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자는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년과 경술국치 100년을 앞두고, 우리 근현대사에 가장 위대한 애국자 안중근 의사의 유적지인 러시아 크라스키노, 블라디보스토크, 우수리스크, 포브라니치나야, 중국 쑤이펀허, 하얼빈, 지야이지스고(채가구), 장춘, 다롄, 뤼순 등지를 지난해 10월 26일부터 11월 3일까지 아흐레간 답사하였습니다. 귀국한 뒤 안중근 의사 순국날인 2010년 3월 26일에 맞춰 눈빛출판사에서 <영웅 안중근>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펴냈습니다.

2010년 경술국치 100년에 즈음하여 <영웅 안중근>의 생애를 다시 조명하는 게 매우 의미 있는 일로 여겨져, 이미 출판된 원고를 다소 손보아 재편집하고, 한정된 책의 지면 사정상 미처 넣지 못한 숱한 자료사진을 다양하게 넣어 2010년 11월 20일까지 43회 연재합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 바랍니다. - 기자말

망망대해 동해 바다로 한중일러 4개국 사이에 이곳은 파고가 늘 높다.
▲ 동해 바다 망망대해 동해 바다로 한중일러 4개국 사이에 이곳은 파고가 늘 높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자루비노 행 동춘호에 오르다

오후 2시 대합실 승선대기 열에 섰다. 언저리를 살펴보니 백계 러시아인, 중국조선족, 그리고 한국인으로 크게 나눠지는데 대부분 한국과 중국, 러시아를 오가는 상인들 같았고, 일부는 백두산 단체관광객 그리고 블라디보스토크 한인 교회로 가는 교인들이었다.

대기 열에는 사람보다 짐이 더 많았다. 짐들을 살펴보니 각종 가전제품에서 라면 과자류까지 거의 없는 품목이 없어 보였다. 내가 항일유적 답사 길에 중국 연길, 선양 조선족거리에 가보니까 상점에는 한국 상품이 죄다 진열되어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었다.

어느 책에서 보니까 문화의 흐름은 보따리 상인들을 보면 안다고 하는데, 몇 해 전 부산~하카다를 오가는 한일페리를 탔더니 한국 보따리 상인들이 별 별 일본상품을 아귀처럼 사서 부산 부두로 번질나게 나르고 있었다. 그 상품들이 전국방방곡곡으로 스며들어감은 굳이 묻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일이 아닌가.

자루비노행 승객들이 속초항 부두에서 동춘페리에 오르고 있다.
▲ 자루비노행 동춘호 자루비노행 승객들이 속초항 부두에서 동춘페리에 오르고 있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오후 2시 30분에야 승선을 시켰다. 동춘항운 측은 여행객 비수기로 승객이 없는 줄 알고 그 시간에 태워도 출항에 지장이 없기에 30분 늦춘 모양이었다.

가방과 선물보따리 쇼핑백에 어깨에 멘 노트북 가방 등, 짐을 끙끙 거리며 동춘호로 계단을 오르는데 진땀이 났다.

괜히 책을 많이 쌌다는 후회를 하다가도 오랜 배 여행에서, 열차 여행에서 보고자 가져가는 거라고 위안을 하면서도, 나는 참 인생을 스스로 불편하게 사는 못난이로 여겨졌다.

부두에서 동춘호 계단을 오르자 객실 매니저가 반갑게 맞이하고는 배표를 본 뒤 객실을 배정해 주는데 325호실이었다. 한 층 더 올라가 열쇠로 문을 따고 들어가자 8인용 침대 방이었다. 창으로는 바다가 환히 보였다. 그런데 배표에는 방 좌석이 지정되지 않아 바다가 잘 보이는 창 옆을 내 자리로 정하고는 짐을 내렸다.

속초항을 떠나다

그런데 3시 출항시간이 가까워 오는 데도 내 방에는 아무도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없었다. 끝내 손님이 없는 것으로 보아 큰 객실을 나 혼자 독차지 하는 듯해 특실을 탄 기분 이상으로 횡재한 기분이었다. 만일 이 객실에 여덟 사람이 빼곡히 타고 간다면, 그것도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과 밤을 새워 간다면 얼마나 고역일까.

그런 체험을 이미 여러 차례 한 적이 있었다. 2005년 12월 미국 워싱턴에서 귀국 길에 하필이면 대한항공 파업기간이라 승객들이 아시아나항공으로 몰려 만석이었다. 내 옆 자리 좌우에는 100킬로가 넘는 미국인이 탔는데 인천공항에 내릴 때까지 그 틈바구니에서 고문당하는 기분이었다.

