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내성천은 낙동강의 제1지류로, 경북 봉화와 예천을 거쳐 흐르는 총 길이 100km가 넘는 강입니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추천될 만큼 보존 가치가 높고,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모래강입니다. 그런데 이곳에 영주댐이 건설되고 있습니다. 댐이 완공되면 내성천의 중상류가 수몰돼 사라집니다. 또 하류로 운반되는 물과 모래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그동안 낙동강의 정화를 담당했던 필터 기능이 사라지는 것을 뜻합니다.
거대한 삽질에 의해 베이는 버드나무 군락, 파헤쳐지는 흰 모래 사장, 멸종 위기의 수달, 사라져가는 흰수마자…. 이뿐만이 아닙니다. 영주댐의 건설로 운포구곡을 비롯한 비경과 문화재, 농경지도 수몰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6~7일 사이 약 20명의 작가들은 낙동강의 젖줄 내성천으로 향했고, 삽질에 의해 찢기고 파괴된 강바닥을 다시 메우기 위해 끊임없이 흐르는 내성천을 두 눈으로 똑똑히 보았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지금 내성천으로 가보시기 바랍니다. 그곳에서 여러분 스스로 강이 되어, 모래의 강 내성천을 마침내 지켜주시기를 간곡히 바랍니다. - 내성천 살리기 참여 작가 일동 [편집자말]
내성천은 은빛 백사장이었다. 낮에는 은빛 모래에 눈이 부시고, 밤에는 달이 백사장에 꽃 피운 내성천에 미래에는 무엇이 자리할지, 눈앞이 캄캄하다.
 내성천은 은빛 백사장이었다. 낮에는 은빛 모래에 눈이 부시고, 밤에는 달이 백사장에 꽃 피운 내성천에 미래에는 무엇이 자리할지, 눈앞이 캄캄하다.
ⓒ 김은경

관련사진보기


강의 복수
- 삼강주막에서

회화나무 그늘 아래 주막에서 아궁이에 술국을 끓이던 당신도 평상에 보붓짐을 내려놓고 탁배기를 축이던 당신도 가고 없습니다. 노곤한 졸음도 모깃불도 투전판도 사라진 주막이 그 주막이 아니듯 유구한 강도 어제의 강물이 아니어서 고즈넉이 툇마루에 앉아 있을 수가 없습니다. 낭만도 파괴 이전의 것 서정도 파괴 이전의 것이어서 우리들의 술추렴도 이 자리는 적당하지 않았습니다. 마른 강둑이 어색해서 오래 앉질 못하고 합수되어 더 유장해진 강이 외려 괴로워하는 것을 봅니다. 털려나간 구비 구비에서 그 상처를 문대고 온 붉은 강물이 제 몸에 자식 같은 모래입자를 품고 와 상처를 메우면 그것이 윗살을 도려 파여진 아랫살에 붙이는 강의 숭고한 의술임을 알게 됩니다. 스스로 죽어가며 다만 생을 조금 더 연명시키려는 강의 고육책임을 알게 됩니다. 파헤쳐진 강가에서 저전거를 타면 삶의 근육들이 녹색성장 되어 몇 배 이상 크고 건강히 자라날 것인가 재량해 보기도 하였습니다. 쉼 없이 밀려오고 쌓여대는 모래톱을 파내 배를 띄우겠다는 사람들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나는 종이배들이 천리 물길을 거스르다 세찬 여울에서 허물어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니 술맛도 강맛도 사람맛도 안 나는 이 주막에서 어여 벗어나 어딘가에는 있다는 그 맛 그대로라는 주막집이 그리워졌습니다. 본디 그대로 흐르는 맑은 삼강(三江)이 합수되어 천리를 흐른다는 강 어귀, 노를 저어 강 건너는 그대들 등 뒤에 선 늙은 회화나무 그늘 아래, 당신이 손사래 치면 나라도 술국을 끓이는 늙은 주모나 주부라도 되는 일, 그도 좋을 듯하였습니다. 망중한의 한 순간 저 멀리 어떤 '보'도 모래성으로 알고 들이쳐 댈 높고 세찬 강물이 파동 치며 산등성이를 덮치며 달려오는 걸 보았습니다. 괴로운 태풍같이, 스스로를 불린 해일같이. 싸대기를 쳐댑니다. 나뉘라고 시멘트로 모래로 물로 왕버드나무로 우렁이로 수달로 인간으로 분자로 분자로 나뉘라고 싸대기를 때려대었습니다. 고유한 제 물질로 되돌아가라고 물싸대기를 시퍼렇게 때려대었습니다.

2011년 여름, 내성천 물길을 걷는 작가들.
 2011년 여름, 내성천 물길을 걷는 작가들.
ⓒ 이상엽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 문동만 : 1969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나 1994년 계간 <삶 사회 그리고 문학>을 통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으로 <나는 작은 행복도 두렵다>, <그네> 등을 펴냈다.
* 내성천 한 평 사기 '내셔널 트러스트 운동' 공식 홈페이지 : http://www.ntrust.or.kr/nsc
내성천 지킴이들 카페 <우리가 강이 되어주자> : http://cafe.daum.net/naeseongcheon
내성천 답사를 원하는 단체는 위 카페를 참조해주세요.



태그:#4대강사업, #내성천, #영주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