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면 두 칸, 측면 두 칸으로 조선조 세종 때 고산 현감 최득지가 지었다
▲ 삼기정 정면 두 칸, 측면 두 칸으로 조선조 세종 때 고산 현감 최득지가 지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북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이곳에는 정면 두 칸, 측면 두 칸의 팔작지붕을 얹은 작은 정자 하나가 서 있다. 정자의 이름은 '삼기정'이라 하는데, 삼기정을 지은 것은 당시 고산현감인 최득지이며, 삼기정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은 하연으로 전해진다. 최득지는 세종 21년인 1439년에 고산현감이 되었다. 정몽주의 문인이었던 하연이 전라도관찰사가 되어 관내를 순시하는 도중, 고산읍에 들렀다가 소풍을 나간 곳이 삼기리였다.

하연은 이곳이 앞으로 흐르는 만경강과 기암, 그리고 송림이 우거진 것을 보고 세 가지가 조화를 이루었다고 하여 '삼기(三奇)' 라 송판에 써주었다. 당시 고산현감 최득지가 정자를 세우고, 하연에게서 기문을 받아 정자에 거니 이것이 삼기정이다. 지금의 삼기리라는 명칭도 이 정자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하연이 지었다는 삼기정기를 후에 다시 적어 걸었다
▲ 심기정기 하연이 지었다는 삼기정기를 후에 다시 적어 걸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율헌 유허지에 서 있는 삼기정

삼기정을 축조한 최득지(고려 우왕 5년(1379 생)~단종3년(1455 몰))는 본관은 전주, 호는 율헌이다. 태종 13년인 1413년에 장흥교수를 시작으로 관직에 나아가, 환갑을 맞이하던 세종21년인 1439년에 고산현감이 되었다.

현 삼기정 건물의 상량에는 '檀君紀元四千三百二十三年庚午重建世宗己未創建'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고산현감 최득지가 삼기정을 축조한 것은 세종21년인 1439년이고, 그 뒤 오랜 세월 퇴락과 중수를 거듭해 오다 현재의 건물은 1990년에 다시 중건하였다. 처음에 이 삼기정을 세운 지 벌써 520년이나 지났다.

상량에는 '檀君紀元四千三百二十三年庚午重建世宗己未創建'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1990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 상량문 상량에는 '檀君紀元四千三百二十三年庚午重建世宗己未創建'이라는 글귀가 적혀 있다. 1990년에 다시 중수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삼기정의 기단은 막돌쌓기로 하였으며,기중은 배흘림기둥을 사용하였다
▲ 기둥 삼기정의 기단은 막돌쌓기로 하였으며,기중은 배흘림기둥을 사용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삼기정은 정면과 측면 모두 두 칸씩이다. 정자 안에는 하연의 '삼기정기문'이 걸려있다. 그 내용을 보면, 당시 이곳의 풍광에 얼마나 빠졌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고산현 동쪽 오리쯤에 자그마한 언덕이 있으니 절벽이 깎아질렀고 그 아래에는 긴 내가 맑게 굽어 흐르고 위에는 노송이 울창하여 푸르렀다. 그 서쪽에는 평평한 들이 펼쳐 있다. 임인년(1422년) 봄에 나는 고산읍에 간 일이 있어 이 언덕에 오르게 되었다. 연하 초목이 모두 아름답게 내 눈앞에 깔려 있는데 수석과 송림이 더욱 기이하게 보였다. 이에 삼기라 이름 하여 깎은 나무에 글씨를 써주었더니 이에 현감 최득지가 여기에 정자를 짓고 나에게 기문을 청하니, 내가 처음 이름을 지어 준 것으로써 그러한 뜻에서 사양할 수 없이 되었다.(이하 하략)

옛 선조의 마음을 읽어보다

정자에 걸려있는 삼기정이란 편액은 강암 송성용이 썼다고 한다. 작은 정자에 올라 주변을 들러본다. 옛날 선조가 느낀 삼기는 느낄 수가 없지만, 그래도 이곳의 풍광은 아직 옛 모습이 여기저기 남아있다. 정자 뒤편으로는 바위가 있어, 아마도 과거에는 이곳이 꽤 큰 바위 등이 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물과 바위 그리고 소나무가 어울린다고 해서 붙인 삼기정. 주변에는 커다란 바위들이 있다
▲ 바위 물과 바위 그리고 소나무가 어울린다고 해서 붙인 삼기정. 주변에는 커다란 바위들이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17일, 크지 않은 정자 마루에 앉아 선조의 숨결을 느껴본다. 아주 오래 전 내 선대인 하연 할아버지도 이곳에서 이렇게 호흡을 했을 것이다.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역사는 그렇게 흘러가지만, 이다음에 또 누군가 나의 후대도 우연찮은 기회에, 이렇게 나를 기억할 수도 것이란 생각이다. 그래서 옛 말씀에 '후대에게 부끄럽지 않은 조상이 되라'고 하신 것인지. 오늘 또 삼기정이란 작은 정자에서 또 하나의 공부를 한다.(사진은 휴대폰 촬영)

하연(1376∼1453)
선조 하연은 경상도 진주(지금의 산청)에서 태어났다. 고려왕조 최후의 충신이었던 정몽주(1337∼1392)로부터 학문을 사사한 하연은, 조선 태조 때인 1396년 과거시험 병과 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다. 그 뒤 많은 요직을 거친 하연은 태종 이방원 시절에는 '사헌부 간관(諫官)'으로 일하면서, 항상 흐트러짐이 없이 의연한 태도를 보여 임금이 직접 손을 잡고 치하할 정도로 인정받은 관료였다.

1423년 대사헌, 1425년 경상도관찰사, 1431년에는 예문관 대제학을 거쳐 1436년 예조와 이조 판서를 거쳤다. 70세인 1445년 우의정에 제수되었으며, 영의정 황희(1363∼1452), 좌의정 신개(1374∼1446)와 함께 '조선의 빛나는 삼정승 시대'를 연 주역이기도 했다. 당시 세자 섭정을 하고 있던 문종의 스승으로도 활동한 하연은, 좌의정을 거쳐 세종 39년인 1449년에 영의정에 올랐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삼기정,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최득지, #하연, #세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