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에 소재한 중요민속자료 제123호인 수원광주이씨월곡댁
▲ 월곡댁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에 소재한 중요민속자료 제123호인 수원광주이씨월곡댁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3월 20일 비가 내린다. 방송에서는 '황사비'라고 가급적이면 맞지 말라고 당부를 한다. 괜히 망설여진다. 전날도 짙은 황사먼지를 마셔서 그런가 목이 칼칼한데, 오늘 또 비까지 맞고 다녀야 할지가. 그래도 이왕 나선 길, 보고 싶은 것은 보아야겠다고 마음을 먹는다.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383에 소재한, 중요민속자료 제123호인 '수원광주이씨월곡댁'으로 향했다.

몇 년 전에는 이 집이 '파장동 이병원가옥'이었다. 이렇게 명칭이 바뀌면 가끔 애를 먹기도 한다. 옛 이름을 갖고 찾아다니다가 엉뚱한 곳으로 길 안내를 받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월곡댁은 지어진 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는데서 더 의미를 두는 집이다. 안채의 대청 상량문에 의하면, 조선조 고종 25년인 1888년(광서(光緖) 14년 견자(犬子) 3월 18일 유시(酉時))에 건축이 되었다.

도심 한가운에 남은 초가 한 채  

이 집은 수원에 있을 때 몇 번인가 들려보았던 집이다. 초가를 올린 집이라 지붕을 보수하고 있을 때도 다녀간 적이 있다. 그런데 주변이 너무 많이 변해있다. 집은 안채를 둘러싼 담 밖으로 ― 자형의 헛간채가 있고, 중문을 들어서면 안채와 바깥채가 ㅁ 자 형으로 꾸며져 있다.

담 밖으로 떨어져 있는 헛간채. 다섯칸으로 지어졌다
▲ 헛간채 담 밖으로 떨어져 있는 헛간채. 다섯칸으로 지어졌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헛간채의 끝부분. 앞뒤로 까치구멍을 내어 맞바람이 통하게 했다.
▲ 헛간 헛간채의 끝부분. 앞뒤로 까치구멍을 내어 맞바람이 통하게 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월곡댁에 도착해 보니 도심 어디나 그러하듯 마땅히 주차할 곳이 없다. 이리저리 몇 바퀴를 돌아다니다가 할 수 없이 좁은 골목 안으로 들어선다. 비는 계속 쏟아지는데 손바닥만 한 우산 하나가 다다. 이럴 때는 참으로 난감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도 여기까지 왔는데 무엇을 망설이야. 사람은 비를 맞아도 카메라만 맞지 않으면 되겠다는 생각으로, 비를 맞고 월곡댁으로 향했다.

일요일이라 그런지 안채와 바깥마당을 조금 떨어진 헛간채의 사이에도 몇 대의 차가 서 있다.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 앞에도 차를 대어 놓아 사진을 찍기가 불편하다. 그래도 최선을 다해 차를 비켜서면서 사진을 찍어댄다.

사방이 트여있는 ― 형의 헛간채
   
안채와 바깥마당을 사이에 두고 맞은 편에 있는 헛간채는, 20세기 중엽에 지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월곡댁은 살림채는 담장으로 막았지만, 바깥마당은 사방으로 트여 있다. 헛간채 남쪽으로 비켜서 마당 안으로 출입하는 입구를 내었다. 헛간채는 넓은 5칸 정도로 꾸며졌다. 그 맨 끝에는 방으로 놓아 안채와 별도로 이곳에서 헛간채를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

헛간채 앞에 몇 대의 차가 주차되어 있어, 제대로 된 사진을 찍을 수가 없다. 그래도 이렇게 비가 오는 날, 답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고맙기만 하다. 헛간채는 방과 광 등으로 꾸며졌는데, 광문의 크기와 모양이 다 다르다. 아마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한 듯하다. 초가지붕에서 떨어지는 낙수가 운치가 있다는 생각을 한다.

