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거듭 '친박 복당 여부 결정'을 압박했지만, 강재섭 대표는 사실상 '결정 유보' 입장을 보였다.

 

한나라당 최고위원회는 30일 오전 비공개 회의를 통해 '친박 복당' 문제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맺지 못한 채 회의를 끝냈다. 논의의 물꼬는 텄지만, 앞길은 여전히 안개 속이다.

 

전날(29일) 박 전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복당 여부를) 결정해주기를 바란다, 거기서 공식적으로 결정이 나면 그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더 이상 요구하지 않겠다"며 사실상 당 지도부에 '최후 통첩'을 한 바 있다.

 

정형근 "친박 복당여부 결정하자... 선별 허용해야" 신호탄

 

이날 오전 최고위원 회의에서 정형근·김학원 최고위원은 친박 복당 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토론을 제안했다. 정 최고위원이 신호탄을 쐈다.

 

정 최고위원은 언론의 취재가 허용된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친박의 선별 복당을 주장했다. 친이 성향인 정 최고위원의 친박 복당 주장은 다소 의외였다.

 

정 최고위원은 "친박 인사의 탈당은 잘못된 공천때문에 발생한 일"이라며 "친박연대이든 친박 무소속이든 선별적으로 복당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한나라당 지지도가 많이 떨어지고 있다고 하나 친박연대와 무소속의 지지도를 합치면 전체 지지도에는 변함이 없다"며 "친이든 친박이든 대동단결해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하는 명실상부한 여당이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공천에서 탈락한 정 최고위원은 이방호·이재오 의원을 공개 비판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정 최고위원은 "이재오 의원은 사심을 가지고 자신과 껄끄럽거나 (당권 경쟁에서) 자신에게 라이벌이 될 수 있는 사람을 내치면서 당을 정쟁의 장으로 변질시켰고 이방호 의원은 공심위 책임자의 한사람으로서 호가호위하면서 대통령을 속이고 공천위원도 속였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대선에서 압승했던 우리가 총선에서는 힘겹게 과반 의석을 차지한 것이나 당의 아성인 경남에서 이방호 의원이 낙선한 것이 이를 단적으로 증명해준다"고 덧붙였다.

 

대표적 친박인사인 김학원 최고위원도 입을 열었다. 김 최고위원은 "직전 당 대표였고 유력한 당의 대선후보였던 사람이 전당대회 출마 여부까지 걸고 (친박 복당 문제를) 결정해달라고 요청한 사안을 최고위가 일언반구 대꾸 없이 묵살한 것은 도리가 아니다"고 강재섭 대표를 겨냥했다.

 

또 김 최고위원은 "복당 문제에 대해 최고위가 타당성 여부를 신중히 검토해 국민들이 납득할만한 방향으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며 "그래야 7월 전대도 좋은 환경에서 치러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강재섭 "정치판세 인위적 조정 안돼"... 결정 유보

 

이후 강 대표는 최고위원들만 모아 30분 가량 비공개로 논의를 이끌었다. 그러나 결론은 내지 못했다.

 

회의에는 강 대표와 안상수 원내대표, 이한구 정책위의장, 정형근·정몽준·김학원·한영 최고위원이 참석했다. 권영세 사무총장과 조윤선 대변인은 발언권은 없으나 배석자로 자리를 함께 했다.

 

조 대변인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강 대표는 "내 소임은 18대 국회의 원 구성까지 마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국민이 만든 판세를 인위적으로 재조정하는 것은 국민의 뜻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7월 전대에서 뽑힐 새 지도부에 공을 넘기겠다는 심산이다. 안 원내대표와 정 최고위원도 "시간을 두고 더 논의해보자"며 강 대표의 '결정 유보' 의견에 동의의 뜻을 표했다고 한다.

 

회의에 참석했던 김학원 최고위원은 "강 대표가 최고위원들에게 당장 친박 복당을 결정하기엔 어려운 입장이니 차가 당 지도부가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옳다는 점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또 김 최고위원은 "그렇다고 '친박 복당은 절대 안된다'며 강경한 반대 의사를 표하는 사람도 없었다"며 "최고위원 회의에서 계속 방법을 강구해보자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당 지도부가 최고위원 회의를 통해 친박 복당 논의의 물꼬는 텄지만, 명쾌한 결론을 내리기는 쉽지 않아보인다.

 

강 대표가 '결정 유보' 입장인데다, 복당을 주장하고 있는 최고위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다.

 

김학원 최고위원은 '일괄 복당, 선별 복당 반대'를 고수하고 있는 반면, 정형근·한영 최고위원 등은 '선별 복당' 쪽이다.

 

당 지도부가 이처럼 복당 여부를 결정하지 못할 경우 박 전 대표의 대응도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박 전 대표가 전대에 출마해 당권을 거머쥔 뒤 본인이 직접 친박 복당 문제를 매듭 지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태그:#친박복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