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대전장애인학부모 6명은 27일 시교육청 정문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삭발을 하며 교육청의 성실교섭을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장재완
▲ 결의대회를 마친 학부모들이 시교육청으로 진입하려다가 이를 막는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 오마이뉴스장재완

장애인교육여건 개선을 촉구하며 대전시교육청 현관 앞에서 10일째 농성을 벌이고 있는 장애인 학부모들이 '삭발식'을 거행하며 다시 한 번 정책요구안 수용을 촉구했다.

대전장애인교육권연대(이하 장애인연대)는 27일 오전 대전시교육청 정문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대전시교육청은 성실한 자세로 정책협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현재 장애인연대와 대전시교육청은 2차례의 실무협의회 1차례의 본 협의를 거쳤으나 정책요구안 33개항 중 21개항만 타결을 본 상태다. 나머지 12개항은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교육청이 수용에 난항을 표하고 있다.

양측은 모두 실무협의를 계속 열어 나머지 사항에 대해 논의하기를 원하고 있으나, 실무위원 구성 등에 있어서 계속해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교육청은 대전 사람이 아닌 중앙조직 임원의 협의위원 참여 불가를 고집하고 있고, 장애인연대는 위원변경 불가 및 실무협의에 부교육감 참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자 장애인 학부모들이 교육청의 성실교섭을 촉구하는 항의의 표시로 이날 결의대회에서 '삭발'을 결행했다. 장애인연대 집행위원장과 장애아동을 둔 5명의 엄마들이 이날 삭발에 참여했다.

삭발식이 진행되는 동안 결의대회장은 눈물바다가 됐다. 특히 '아이들에게 보내는 편지'가 낭독되자 결의대회에 참가한 150여명의 학부모 및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은 일제히 눈물을 쏟아냈다.

이들은 이날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우리들의 요구는 내 아이도 사람임을 천명하는 최소한의 요구일 뿐 그대들에게 머리 숙여 구걸해야할 내용은 절대 아니"라며 "최소한 교육의 백년지대계를 논의하는 교육당국자로서의 양심이 있다면 우리의 요구를 외면하는 비겁함을 걷어치우라"고 촉구했다.

결의대회를 마친 이들은 "교육감 나와라", "장애인교육여건 개선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육청 현관 진입을 시도했고, 이 과정에서 경찰들과 격렬한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최순영 의원, 교육감 면담 통해 장애인연대·동명중 사태 해결 촉구

▲ 민주노동당 최순영 국회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장애인교육여건 개선을 위한 시교육청의 성실교섭과 동명중학교 임시이사 파견을 통한 정상화를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장재완
이에 앞서 민주노동당 최순영 국회의원이 시교육청을 방문 기자회견을 했다. 최 의원은 "장애인 교육여건 개선을 요구하는 대전장애인교육권연대의 요구사항에 대해 대전시교육청의 무성의한 태도는 한마디로 전국 어느 시도교육청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권위주의적인 태도"라고 비난했다.

최 의원은 대전시교육청에 대해 장애인교육권연대와의 성실교섭을 촉구하고, 지난 26일 이사장 및 이사에 대한 직무정지 명령을 통해 사태가 수습국면에 있는 동명중학교에 대해서도 "임시이사를 파견, 완전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대전시교육청을 방문한 최 의원은 김신호 대전시교육감과 면담을 통해 다시 한 번 장애인교육문제와 동명중학교 사태해결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를 촉구했다.

교육감실에서 진행된 이날 면담에서 김 교육감은 "장애인연대의 요구와 장애인학부모들의 고통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며 "최선을 다해 노력할 테니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예산문제와 법적인 문제 등으로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는 것은 이해해 달라"며 "빠른시간 안에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 믿어 달라"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동명중학교 사태에 대해서도 "이 문제는 저에 대한 시험대라고 생각한다"며 "그 어떤 문제보다도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최순영 의원은 김신호 대전시교육감과 면담을 갖고, 장애인교육권연대와 동명중학교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 오마이뉴스장재완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향나무는 자기를 찍는 도끼에게 향을 묻혀 준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