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만안교 전경
 만안교 전경
ⓒ 최병렬

관련사진보기


안양추억페스티벌이 펼쳐지는 평촌중앙공원에서 오는 22일 오후 6시 전통문화예술인과 시민 2000여 명이 참여로 정조대왕이 화성 능행차를 위해 축조한 문화재 '만안교 다리쌓기'를 재현하는 대규모 퍼포먼스를 펼쳐 안양의 역사를 '추억'하고 공유한다.

만안교는 조선시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참배하러 갈 때, 안양시 석수동의 개천을 편히 건너도록 하기위해 축조한 조선 후기 대표적인 홍예석교(虹霓石橋)로 1795년(정조 19년)에 당시 경기관찰사(京畿觀察使) 서유방이 왕명을 받들어 전국의 석수쟁이들을 불러모으고 인근 삼성산 일대의 돌을 채취하여 3개월의 공역 끝에 이를 완성하였다.

마당놀이 형식으로 펼쳐지는 '만안교 다리쌓기'는 올해 11회째를 맞는 안양시민축제에 '추억'을 테마로 접목해 처음 갖는 '안양추억페스티벌'의 개막 행사로 시민참여형 축제에 보편성과 동질성을 갖는 '추억'을 폭넓게 공유하는 장으로 삼는다는 의미로 기획되었다.

풍물패와 소리패, 춤패, 뒷패가 나와 '여는 마당'으로 시작하는 행사는 만안·동안구 마당쇠가 서로 다리를 놓겠다고 옥신각신하다 각설이패, 장승놀이 노래패, 춤패, 노래패 등이 흥을 돋구고 시민들이 만안교를 재현하는 돌쌓기를 진행하는 등 1시간 30분 동안 펼쳐진다.

출연진은 참여신청을 낸 시민들과 시 31개 동 주민들, 안양에서 활동하고 있는 풍물놀이패들이 참여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휘감독은 김창진 안양민예총 회장이 맡고, 마당쇠(엄지용, 인성호), 약동풍물단, 소리향, 박정숙(경기민요), 장숙자(안무가) 등이 출연한다.

최솔 안양추억페스티발 총감독은 "만안교라는 지역의 대표적인 문화재(경기유형문화재 제38호)를 시민의 힘으로 단순히 재현하는 행사를 넘어, 이 과정에서 다양한 전통예술에 직접 참여하거나 경험하도록 한다는 데 각별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양시민축제에 '천년의 안양, 소통의 추억' 테마 담았다

2012 안양추억페스티벌 포스터
 2012 안양추억페스티벌 포스터
ⓒ 안양문화예술재단

관련사진보기


한편 안양시가 주최하고 (재)안양문화예술재단, 안양축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하는 안양추억페스티벌은 '천년의 안양, 소통의 추억!'을 주제로, '아름다운 추억의 도시, 안양!'을 슬로건으로 '천년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담은 이상향의 추억도시'를 콘셉트로 하여 오는 9월 21일부터 23일까지 3일 동안구 중앙공원과 만안구 삼덕공원 등에서 펼쳐진다.

이는 2001년에 시작한 안양시민축제가 올해로 11회째를 맞아 새로운 변신을 시도한 것으로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안양 지명(地名)의 역사성과, 이상향을 뜻하는 안양(安養)의 의미를 추억이란 테마에 담아내 '안양 추억페스티벌'로 처음 마련한 것이다.

주요 행사를 보면 평촌중앙공원에는 '향수의 추억로' '사랑의 추억로' '스마트 추억로'가 조성되고, 만안구 삼덕공원 일대에는 '영화의 추억로' '장터의 추억로' '패션의 추억로'가 마련돼 누구나 갖고 있는 추억을 되새기고 볼거리와 체험거리를 제공한다.


태그:#안양, #시민축제, #추억페스티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