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옴천 토하젓만 있으면 밥 한 그릇은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뚝딱이다.
▲ 옴천 토하 비빔밥 옴천 토하젓만 있으면 밥 한 그릇은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뚝딱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진짜 밥 도둑 ‘토하젓’

세상에 밥 도둑이 많기도 하지만 음식의 대도 진짜 밥 도둑은 토하젓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찰밥에다 쪽파·생강·마늘을 다져 넣고 당근과 고춧가루, 참깨와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다. 이렇게 만든 옴천 토하젓만 있으면 밥 한 그릇은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뚝딱이다. 간간하고 고소한 토하는 옴천 청정 고을의 흙내음도 덤으로 담겨있다.

각종 나물에 겉절이와 옴천 토하젓을 넣어 비벼 먹으면 입에 쫙쫙 붙는다. 토하 그 신비하고 오묘한 맛은 먹을수록 진가가 돋보인다. 유기농 쌀로 지은 밥에다 유기농 배추겉절이, 호박나물 토종 갓김치, 열무김치를 넣었으니 이 어찌 맛이 기막히지 않을까.

겉절이도 토하를 넣고 버무렸다. 풋풋한 유기농 배추 겉절이 무침은 새콤달콤하다.
▲ 배추겉절이 겉절이도 토하를 넣고 버무렸다. 풋풋한 유기농 배추 겉절이 무침은 새콤달콤하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호박닭고기나물은 옴천 정보화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의 아내인 김감순(50)씨가 닭고기의 가슴살을 이용해 직접 개발한 음식이다.
▲ 호박닭고기나물 호박닭고기나물은 옴천 정보화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의 아내인 김감순(50)씨가 닭고기의 가슴살을 이용해 직접 개발한 음식이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조촐한 밥상이지만 맛이 깔끔하고 입에 쫙쫙 붙는다.
▲ 조촐한 밥상 조촐한 밥상이지만 맛이 깔끔하고 입에 쫙쫙 붙는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겉절이도 토하를 넣고 버무렸다. 풋풋한 유기농 배추 겉절이 무침은 새콤달콤하다. 꼬들꼬들하게 말린 명태 무조림, 채 썬 애호박에 토종닭고기 가슴살을 찢어 넣은 호박 닭고기나물, 모든 음식들이 다 맛깔스럽다.

호박 닭고기나물에 들어간 닭고기는 쫄깃하게 씹히는 식감이 좋다. 호박 닭고기나물은 옴천 정보화 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의 아내인 김감순(50)씨가 닭고기의 가슴살을 이용해 직접 개발한 음식이다.

“닭고기를 좀 간질간질하게 볶아 넣고 호박은 물러지지 않게 살짝 볶아요. 호박을 맨 나중에 넣어야 아삭하니 맛있어요.”

토하는 먹을수록 입맛을 당긴다. 과연 밥 도둑 대도답다. 토하젓 하나면 열 반찬 부러울 게 없다. 뜨거운 밥 한술에 토하젓을 살짝 얹어 먹어보라. 토하 비빔밥도 좋지만 이렇게 먹어도 밥 한 그릇이 금세 사라진다.

진짜 밥 도둑 ‘옴천 토하젓’
▲ 옴천 토하젓 진짜 밥 도둑 ‘옴천 토하젓’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아름다운 집은 옴천 정보화 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와  그의 아내인 김감순(50)씨가 살고 있는 집으로  폐교를 새롭게 단장했다.
▲ 아름다운 집 아름다운 집은 옴천 정보화 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와 그의 아내인 김감순(50)씨가 살고 있는 집으로 폐교를 새롭게 단장했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조선시대 궁중진상품

강진 옴천 토하는 청정계곡 1급수에서 나는 자연산으로 조선시대 궁중진상품이었다. 맛이 특별하며 식욕 및 소화촉진 효과가 뛰어나다. 토하젓은 민물 새우에 소금을 켜켜이 뿌려 3개월간 숙성한 후 갖은 양념을 곁들여 버무려 먹는다. 흙 향기가 담겨있는 고단백 천연 발효식품으로 깔끔한 맛이 일품이다.

옴천 정보화 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 김감순(50)씨 부부
▲ 부부 옴천 정보화 마을 운영위원장 박종욱(60)씨, 김감순(50)씨 부부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강진 옴천 계원마을 고샅길의 돌담장
▲ 돌담장 강진 옴천 계원마을 고샅길의 돌담장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각종 나물에 겉절이와 옴천 토하젓을 넣어 비벼 먹으면 입에 쫙쫙 붙는다.
▲ 토하 비빔밥 각종 나물에 겉절이와 옴천 토하젓을 넣어 비벼 먹으면 입에 쫙쫙 붙는다.
ⓒ 조찬현

관련사진보기


<본초강목>에 의하면 ‘새우는 신장을 보하고, 양기를 일어나게 한다’고 쓰여 있다. 또한 새우가 강장 식품으로 손꼽히는 이유는 양질의 단백질과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 비타민B 복합체 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옴천 토하 비빔밥을 맛볼 수 있는 날도 얼마 남지 않았다. 앞으로 김감순씨가 상품화할 예정이다. 유기농 야채와 각종 나물을 더 개발해 토하 김치와 토하젓을 넣은 맛깔난 비빔밥을 5천원에 선보인다고 한다. 옴천 토하 비빔밥이 꼭 먹고 싶다면 옴천 정보화 마을로 미리 연락을 해보시길.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뉴스큐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밥도둑, #옴천 토하젓, #청정계곡, #토하 비빔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