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이틀째인 8월 19일, 서울광장 분향소에는 도쿄대 명예교수인 와다 하루키와 미국 코넬대 교수인 마크셀던이 찾아 왔다.

장례운영회 측은 이례적으로 시민들에게 정중히 양해를 구하고 이 두 조문객을 먼저 받아들였다. 현장 분위기와는 달리 기성 언론은 두사람의 조문을 거의 보도 하지 않거나, 사진 없이 단신으로 실었다. 하지만 이 조문은 결코 가볍게 보도될 성질의 것이 아니다.  

조문하는 와다 하루키
 조문하는 와다 하루키
ⓒ 김창규

관련사진보기


와다 하루키 교수는 일본의 우익단체가 눈엣가시로 생각하는 대표적인 일본의 양심 지식인이다. 국제 시민 운동가로 더욱 잘 알려진 그는 박정희 정권에 의해 김대중이 납치되었을 때, 자국의 정부에 항의하면서 그를 구해내기 위해 전력을 다한 사람이다. 자신의 생활을 포기하다시피 김대중의 구명운동에 매달린 그는 김대중이 석방되어 미국으로 출국할 때 까지 단 한시도 국제적인 연대운동을 멈추지 않았다. 

와다 하루키와 마크 셀던
 와다 하루키와 마크 셀던
ⓒ 김창규

관련사진보기


마크 셀던 교수 또한 국제적인 시민운동가다. 동아시아학의 권위자인 그는 이 분야에서  미국 내에서 가장 양심적인 목소리를 내는 학자 중 한명이다. 와다 하루키와 마찬가지로 김대중 납치 사건 당시, 미국 내에서 적극적인 김대중 구명운동을 펼쳤다. 한국의 독재를 암묵적으로 인정하던 미국정부 하에서 교수의 신분으로 당시로서는 제3국에 불과한 한국의 민주인사를 위해 발벗고 나선 것이다.

영정 앞으로 다가간 마크 셀던이 갑자기 무릎을 꿇기 시작했다. 동양 문화권의 조문사절단 조차 무릎을 꿇고 절을 하는 경우가 없는 것을 감안하면 굉장히 파격적인 장면이다.

특히 서양문화권에서는 한국의 절 문화가 우상숭배로 오해되어 거부감을 주기도 한다. 마크 셀던의 경우, 동양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가 김대중 전 대통령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잘 알 수 있는 행동이다.

무릎을 끓고 있는 마크 셀던
 무릎을 끓고 있는 마크 셀던
ⓒ 김창규

관련사진보기


절하는 마크셀던과 조문의 예를 올리는 와다 하루키
 절하는 마크셀던과 조문의 예를 올리는 와다 하루키
ⓒ 김창규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두사람에게는 특이한 공통점이 있는데 독도가 한국영토임을 국제적인 무대에서 끊임없이 강조한다는 점이다. 양심적인 목소리를 내는 학자라 하더라도 영토같은 민감한 문제는 함구하는 경향이 많지만 두 사람은 자국 내에서 조차 끊임없이 독도문제를 거론한다. 특히 와다 하루키의 경우, 한일양국에 독도관련 칼럼을 쓴 적이 있을 정도로 적극적이다.





태그:#김대중, #김대중서거, #분향소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