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전원주택에서 흔히 사용하는 것이 야외 마루에서 사용하는 탁자이다. 야외탁자는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라 방부목을 써야 한다. 그렇지만 사람의 몸이 닿고 음식이 닿을 수 있은 곳이라 될 수 있으면 방부목을 쓰지 않고 일반 구조재를 선호한다. 우선 야외탁자에 필요한 나무는 투바이 퍼 8(피트)짜리 20개면 된다. 거기에 기본적인 공구만 있으면 야외탁자를 만들 수가 있다.

▲ 상판
ⓒ 장승현
우선 투바이 퍼 길이가 1500mm짜리 15개가 필요하다. 상판 9개와 의자용 6개.

▲ 상판받침대
ⓒ 장승현
상판 밑에 받침대 두 개를 준비한다.

▲ 상판박기
ⓒ 장승현
상판을 약간 틈을 내어 나란히 못을 박는다. 이때 틈은 못 하나 두께 정도면 된다.

▲ 상판박기 완료
ⓒ 장승현
상판을 뒤집어 다리를 각을 내어 박는다. 이때 의자 얹을 넓이를 미리 계산한다.

▲ 다리박기
ⓒ 장승현
의자를 얹을 가로대를 박는다. 이때 의자는 투바이 퍼 세 개를 계산해야 한다.

▲ 의자 받침대
ⓒ 장승현
의자를 박는다. 의자를 박을 때도 앉을 때 엉덩이가 끼지 않을 정도로 틈을 내야 한다.

▲ 다리 자르기
ⓒ 장승현
다리를 수평과 높이에 맞게 자른다. 이때 탁자를 뒤집어 놓고 수평으로 금을 그어야 한다.

▲ 의자 상판 박기
ⓒ 장승현
지지대와 보강재를 대고 구조를 마무리한다.

▲ 파라솔 구멍뚫기
ⓒ 장승현
파라솔이 들어갈 구멍을 뚫는다. 이때 너무 구멍이 헐렁하면 파라솔이 움직일 수가 있다.

▲ 파라솔과 야외탁자 마감
ⓒ 장승현
파라솔과 함께 마무리 된 야외탁자. 완성된 야외탁자. 목조주택의 운치를 더해주는 야외탁자이다.

덧붙이는 글 | 문의하실 내용은 제 메일 startjsm@hanmail.net 이나 홈페이지 http://www.moksune.com 게시판에 글을 남겨 주시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