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읍시 이평면에 자리한 송참봉 조선동네의 설경
▲ 송참봉 마을 정읍시 이평면에 자리한 송참봉 조선동네의 설경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조선시대 우리의 삶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조선조 말기의 우리의 모습을 사진 등으로 보면서 늘 궁금하던 차다. 그런데 전라북도 정읍의 한 마을에 조선시대의 마을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은 곳이 있다. '송참봉 조선동네'라는 곳이다. 이 마을은 조선 말기의 마을 형태를 그대로 재현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조선동네'라고 부르고 있다. 2월 17일 눈이 하얗게 쌓인 송참봉 마을을 찾아가 보았다.

눈이 쌓인 마을 안으로 들어가면 20여 채의 초가집들이 자리를 하고 있다. 서당도 있고 주막집도 있다. 엣날식으로 외부를 꾸민 변소가 있는가 하면, 외양간에는 어미소와 송아지가 한가롭게 자리를 잡고 있다. 마당에는 토종닭들이 돌아다니고, 한편에는 굴뚝에서 연기가 난다. 아궁이에는 잘작불이 타고 있는데, 겨울의 경치를 그대로 만끽할 수가 있다. 그야말로 조선시대의 풍취를 느낄 수가 있는 곳이다.

어미소와 송아지가 한가롭게 보인다
▲ 외양간 어미소와 송아지가 한가롭게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마을을 돌아다니다가 보면 토종닭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있다
▲ 토종닭 마을을 돌아다니다가 보면 토종닭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고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50여년 전에 마을이 있었던 곳

송참봉 조선동네는 50여년 전에는 큰 마을인 '월송동'이 자리하고 있던 곳이다. 그런 마을이 완전히 사라지고, 그곳이 논밭으로 변했다. 1995년부터 이곳에 전통마을을 재현하기로 생각을 한 '송참봉'은 2005년 8월부터 사업에 착수를 하여, 2008년에 들어서야 부분으로 완성을 하였다고 한다. 아직도 계속 조선 동네를 키워가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이렇게 100년 전의 우리의 민초들이 살아가던 모습을 그대로 재현한 송참봉 마을은 옛 생활을 체험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주말이 되면 집집마다 옛 생활을 체험하기 위해 찾아든 사람들로 빈 집이 없다고 한다. 2월 17일은 평일인데도 불구하고, 집집마다 굴뚝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눈이 쌓인 겨울날 뜨끈한 온돌방의 정취가 마냥 즐겁기만 하다.

동네 안에는 서당 등 각종 집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모든 집들은 숙박이 가능하다.
▲ 집 동네 안에는 서당 등 각종 집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모든 집들은 숙박이 가능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조선 동네 뒤편에 자리한 월송서당. 이곳은 원래 월송마을이 잇던 곳이다.
▲ 서당 조선 동네 뒤편에 자리한 월송서당. 이곳은 원래 월송마을이 잇던 곳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눈이 내려 질퍽한 황톳길은 흙에 신발에 달라붙어 보행을 하기가 어렵다. 예전에는 호롱불을 켜고, 방안에는 요강을 들여놓았다고 한다. 그러나 화재의 위험도 있고, 요강을 사용할 줄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그런 것은 조금 개선을 했다는 것이다. 100년 전 우리네 조상들의 생활이 지금과 얼마나 달랐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체험의 장소로 소문이 나면서, 주말이 되면 제주도에서까지 학생들이 온다는 것이다.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아가

송참봉 조선동에는 정읍시 이평면 청량리 375-5에 해당한다. 1만 5천평의 대지에 20여 채의 초가가 모여있다. 그저 잊고 살아갈 모습들이 이곳의 모습이다. 송참봉 마을에 들어가려는데 마침 송기중(63) 촌장이 사람들을 배웅하러 마을 어귀로 나온다. 잠시 목례를 하고 마을을 한 바퀴 돌아보았다. 방을 열어보니 옛 시골집에서나 맡을 냄새가 난다. 정겨운 냄새이다.

담벼락에 세워 좋은 지게가 정겹다
▲ 지게 담벼락에 세워 좋은 지게가 정겹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옛 모습대로 조성한 굴뚝이 정겹다
▲ 굴뚝 옛 모습대로 조성한 굴뚝이 정겹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여기저기 집집마다 문패가 달려있다. 이 송참봉마을을 조성하는데는, 마을 주민들의 힘이 컸다고 한다. 잠시 둘러보아도 모든 것이 불편할 듯하다. 그러나 이런 환경 속에서 우리의 선조들이 살았다고 생각하면, 하루 저녁쯤 이곳에서 지내볼 만도 하다는 생각이다. 아이들과 함께 조심은 불편한 체험이 되기는 하겠지만, 살아있는 공부가 아닐는지 생각을 한다.
  
옛 모습을 잃어버리기 보다는 남겨 놓아야

송참봉 조선동네를 돌아보다가 잠시 송기중 촌장과 이야기를 한다. 알고보니 '갑장'이라는 말에 조금은 편안하게 이야기를 할 수가 있다. 이런 마을을 조성하게 된 것도 우리 것을 너무 급작히 잃어버리는 것이 안타깝기도 하지만, 우리의 옛 선조들의 사람의 모습을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알려주고 싶어 시작을 하였다는 것이다. 조선동네에서는 먹거리의 전체가 우리 농산물이다. 마을 전체가 아궁이에 불을 때서 방을 덮힌다.

시렁 위에 올려놓은 이불. 이불도 옛날 솜이불이다.
▲ 이불 시렁 위에 올려놓은 이불. 이불도 옛날 솜이불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장작불을 때고 있는 아궁이. 옛 정취가 물씬 풍긴다
▲ 아궁이 장작불을 때고 있는 아궁이. 옛 정취가 물씬 풍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잠시 이야기를 하는 동안에도 마을을 찾아 온 객들을 맞이하느라 정신이 없다. 그저 오래 같이하고 싶은 마음이지만, 그것도 이곳에서는 호사라는 생각이다. 후일을 기약하고 돌아나오다가 벽에 붙은 안내문을 본다. 대인은 하루 저녁에 만원, 초등학생은 5천원이다. 그 아래 어린아이들은 무료라는 것이다. 음식 값도 백숙만 3만원이고 참봉밥, 두부, 전, 막거리 등은 5천원 씩이란다.  

옛 담벽을 그대로 닮은 집들이며 아궁이, 그리고 방문을 열어보면 금세 초가의 처마에서 떨어진 노래기들이 기어 다닐 것만 같은 집들이다. 주막집에서는 우리 농산물로 지은 먹거리와 막걸리 등이 사람들의 입맛을 다시게 한다. 그저 당장 그 자리에 앉아 한 잔 막걸리라고 마시고, 펄펄 끓는 아랫목에서 늘어지게 자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다. 그럴 수 없음이 못내 안타까워 후일을 기약하는 발걸음이 무겁기만 하다.

조선동네 촌장인 송기중씨(63세)
▲ 촌장 조선동네 촌장인 송기중씨(63세)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송참봉, #조선동네, #정읍, #이평면, #월송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