ㄱ 자집으로 꾸며진 안채. 이 지역의 농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성이다
▲ 안채 ㄱ 자집으로 꾸며진 안채. 이 지역의 농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성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부엌은 조금 앞으로 돌출이 되어있고, 대청과 연결된 툇마루가 안방앞으로 이어져 부녀자들의 움직이는 동선을 편리하게 하였다
▲ 부엌 부엌은 조금 앞으로 돌출이 되어있고, 대청과 연결된 툇마루가 안방앞으로 이어져 부녀자들의 움직이는 동선을 편리하게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담 안에 꾸며진 안채와 바깥채

원래 이 월곡댁의 집 뒤로는 낮은 산이 둘러져 있고, 앞으로는 조그마한 개울이 흘렀다고 한다. 주변에는 오랜 한옥이 많고 감나무가 있어 예스러운 멋을 풍겼다고 하는데, 지금은 주변에 집들이 답답할 정도로 들어차 있다. 도심 한가운데 이렇게 초가 한 채가 자리를 하고 있다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바깥채에 달아낸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섰다. 누군가 문을 열고 나온다. 사진을 좀 찍겠다고 이야기를 한 후 안채를 둘러본다. 안채는 평범한 ㄱ 자형으로 부엌과 대청, 안방과 건넌방으로 꾸며져 있다. 이 집의 초가지붕은 두께가 대단히 두껍다. 안채의 구성은 동편의 끝이 부엌이고 이어 안방이 있다.

건넌방도 대청쪽을 조금 돌출시켜 놓았다
▲ 건넌방 건넌방도 대청쪽을 조금 돌출시켜 놓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건넌방은 측면 두 칸으로 위아래방으로 구분을 하였다
▲ 건넌방의 측면 건넌방은 측면 두 칸으로 위아래방으로 구분을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대청을 두고 있는 건넌방은 문밖으로 툇마루를 둘러놓았다. 집은 그저 평범한 듯하면서도 재미가 있다. 안채의 부엌은 안마당으로 쪽으로 반 칸을 더 내밀어 놓았다. 그리고 그 앞에 툇마루를 놓아 안방과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하였다. 건넌방도 위아래 칸으로 나누어졌으며, 앞쪽이 약간 돌출되어 있다. 아마 이렇게 부엌과 건넌방을 돌출시켜, 서해안에서 안채로 불어오는 바람을 최대한 막아낸 듯하다.

사랑채로 사용한 바깥채

월곡댁은 지정 당시 명칭은 '파장동이병원가옥'이었다. 소유자 이병원의 모친인 성주 도씨가 과거 안산군 월곡면에서 이곳으로 시집와 지은 가옥으로, '월곡댁'으로 불린 것을 반영하여 2007년 1월 29일자로 '수원 광주이씨 월곡댁'으로 지정명칭을 변경하였다.

사랑채의 꺾인 부분. 헛간과 광이 있었다고 한다
▲ 사랑채 사랑채의 꺾인 부분. 헛간과 광이 있었다고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중문을 사이에 두고 사랑방과 헛간 등이 ㄱ자 형태로 구성이 되어있는 바깥채
▲ 중문 중문을 사이에 두고 사랑방과 헛간 등이 ㄱ자 형태로 구성이 되어있는 바깥채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채와 마주하고 있는 바깥채는 사랑채의 용도로 쓰였다. ㄴ 자형의 바깥채는 꺾인 부분에 중문을 두고, 들어서면서 좌측으로는 방이 있고, 우측으로는 광과 방이 있다. 이 바깥채는 조금은 옛 모습에서 달라진 듯하다. 사랑채는 위아래 방을 안채와 직각이 되게 배치를 하고, 중문이 부엌을 향하게 하였으며, 마당 앞에는 헛간과 외양간이 있었다고 한다.

집을 지은 년대가 남아 있는 수원광주이씨월곡댁. 황사비가 내리는 날 찾아간 월곡댁은, 도심 한가운데 자리를 하고 있다. 정작 집안에 사는 사람들이야 불편하겠지만, 이렇게 비가와도 찾아오는 우리 같은 사람들에게는 정말 고맙기 한이 없는 소중한 집이다.


태그:#수원광주이씨월곡댁, #중요민속자료, #수원 파장동, #조선조 고려, #초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