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토해양부를 비롯한 4개 정부 부처가 합동으로 추진하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이 지난 6월 8일 공식 발표 됐다. 2011년부터 순차적으로 마무리 될 4대강 사업은 생태 복원가 더불어 국민의 삶의 질 향상,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 다목적 녹색뉴딜 사업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조선일보 6/22일자 A 12면 보도 내용기사
▲ 정부 낙동강 보, 2개 숨겼다 조선일보 6/22일자 A 12면 보도 내용기사
ⓒ 강창덕

관련사진보기


정부는 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등 4대 강 가운데 낙동강이 가장 변화가 많을 예정이고 홍수방어와 물 확보, 생태복원 사업을 한다고 홍보하고 있다. 특히 4대 강 가운데 가장 많은 8개의 보가 만들어지며 농업용 저수지 31개도 들어서게 된다. 정부가 공식발표한 낙동강에 들어설 보는 모두 8개로 발표가 되었다.

정부가 공식 발표와 달리 낙동강에 보를 10개 설치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 4대강 마스터 플랜에 나와 있는 보 위치 정부가 공식 발표와 달리 낙동강에 보를 10개 설치하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 강창덕

관련사진보기


6월 22일자 조선일보 A12면 보도에 의하면 정부가 낙동강에 추진중인 보는 8개가 아니라 10개로 보도했다. 조선일보는 "국토해양부의 '낙동강 하천기본계획 사전환경성 검토서'에 따르면, 국토부는 경북 안동 하회마을 바로 아래 지점과, 이곳에서 하류로 7㎞가량 떨어진 낙동강 본류에 300~400m 길이의 '하회보'와 '구담보'를 설치한다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에서는 8개 보가 건설된다고 발표했다가 10개가 된 이유를 국토부는 "보의 설치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알리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를 두고 마창진 환경운동연합 임희자 사무국장은 "의도적이라 말할 수밖에 없다. 보를 설치하면 수질 악화는 불을 보듯 뻔 한데 4대강 사업 마스터 플랜의 5대 핵심과제 가운데 하나인 2급수 수질개선에 정면으로 배치가 된다"면서 그동안 숨긴것은 "운하사업에 걸림돌로 작용될 안동권역의 지역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했다.

임 국장은 낙동강 하구언 둑으로 인해 이미 삼량진까지 물 흐름이 사라지고 있다. 또다시 낙동강에 10개의 보를 추가로 설치한다면 낙동안은 흐르는 물이 아니라 거대한 호수로 전락하면서 수질은 급속도로 악화가 될 것이라는 우려에 다시 한 번 귀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http://blog.daum.net/gnccdm 경남민언련 블로그에도 포스팅 합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서 중복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낙동강, #4대강 사업, #낙동강 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