1907년 대한제국은 조선통감 이토 히로부미의 주도로 한일신협약(정미 7조약)이 강제로 맺어지고, 광무황제(고종)가 강제로 폐위하는가 하면, 군대까지 해산을 당했다. 그러자 안중근은 더 큰 뜻을 이루고자 고국을 떠나 동포들이 많이 살고 있는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가기로 결심하고는 그 해 가을 원산에서 청진으로 떠나는 배에 올랐다.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배는 일본경찰의 검문이 엄격하기에 청진에서 육로로 간도로 간 뒤 거기서 국경을 넘을 속셈이었다. 그때 안중근 의사가 원산항에서 배를 타고는 고국을 떠나는 그 마음을 백분지 일이라도 헤아리고자 동춘호 갑판에 올랐다.

오후 3시에 출항키로 한 배는 시간이 지나도 미적거렸다. 아마도 늦은 승객이 있나 보다. 3시 30분에야 배는 부두 쇠기둥에 묶은 굵은 닻줄을 올리고는 스크루를 천천히 돌렸다. 이윽고 동춘호는 예인선에 끌려 천천히 속초항을 벗어났다.

너를 두고 나는 간다

갑판에는 몇 승객들이 올라와 멀어져 가는 속초항을 바라보았다. 한 여인이 눈물을 글썽였다. 그는 나에게 금세 사연을 쏟았다. 자기는 러시아 하바로브스크 태생으로 2년 전 한국에 와 전북 부안의 한 멜론 농장에서 일했다고 한다. 비자 기한 만료로 귀국한다는 데 조금 전 하바로브스크에 사는 아들과 통화하자 갑자기 그 아들이 보고 싶어 눈물이 나왔다고 떠듬떠듬 말하면서 겸연쩍어 했다.

"돈 많이 벌어 가세요?"
"얼 마 못 벌 었 어 요."

그는 서툰 우리말로 떠듬떠듬 대답했다. 짐작컨대 동포 2, 3세인 듯했다. 속초항이 가물가물 멀어지자 동해 바람이 세찼다. 갑판의 승객도 점차 객실로 들어갔다. 곧 동춘호는 북으로 뱃머리를 돌리고는 스멀스멀 북진했다. 혹이나 북녘 산하를 멀리서 바라볼 수 있을까 뚫어지게 살펴도 공해 상 망망대해로 1만 톤이 넘는 동춘호도 한낱 일엽편주에 지나지 않았다.

동춘호가 속초항을 뒤로 한 채 자루비노항으로 떠나고 있다.
▲ 사라지는 속초항 동춘호가 속초항을 뒤로 한 채 자루비노항으로 떠나고 있다.
ⓒ 박도

관련사진보기


일백년 전 고국산천을 떠나는 안중근 의사의 가슴 속이 어떠했을까? 내 어찌 그때 안 의사의 마음을 헤아리겠는가. 마침 지난날 교실에서 아이들에게 가르치던 도산 안창호의 <거국가(去國歌)>가 떠올랐다.

 간다 간다 나는 간다
  너를 두고 나는 간다
  잠시 뜻을 얻었노라
  까불대는 이 시운이
  나의 등을 내밀어서
  너를 떠나가게 하니
  간다 한들 영 갈소냐
  나의 사랑 한반도야

이 노래는 도산이 망국의 설움을 안고 망명길에 오르며 남긴 노래다. 아마도 안중근 의사의 마음도 이와 같았으리라. 

안중근이 어린시절을 보낸 청계동으로, 독일인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 실렸다.
▲ 황해도 신천군 두라면 청계동 안중근이 어린시절을 보낸 청계동으로, 독일인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 실렸다.
ⓒ 눈빛<일제강점기>

관련사진보기


안중근 행장(2)

안 의사 의거 이태 후 독일인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님이 청계동을 둘러보고 찍은 사진이다.
▲ 안중근 의사의 청계동 본가 안 의사 의거 이태 후 독일인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님이 청계동을 둘러보고 찍은 사진이다.
ⓒ 눈빛 <일제강점기>

관련사진보기


안중근이 16세가 된 1894년 갑오년에는 동학혁명이 일어나 위정자의 반성과 각성을 촉구케 하는 갑오경장(甲午更張)을 가져왔다. 하지만 이를 계기로 청일전쟁이 일어나 한국은 청일 두 나라 싸움터가 되었다. 이때 지방 군현에서는 동학을 빙자한 무리들이 일어나 관리를 죽이고 약탈행위가 끊어지지 않자 안중근은 아버지와 함께 수백의 장정들을 이끌고 관군을 도와 이를 진압하였다.

