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임진왜란 전 민가에서 제사 때 사용했던 향로 (일본 중요미술품으로서 센노리큐가 사용했다함)
ⓒ 네즈미술관
앞서 1편에서 우리나라는 제기를 아주 신성시 여겼고, 그 제기는 1) 청동기와 유기(놋쇠)의 형태나 문양, 장식을 흉내내었고 2) 문양이나 장식이 없으면 굽을 높게 만들었으며 3) 굽이 높지 않으면 굽에 홈을 파거나 4) 청동기의 요철문양을 단순화시켜 물레선으로 제기임을 나타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2편에서는 1) 진주사발 중 일본에서 국보와 보물이 된 사발은 굽이 높아 밥공기로 사용할 수 없으며, 굽이 높다는 것 그 자체가 제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진주사발이 노란색인 것은 유기(놋쇠)를 모방하기 위해서 조선 사기장이 인위적인 불 때기를 통해 일부러 만든 때깔(색깔)이라 설명했습니다.


관련
기사
일본 국보사발은 왜 조선의 제기인가?


'가이라기'와 '죽절(竹節)굽'

굽 부분에 이른 봄의 이슬 같이 동그랗게 매달린 유약은 슬픈 운명을 지닌 조선 사기장의 눈물처럼 아름답게 보입니다.

▲ '가이라기'라고 불리는 유방울(유약말림 현상)
ⓒ 본문참조
이것을 일본에서는 '가이라기'라 하기도 하고 매화나무 껍질을 닮았다 하여 매화피(梅華皮)라 부르기도 합니다. 필자는 이를 '유방울'이라 합니다.

'가이라기'라 부르게 된 이야기가 있습니다. 옛날 일본의 사무라이에게 있어서 칼은 아주 중요했습니다. 칼을 쥔 손과 칼과의 밀착감을 위해 칼의 손잡이 부분에 바다표범의 가죽을 감았습니다. 이 바다표범가죽을 일본말로 '가이라기'라고 부릅니다.

사무라이가 정신의 도를 닦는 데 있어서 찻사발이 아주 중요했습니다. 찻사발을 잡을 때 유방울이 마치 '가이라기'처럼 느껴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일본에서는 유방울을 진주사발(井戶茶碗)의 볼거리 중 첫번째로 여깁니다. 일본 차인들은 '무의식(無意識)', '무작위(無作爲)'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굽을 깎은 부분이 거칠어 우연히 생겼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 유약말림 현상 즉, 유방울은 '무의식'이 아닌 '작위적(作爲的)'이라고 단언합니다. 진주사발을 빚은 조선사기장의 창조적 정신의 발로라는 것이 필자의 주장입니다. 아래 그림을 통해 설명하자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 진주사발의 고요지라고 생각되는 곳이 몇 군데 있습니다.

▲ 옛 도요지의 사금파리(깨어진 도편)들
ⓒ 경남발전연구원
진주사발을 빚은 것으로 추정되는 고요지에는 진주 사발 사금파리와 연질백자 사금파리 그리고 일반 분청 사금파리가 동시에 존재하며 같이 구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진주사발의 고요지 중 한 곳이라 추정되는 진해 웅천 두동리 가마 시굴 조사 보고서에서 발췌한 사진입니다.

그림(1)은 백자입니다. (2)는 필자가 진주사발이라 부르는 사금파리입니다. (3)은 똑같은 백자 사금파리이나 좌측의 것은 산화불을 받은 사금파리입니다. (4)는 고미술상에서 흑고려라 부르는 흑유 자기입니다. (5)는 분청 제기입니다. (6)은 산화불 받은 조질 백자로서 제기의 사금파리라 추정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가마에서 분청, 백자, 흑유 그리고 제기, 식기 등 여러 가지 용도의 도자기가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을 간단히 설명하면 여러 종류의 사금파리가 동시에 발굴된다는 것은 조선의 사기장이 여러 종류의 도자기를 빚는 기술이 있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 높은 굽과 선명한 유방울을 통해 진주지방의 제기임을 알 수 있다. '대이도자완'이라 불리는 '진주 멧사발'이다.
ⓒ 본문참조
조선 사기장은 어떤 흙에 어떤 유약을 입히고 불을 때면 일본인이 가이라기라고 부르는 유방울 현상이 굽 부분에 나타나는가를 모를 리가 없습니다. 그 증거는, 유방울이 없는 사금파리와 유방울이 있는 것이 동시에 발견되기 때문입니다.

사금파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유방울이 있는 사금파리와 유방울이 없는 사금파리의 태토(도자기흙)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조선 사기장이 무의식적인 작업으로 인해 우연히 유방울이 생긴 것이 아님을 증명합니다.

▲ 낮은 굽과 불분명한 유방울을 통해 식기임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 웅천시굴조사 보고서에서 발췌 (웅천은 조선시대 진주부에서 속해 있었다)
ⓒ 경남발전연구원
유방울은 흙 선정, 유약 선정, 불 때기 등 모든 것을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진행한 조선 사기장의 창작 행위 그 자체였습니다.

필자는 진주사발의 유방울을 볼 때면 조선 사기장의 심미안과 여유를 느낄 수 있습니다. 아무 연구 없이 우리 사발에 대해서 무의식의 산물이라는 일본인들의 논리를 따르는 것은 한국인으로서는 아주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진주사발 중 제기는 위의 진주멧사발의 사진과 같이 특히 유방울을 아주 강하게 나타나도록 의도하였습니다.

