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적 화령전의 정조 제향 때 사용할 물을 긷는 제정
▲ 화령전 제정 사적 화령전의 정조 제향 때 사용할 물을 긷는 제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물이란 땅을 깊게 파서 물이 괴게 한 시설을 말한다. 하지만 우물은 단순히 물을 얻기 위한 것만은 아니었다. 우물은 그 나름대로 사람의 생명을 유지하게 한 것이기에, 집집이 우물을 꼭 파고는 했다. 물론 민초들은 그런 우물 하나를 판다고 하면 많은 경비가 들어가기 때문에, 마을에 공동우물을 파서 식수원으로 삼았지만 말이다.

그렇다고 우물이 꼭 생명을 유지하는 식수원으로만 사용했던 것은 아니다. 옛 어르신들 말씀에 따르면 '우물의 물맛이 좋으면 그 집 장맛은 먹어보지 않아도 된다'고 할 정도로 우물에서 길어 올린 물은 여러 용도로 사용이 되었다. 우물에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하기도 한다. 그렇게 많은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우물은 다 같은 것일까?

우물에도 여러 형태가 있어

시계방향으로 서울 운현궁의 우물, 보성 득량면 마을우물, 전남 무안군 나상열가옥의 우물, 여주 골프장 안에 있는 단종이 마셨다는 어수정
▲ 우물 시계방향으로 서울 운현궁의 우물, 보성 득량면 마을우물, 전남 무안군 나상열가옥의 우물, 여주 골프장 안에 있는 단종이 마셨다는 어수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우물에도 여러 형태가 있다. 마을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동우물, 집안에서 사용하는 우물이 있는가 하면 산 속 깊은 곳에서 사람들의 목을 축일 수 있게 하여 놓은 옹달샘 등도 있다. 어느 곳을 가든지 당집 등이 있는 곳에도 제를 사용하는 데만 사용하는 우물도 있다. 옛날 능원 등에도 제정 혹은 어정이란 우물을 팠다.

다양한 형태의 우물에는 또한 이런저런 전설을 간직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 우물을 돌아보는 것만도 꽤 재미가 있다. 사람들은 그저 우물을 마실 수 있는 물이나 떠먹는 곳쯤으로만 알고 있지만, 사실 우물에 대한 기록물 하나쯤을 남겨놓는다는 것도 꽤 의미있는 일인 듯하다.

갖가지 사연도 많은 우물

시계방향으로 증평 사곡리 우물, 통영 정당새미, 화성을 지키는 신을 모신 성신사 제정, 함양 지곡마을 종암우물
▲ 우물 시계방향으로 증평 사곡리 우물, 통영 정당새미, 화성을 지키는 신을 모신 성신사 제정, 함양 지곡마을 종암우물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국을 돌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보면, 생각외로 많은 우물을 만난다. 그저 사진 한 두 장을 찍고 돌아섰지만, 지금 생각하면 참 바보 같은 짓이었다. 우물이야기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책 한 권을 쓸 수 있었는데 말이다. 참으로 별별 사연도 많은 우물들이다. 기회가 되면 우물만 한 번 엮어볼 심산이다.

여주군 북내면 한 골프장 안에는 '어수정'이란 우물이 있다.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이 되어 영월로 귀향갈 때 마셨던 우물이라고 하여, 임금이 마신 우물이란 뜻을 갖고 있다.

충북 증평군 사곡리 마을에는 사람이 빠져도 빠지지 않고 떠 있다는 우물이 있다. 그런가 하면 자식을 잃은 어미가 다 죽게 되었을 때 꿈에 아이가 나타나 어미를 우물로 인도하고, 그 물을 먹은 어미가 기운을 회복하였다는 함양 지곡마을의 종암우물도 있다.

이런저런 사연을 갖고 있는 우물들 중에 일반인들이 전혀 마실 수 없는 우물이 있다. 옛 임금들의 능원이나 제를 지내는 전각 옆에는 우물이 있게 마련이다. 이 우물은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가 없다. '어정(御井)' 혹은 '제정(祭井)'이라고 부르는 이 우물은, 임금의 제를 올릴 때 사용하는 물을 긷는 곳이기 때문이다.

경주 김호장군 고택의 우물은 신라 때부터 그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 김호장군 고택우물 경주 김호장군 고택의 우물은 신라 때부터 그 자리에 있었다고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사적 제115호인 정조 임금의 어진을 모시고 제를 지내는 화령전에는, 운한각을 바라보고 좌측 담 너머로 우물이 자리한다. 이 우물은 일반적인 어정이 둥근 형태로 조성한데 비해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올려 우물을 조성하였다. 아마도 이 우물은 화령전을 축조할 당시인 1801년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제정은 복원한 것이다.

화령전에서 제를 지낼 때 물을 떠 사용을 하던 제정은, 정방향의 형태로 각 방향에 14개씩 합 56개의 장대석을 치밀하게 쌓아올렸다. 높이는 5.5m이고 바닥에서 물이 고인 높이는 약 4m 정도이다. 우물의 밖으로 뻗어 나온 돌은 서로 반을 갈라내어 엇물려 놓았다. 장대석을 쌓아올려 우물을 만들었다는 것도 색다르다.

화령전에서 만난 제정

정조의 제향 때 사용하는 물을 긷는 제정
▲ 제정 정조의 제향 때 사용하는 물을 긷는 제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지난 4일 파워소셜러 팸투어에서 만난 제정에 소셜러들은 많은 관심을 보였다. 우선 우물의 형태도 남다르지만, 길게 물길을 내고 그 밑에 네모나게 물이 고이게 하여 두었다는 점이 색다르기 때문이다. 물은 맑아서 물고기를 넣어둘 정도이다. 팔달산에는 약수가 몇 곳이나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곳의 물 역시 일반적이지는 않을 것이란 생각이다.

사람의 생명을 지켜주는 우물. 그동안 참 다양한 형태의 우물들을 만났지만, 그동안 만났던 우물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경주 김호장군 고택에서 만난 천 년이 지나도록 그 자리(신라 때는 절터였다고 한다. 그때부터 아직도 우물은 제자리에 있다고)를 지키고 있는 우물과, 여주에서 만난 어수정 그리고 화령전 안에 조성한 제정 등이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e수원뉴스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우물, #화령전, #제정, #정조, #제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