이러한 동학당 진압에 공이 큰 아버지가 이들로부터 빼앗은 전리품을 둘러싸고 중앙 관리에게 모함을 받았다. 이에 신변의 위협을 느껴 석 달 정도 명동 천주교회당에 몸을 숨겼는데, 이때 온 가족이 성서의 진리를 깨달아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독일인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님이 1911년에 한국을 여행하고 펴낸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 실린 사진으로 진고개 쪽에서 바라본 명동성당 일대다.
▲ 명동성당 독일인 노르베르트 베버 신부님이 1911년에 한국을 여행하고 펴낸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 실린 사진으로 진고개 쪽에서 바라본 명동성당 일대다.
ⓒ 눈빛 <일제강점기>

관련사진보기


또한 이 무렵 안중근은 김홍섭(金鴻燮)의 따님 아려(亞麗)와 혼인하여 2남1녀의 자녀를 두었다. 19세 때인 1897년에는 프랑스인 빌렘(홍석구)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아 '도마'라는 세례명을 얻었고, 그에게 불어와 신학문도 배웠다. 이후 10년간 홍 신부와 황해도 일대를 순회하면서 복음전파에 힘썼다.

1890년부터 1938년까지 조선교구장으로 한국천주교회를 이끌었다.
▲ 뮈텔(Mutel) 주교(한국명, 민덕효) 1890년부터 1938년까지 조선교구장으로 한국천주교회를 이끌었다.
ⓒ 눈빛 <대한국인 안중근>

관련사진보기

안중근은 한국의 자주독립을 위해서는 우선 인재를 양성해야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홍 신부와 서울 천주교 최고 책임자인 프랑스인 뮈텔(민덕효) 주교를 만나 한국에 대학 설립 필요성을 강조하고 유럽 천주교 수사회(修士會)가 한국에 대학을 세우도록 도움을 요청하였다.

그러나 뮈텔 주교는 학문이 신앙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한국은 아직 대학교육이 시기상조라고 거절하자 안중근은 천주교의 진리는 믿을지언정, 외국인은 믿을 것이 못 된다며 불어 공부마저 중단하기도 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났다. 안중근은 한국과 만주의 분할을 둘러싼 이 전쟁이 한국으로서는 양국 어느 편이 승리한다 해도 결코 이로울 것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일본은 1894년 청일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전쟁도 한국을 청나라로부터 독립시키고 동양 평화를 이룩하기 위한 것이라고 칙서(勅書, 왕이나 임금이 특정인에게 나라의 정책이나 뜻을 발표한 글)까지 발표했다.

1997년 안중근은 빌렘 신부로부터 '도마(Thomas)'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 빌렘(한국명, 홍석구) 신부 1997년 안중근은 빌렘 신부로부터 '도마(Thomas)'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 눈빛 <대한국인 안중근>

관련사진보기

그래서 안중근은 일본의 승리를 바랬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자 오히려 일본은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기는커녕 매국오적(이완용, 박제순, 이지용, 이근택, 권중현)을 앞세워 1905년 이른바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여 한국을 일본의 보호국으로 만들어 버렸다.

이에 항의하여 조정에서는 시종무관장 민영환과 참판을 지낸 홍만식 등이 자결하고, 장지연은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이라는 글을 썼다. 전국 각지에서는 이 조약의 폐기를 요구하는 민중봉기가 일어났다.

이해 겨울 청계동에서 조심스럽게 숨어 지내던 안중근은 을사조약을 개탄하고 나라를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아버지와 상의한 뒤 한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중국 산동성 등지에 반일운동의 기지를 만들고자 상하이로 떠났다.

- 안중근의사 숭모회 <대한의 영웅> 11~14쪽

덧붙이는 글 | 기자가 그동안 항일유적답사기로 펴낸 책으로는 눈빛출판사에서 발간한 <항일유적답사기><누가 이 나라를 지켰을까> <영웅 안중근> 3권과 사진집 <일제강점기> 등이 있다.



태그:#영웅 안중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교사 은퇴 후 강원 산골에서 지내고 있다. 저서; 소설<허형식 장군><전쟁과 사랑> <용서>. 산문 <항일유적답사기><영웅 안중근>, <대한민국 대통령> 사진집<지울 수 없는 이미지><한국전쟁 Ⅱ><일제강점기><개화기와 대한제국><미군정3년사>, 어린이도서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청년 안중근> 등.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