습니다. 김 화가의 4번째 개인전인 이번 새 전시회는 지난 오는 20일까지 여수시 화장동에 자리한 전라남도학생교육문화회관의 '린 갤러리'에서 열립니다.

자연을 주제로 한 김 화가의 옴니버스 전시는 '새'전에 이어 '물고기'전, '들꽃'전 등까지 계획되어 있어 관심이 쏠리는 중입니다. 그는 <자연 시리즈>전을 기획한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인간이 만든 물건으로 인해 자연이 힘들어하고 있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던 자연들이 이제는 멸종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이런 자연을 되살리고 싶은 마음이다."

이는 거추장스런 옷들을 몸에 걸치지 않고도 평화롭고 자유롭게 살아 온 태초의 인간으로의 회귀 본능이지 싶습니다. 문명은 인간의 욕심과 탐욕을 숨긴 채 편리성과 풍요를 주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자연 훼손으로 인해 다른 생명들을 멸종 위기로 내몰았습니다.

그러니까 김태완 화가의 <자연 전>은 인간만을 위한 이기적인 문명 속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새, 물고기, 들꽃 등 모든 자연을 품고자 하는 한 인간의 애타는 몸부림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새의 특징 등 객관적 시각을 보여주는 것에 충실했다."

독수리(41×31, 파브리아노지 수채, 2013)
 독수리(41×31, 파브리아노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솔개(29.8×42, 아르쉬지 수채, 2013)
 솔개(29.8×42, 아르쉬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황조롱이(42×29.8, 아르쉬지 수채, 2013)
 황조롱이(42×29.8, 아르쉬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지난 14일 오후 김태완 화가의 전시실을 찾았습니다. 그는 전시실 벽면에서 날고 있는 새를 하염없이 보고 있었습니다. 김 화가가 빠져 있던 그림은 눈을 크게 부라리며, 날개를 활짝 펴고, 발톱까지 확 세운 독수리였습니다. 그는 아마 기꺼이 그림 속 독수리 밥이 되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그래 설까, 그의 갈기(머리카락)는 문명으로 인해 고통스런 삶을 살아가는 자연마냥 검은 갈기 사이사이에 흰 갈기를 덕지덕지 붙이고 있었습니다. 이런 김 화가의 갈기는 고통스런 다른 생명을 바라보는 사랑스런 고뇌의 눈, 그 자체였던 셈입니다.

"새의 골격이나, 물고기 잡을 때의 자세, 새의 특징 등 객관적 시각을 보여주는 것에 충실했다."

김태완 화가가 작품을 준비하면서 가장 신경 썼던 부분입니다. 그는 남해안의 철새와 붙박이 새를 그리면서 새의 특징에 주목했습니다. 황조롱이 특색은 날다가 공중에 멈추고 먹잇감을 살피는 몸짓이고, 솔개는 꼬리가 'M'자 형태라는 것입니다. 세밀한 관찰이 동반된 특징들입니다.

"그림은 손 뿐 아니라 발로도 그리고 온 몸으로 그리는 과정이다."

김태완 화가가 새들을 관찰하며 다시 한 번 절절히 느낀 소감입니다. 그냥 획득되는 게 없는 삶에 대한 깨달음일 것입니다.

인간과 자연도 서로 보살피며 살아야 힘 얻는 공생 관계

남해삼광조(31×41, 파브리아노지 수채, 2013)
 남해삼광조(31×41, 파브리아노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새! 하늘을 날다...> 김태완 개인전
 <새! 하늘을 날다...> 김태완 개인전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물까치(32×24, 아르쉬지 수채, 2005)
 물까치(32×24, 아르쉬지 수채, 2005)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새! 하늘을 날다>전을 보러 온 신재은씨는 "자라나는 새싹들에게 사라져 가는 위기의 새들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 것 같고, 우리 2세들을 향한 교육적 측면이 강하게 느껴져 좋았다"면서 "아이들이 그림을 보고 상상력을 키워가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바람을 알았을까. 김태완 화가는 자연 그림들을 조류도감이나 식물도감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합니다. 의미 있는 작업인 셈입니다.

멸종 위기의 '남해 삼광조' 그림은 둥지 속 새끼들에게 먹이를 주기 전 멈춤의 시간에서 자식을 향한 어미의 지극한 사랑이 고스란히 전달되었습니다. 또 나뭇가지에 앉아 있는 '물까치' 발아래에 핀 꽃에서 상생을 보았습니다. 이게 자연의 이치인 것을….

"제 남편요? 치열하고 열정적이지만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사람입니다. 이런 사람과 부부의 연을 맺은 것은 제게 행운이지요."

김태완 화백의 부인인 박진희 씨의 남편에 대한 평입니다. 화가 부부인 이들은 서로가 조언하고 격려하는 중에 용기를 얻는다고 합니다. 부부뿐 아니라 인간과 자연도 서로 보살피며 살아야 힘을 얻는 공생 관계임을 알아야겠습니다.

"나의 작업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 속에 있으며 들풀처럼 우리 주변에서 항상 강한 생명력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든 대상에 있다."

김태완, 그의 도전은 허공에 울리는 메아리가 아닌, 세상을 밝히는 작은 초석이리라!

혹부리 오리(41×31, 파브리아노지 수채, 2013)
 혹부리 오리(41×31, 파브리아노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김태완 화가, 그의 화실에서 삶을 듣다!
 김태완 화가, 그의 화실에서 삶을 듣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물총새(32×24, 아르쉬지 수채, 2013)
 물총새(32×24, 아르쉬지 수채, 2013)
ⓒ 김태완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김태완 화가, #<새 하늘을 날다>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