조선의 도자기를 일본에 가장 먼저 알린 조선도자명고(아사카와다꾸미)라는 책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한국의 제기는 제사상 위에 놓고 여럿이 바라보고 감상하는 기물이기도 했다. 평상시에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제기는 형태가 특이하여 한눈에 일반 그릇과 다르다는 것을 표시나게 만들었다."

진주사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유방울의 미학

과연 유방울(가이라기)이 우연의 산물이었을까요? 사기장을 천직으로 생각하는 필자는 진주사발을 빚을 때 가장 어려운 것 중 하나가 유방울을 잘 표현하는 것입니다. 이유는 불이 조금만 세면 유방울이 녹아서 없어져 평평하게 되어 버립니다. 반대로 불이 약하면 유방울은 선명하나 그릇 자체가 다 익지 않고 설익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진주지방의 조선 사기장들은 왜 유방울을 일반 그릇에 표현을 했을까요? 조선시대의 정원을 보면 이웃 일본과 중국의 정원과는 달리 자연주의적 미감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 좌는 한국화, 우는 민화
ⓒ 신한균
예를 들면 정원의 경계가 불확실합니다. 자연을 가능한 손질하지 않았습니다. 진주사발 또한 잔손질을 통한 인위적인 가공미보다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미를 추구하는 사기장의 여유가 유방울을 탄생시켰습니다.

옆의 사진은 두 작품 모두 호랑이를 나타낸 것입니다. 첫번째 그림은 사대부 풍의 아주 사실적으로 묘사된 그림인 반면 두 번째 그림은 일반 서민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민화입니다. 아주 해학적이면서 일반 서민들의 여유롭고 익살스런 재미를 느끼게 해주는 그림입니다.

조선의 민화는 자유정신을 추구하는 민중의 미의식을 잘 표현하였습니다. 유방울 또한 이 민화와 같이 자유정신을 추구한 진주지방 사기장들의 해학과 여유에 의해 탄생되었습니다.

▲ 좌는 전라도 무안지방의 필세, 우는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분청사기
ⓒ 도쿠가와기념관 외
이 해학과 여유는 쓰는 그릇이라 할지라도 자연미를 추구하는 조선시대 민중의 미감이 사기장의 창조적 정신과 일치되었기 때문입니다. 옆의 두 사진은 조선초기의 지방가마에서 만들어진 도자기입니다. 우리는 이 도자기를 통해 선(禪)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사기장의 정신적 세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유방울 또한 우연히 나타나는 도자기의 결과물로 보이나 사실은 우연히 발생되는 자연스러운 도자기의 맛을 살리기 위한 의도적 창작 행위였습니다.

▲ 조선시대 자연미를 느낄 수 있는 건축물
ⓒ 최준식
조선시대 건축물에도 기둥을 가공하지 않고 자연미를 그대로 살려 집을 지은 것을 우리는 보게 됩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대부분 건축물은 나무를 잘 다듬어 인공적인 멋을 가합니다. 그러나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사랑한 조선시대의 장인들은 가공하지 않는 자연의 미를 아주 잘 표현하는 그 시대의 위대한 예술가였습니다.

이러한 풍토에서 진주사발의 유방울이 탄생되었다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일본의 미학자들이 말하는 우리 사발의 아름다움 중 '무작위', '무기교'라는 말은 우리 조선사기장을 몰라서 하는 말입니다.

조선의 사기장은 창조적 정신을 가지고 철두철미한 계산 속에서 일본인들이 말하는 '무작위', '무기교'의 아름다움을 인위적으로 표현한 위대한 예술혼을 가진 예술가였습니다.

▲ 좌는 몬드리안의 추상화, 우는 우리의 전통보자기
ⓒ 최준식
유방울 또한 조선의 사기장의 예술 행위의 결과물입니다. 왼쪽 사진은 현대를 가장 잘 상징하는 몬드리안의 작품입니다. 오른쪽 사진은 우리네 할머니 어머니들이 복을 빌며 장롱 밑에 깔아두기도 하고 보자기나 밥상보로 이용했던 조각보입니다. 누가 위대한 예술가인지는 이 두 사진을 보고 판단하길 바랍니다.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최준식)

▲ 좌는 제기용 사발의 굽, 우는 식기 사발의 굽
ⓒ 본문참조
또한 제기용이었던 진주사발의 유방울은 일반 식기의 유방울보다는 아주 진하고 인위적입니다. 그 이유는 조상에게 올리는 그릇이라 아름다움을 더욱 강하게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유방울을 선명하게 표현하여 일반 식기와 제기의 구별을 두었습니다. 진주사발에만 존재하는 이 유방울의 미학은 지금도 도자기예술 세계에 아주 많이 응용되고 있습니다.

다음 기사에서는 '물레선'에 숨어 있는 진주사발의 의미를 설명하겠습니다.

덧붙이는 글 | 저는 도자기에 묻어 있는 일본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우리 옛그릇 이름 되찾기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학자가 왜곡한 우리 도자사를 바로잡을 뿐 아니라 미학자들이 왜곡한 도자기의 본질을 사기장인 제가 바로잡기 위해 노력하며 책을 쓰고 있습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