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 장준하 선생의 장남 장호권씨와 서상섭 장준하기념사업회 운영위원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장준하 선생 의문사 재조사 요구서'를 청와대에 전달하려하자, 경찰들이 이를 막고 저지하고 있다.
이날 장준하기념사업회와 유가족은 "최근 묘소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37년 만에 처음으로 검사한 결과 명백한 타살의 증거가 드러났다"며 "국가가 국가의 책임을 다하는 자세로 이 사건의 진상규명과 재조사에 착수할 것"을 요구했다.
 고 장준하 선생의 장남 장호권씨와 서상섭 장준하기념사업회 운영위원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장준하 선생 의문사 재조사 요구서'를 청와대에 전달하려하자, 경찰들이 이를 막고 저지하고 있다. 이날 장준하기념사업회와 유가족은 "최근 묘소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37년 만에 처음으로 검사한 결과 명백한 타살의 증거가 드러났다"며 "국가가 국가의 책임을 다하는 자세로 이 사건의 진상규명과 재조사에 착수할 것"을 요구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고 장준하 선생의 유족과 기념사업회 측은 20일 오전, 청와대에 장 선생의 의문사 재조사를 공식 요구했다.

이날 고(故) 장준하 선생 장남 호권씨, 서상섭 장준하 선생 기념사업회(기념사업회) 상임운영위원장, 유광언 기념사업회 회장은 청와대 앞 효자동 주민센터에서 기자들과 만나 재조사 요구의 이유를 밝혔다.

서상섭 위원장은 "37년 동안 덮여 있던 (타살의) 직접적인 증거를 우리가 눈으로 확인했다"며 "새로운 증거 앞에 다시 사인을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 위원장은 "(장준하 선생의)의문사 진실 규명이 국가기관에 의해 은폐된 점이 있다"며 "범국민 진상조사위원회에서도 은폐된 진실을 밝혀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 위원장은 이번 재조사 요구가 정치 쟁점화로 부상되는 것은 경계한다고 밝혔다. 서 위원장은 "이번 요구로 장준하 선생의 타살 의혹이 정치 쟁점화될 소지가 있다"면서 "오로지 진상규명에만 전념할 것"이라고 밝혔다. '만약 민주당의 진상조사위에서 협조를 요청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정략적 접근이 아니라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자료 협조는 가능하다"며 "정치적 쟁점에 휘말리는 것은 경계할 것"라고 답했다. 

이들은 요구서 접수를 위해 청와대 영풍문으로 가는 길목에서 경찰에 가로막히기도 했다. 경찰은 경찰차로 영풍문 이동을 요구했으나 유광언 회장은 "몇 걸음 안 되는데 차를 타고 가냐"며 "데모하러 가는 것도 아니고 우릴 막는 게 어딨어. 책임자 나와"라고 항의했다. 이에 경찰은 예전 관행을 들어 재차 경찰차 탑승을 요구했다. 결국 기념사업회 측과 유족은 경찰차로 이동해 청와대에 요구서를 접수했다.

"대통령에게 반드시 전달돼야... 국민 권리 내팽개치면 안 돼"

고 장준하 선생의 장남 장호권씨가 20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장준하 선생 의문사 재조사 요구서'를 청와대에 전달하기 위해 청와대로 향하다가 경찰들에 의해 막히자, 고개를 숙이고 허탈한 표정을 짓고 있다.
 고 장준하 선생의 장남 장호권씨가 20일 서울 종로구 청운동사무소 앞에서 '장준하 선생 의문사 재조사 요구서'를 청와대에 전달하기 위해 청와대로 향하다가 경찰들에 의해 막히자, 고개를 숙이고 허탈한 표정을 짓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장준하 선생의 장남 장호권씨는 '(요구서가) 대통령에게 전달될 거라고 보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대통령에게 반드시 전달돼야 한다"며 "민주주의 국가인데, 국민의 권리를 함부로 내팽개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장준하 선생(1918~75)은 일제에 맞선 독립투사였다. 해방 후에는 박정희 정권에 맞선 반독재 민주투사였다. 그가 37년 전 경기도 포천 약사봉 산행 도중 숨진 채 발견된 뒤, '정치적 타살'이라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2004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가 의혹을 조사했으나 '진상규명 불능'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지난 1일 유족과 기념사업회가 묘 이장 과정에서 유골을 검시하면서 두개골에 난 지름 6~7㎝ 구멍을 확인해 타살 의혹이 증폭됐다.

이날 제출한 의문사 재조사 요구서에서 기념사업회는 "지난 1일 장준하 선생의 묘소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유골을 37년 만에 처음으로 검사한 결과 명백한 타살의 증거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장준하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광복군으로 활동했고, 4.19의 선봉이었으며 민주주의와 통일을 위해 한 평생을 불태운 삶을 살았다"며 "이런 독립유공자의 사망원인이 아직도 명백하게 실체적인 진상조차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증거부족이라는 이유로 보류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어 "또 다시 방치한다면, 이는 명백한 국가의 직무유기"라며 "타살이라고 믿을 만한 결정적 증거가 나온 이상, 더 이상의 직무유기는 있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태그:#장준하 선생, #청와대, #의문사, #타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