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우리 꽃을 한갓 들풀이란 이름으로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던 시절, 경제발전이란 소용돌이 속에서 우리 곁에서 점차 잊혀져가고, 대신 그 자리에 화려한 외래 꽃들이 자리해 왔으나 최근 우리꽃 보급운동을 통해 우리꽃 화단가꾸기 사업이 추진돼 관심을 모은다.

 

경기도와 경기농림진흥재단이 우리꽃 보급 대상지 공모결과 안양 관양동 현대아파트를 비롯 학교·아파트·군부대 등 20곳을 선정하고 오는 19일 용인 한택식물원에서 우리꽃의 소중함을 새기고 아름다운 도시를 가꾸기 위한 '우리꽃 보급운동 발대식'을 개최한다.

 

이날 발대식에는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비롯해 우리꽃 화단 조성대상지 20곳의 주민, 학생, 군인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과보고, 개회 의전에 이어 우리꽃 지킴이 선서식을 갖고 대상지중 한곳인 용인 장평초교로 이동해 우리꽃 식재행사를 갖는다.

 

발대식이 열리는 한택식물원은 초본 1,700종, 목본 700종의 자생식물 2,400종을 비롯 총 8,300여종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730여만본의 식물이 33개의 테마 전시원에 식재되어 있는 등 식물연구소를 통한 연구와 보급을 펼치는 우리꽃의 보고이다.

 

 

앞서 경기농림진흥재단이 지난 3월 우리꽃 화단 조성대상지 공모에 나서자 도내에서 개별적으로 총 496곳이 신청하는 25대 1의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하였으며, 심의위원회의 서류 및 현장심사를 거쳐 학교, 아파트, 공공기관, 군부대 등 20곳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20곳은 △성남 수정초등학교 등 학교 10곳 △안양 현대아파트 등 아파트 3곳 △안산 단원구청 등 공공기관 3곳 △평택 해군2함대 등 군부대 2곳 △복지시설(부천 모퉁이쉼터) 1곳 △단체(푸르미회) 1곳으로 안양권에서 현대아파트가 유일하게 선정됐다.

 

선정된 20개 지역 대상지에는 미선나무ㆍ산수국ㆍ섬기린초ㆍ붓꽃ㆍ섬백리향ㆍ구절초 등 모두 30종 6만5,460본이 식재되어 우리 꽃 회단으로 조성되며, 조성대상지 선정에서 제외된 476곳에 대해서는 재단측이 우리꽃씨를 보급해 자체 조성토록 할 예정이다.

 

표영범 재단 대표이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의 98%가 이미 외국으로 반출, 다시 개량되어 역수입되고 있는 실정으로 우리꽃 화단 조성을 통해 점차 사라져가는 우리꽃을 지키고 생활주변의 자투리 공간을 아름다운 꽃밭으로 탈바꿈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경기농림진흥재단은 지난 2006년에 처음으로 공모를 실시한 결과 도내 아파트 3곳, 초등학교 2곳, 군부대 1곳 등 총 6곳 4,290㎡의 자투리공간에 2,000여 명의 주민(구성원) 등과 함께 우리꽃 20종 3만여본을 심었으나 지난해에는 공모를 실시하지 않았다.

 

 

4200여종의 우리꽃을 삶의 일부로 만들어야

 

"'존경'과'좋은 기별'이라는 꽃말을 지닌 우리꽃을 혹시 여러분은 알고 계신가요? 이 꽃말의 주인공은 붓꽃입니다. 꽃이 피기 전 모습이 먹물을 머금은 붓과 닮아서 지어진 이름으로 우리 꽃을 삶의 일부이자 아름다움의 대명사로 여겨왔습니다."

 

우리꽃 보급운동을 펼치는 한택식물원은 "우리꽃이 우리의 뇌리 속에서 잊혀져 가고 있다"면서 "아름다운 자태와 고향의 정취가 물씬 나는 우리꽃이 외래종에 밀려 이 땅의 들과 산에서 아무도 모르게 피고 지는 가여운 꽃이 되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경기녹지재단과 한택식물원이 펴낸 '우리꽃 보급운동'(2006년) 자료집에 따르면 우리꽃은 이미 자생식물로 분류되고 있는 귀화식물을 제외하고 현재 4,200여종이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한국에만 있는 특산식물종만도 393종 46변종과 22품종에 달한다.

 

자생식물은 원래부터 그 지역에 살고 있었던 식물이며, 야생화는 자연상태에서 자라는 식물을 말하고, 외래식물이지만 오래전에 귀화되어 살고 있는 귀화식물도 자생식물이나 야생화에 포함이 되면서 우리꽃에 대한 혼동으로 잘못 불리우고 쓰이는 예도 많다.

 

특히 우리꽃이 외국품종으로 개발돼 다시 역수입되는 식물도 늘고 있어 우리꽃 중요성과 가치 또한 높은데 반해 산업발전에 따라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환경파괴와 화려한 외래종에 밀려 우리꽃이 점차 사라지고 잊혀져가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태그:#경기, #한택식물원, #우리꽃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