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소년범을 혐오합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소년심판>은 심은석(김혜수 분)의 이 한 마디로 시작된다. 우수한 성적으로 가장 먼저 서울 중앙지법에 입성했고, 법관 해외 연수까지 다녀온 능력자, 하지만 그녀는 법원 내에서 한직으로 여겨지는 소년범을 전담하는 연화지방법원 소년형사합의부 판사다. 왜 소년범만 전담하냐는 질문에 그녀는 혐오를 이유로 댄다. 표정하나 없는 얼굴, 자비라고는 느껴지지 않는 태도에서 그의 혐오를 읽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촉법소년'이 있다. 범죄를 저질렀어도, 10세 이상 14세 이하의 형사미성년자는 형사 처분 대신 소년법에 의거 보호 처분을 받는다는 내용인데, 이 보호 처분을 담당하는 사람이 바로 소년형사합의부의 판사들이다. 

대놓고 소년범을 혐오한다는 심은석 판사. 혐오라는 단어 자체가 매우 감정적이다. 어떻게 보면 싫다라는 말보다 더 싫은 감정을 담은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드라마 <소년심판>은 이 소년법 심판 제도를 통해 혐오와, 혐오를 드러내는 사회적 행위 사이의 딜레마를 다룬다. 

'혐오'를 '법'으로 승화시킨 심은석 
 
 소년 심판

소년 심판 ⓒ 넷플릭스

 
심은석 판사와 같은 방을 쓰는 차태주 판사(김무열 분)는 이른바 휴머니스트다. 그는 아직 미성년인 아이들을 어떻게든 보호하고 교화하려 애쓴다. 하지만 그런 차태주의 입장에 심은석은 냉소적이다 못해 냉담하다. 이제 막 보호소를 떠날 처지의 소년범이 다시 지갑에 손을 대자, 어떻게든 수습해 보려는 차태주 판사와 달리, 심은석은 경찰을 호출해야 한다고, 법대로 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소년심판>을 연 첫 번 째 사건은 초등학교 2학년 아이를 납치·살인한 후  자수한 사건이다. 심은석 판사는 이 사건을 맡게 된다. 사회는 '촉법 소년'인 범인이 초등학생을 잔인하게 살인하고 시체까지 훼손한 사건에 떠들석하다. 심지어 잡혀온 범인 백성우는 자신이 촉법 소년에, 조현병임을 내세우며 법의 심판을 빗겨갈 수 있다고 여긴다. 이미 심판에 앞서 여론 재판이 끝버린 상황, 거기에 정치적 야심을 얹은 강원중 부장판사(이성민 분)는 적당히 마무리할 것을 종용한다. 

예의 소년범에 대한 '혐오'에 의거하면 백성우에 대한 처벌로 마무리하고 말 사안. 그런데 심은석은 백성우의 단독범행을 의심한다. 그리고 촉법 소년 범죄 뒤에 숨은 '촉법 소년이 아닌' 한예은의 존재를 밝혀낸다. 즉 심 판사의 혐오는 그녀를 감정적 행동으로 몰아가는 대신 가장 이성적이고 냉철한 잣대로 사건의 실체를 밝히는 데 도움을 준다. 덕분에 자칫 여론에 밀려 그저 한 소년에 대한 분노로 마무리될 뻔 했던 재판은 그 뒤에 숨은 진실에 다가갈 수 있게 된다.

악의 심연에 자신을 던진 송하영 
 
 악의 마음을 쫓는 자들

악의 마음을 쫓는 자들 ⓒ sbs

 
혐오에 대한 이성적 접근, 그리고 법에 의거한 해결. 이와 같은 방식은 SBS 드라마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의 송하영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다.

'빌딩이 높아지면 그림자는 깊어진다'는 혜안으로 불특정 대중을 대상으로 한 연쇄 살인 범죄의 등장을 예견한 국영수 팀장(진선규 분)은 범죄심리 분석팀을 구성한다.

하지만 아직도 범죄라면 치정·금전 등의 이유로만 수사를 하는 시대에 새로운 범죄를 대비하는 길을 쉽지 않다. 교도소를 찾아다니고, 연쇄 살인범을 면담하며 새로운 시대의 범죄 데이터를 축적하는 과정이 만만치 않은 것이다. 정작 팀장인 국영수 조차도 파렴치하다 못해, 차마 인간이라 할 수 없는 범죄자들과의 면담이 쉽지 않다. 그때 총대를 멘 사람이 범죄 행동 분석관 송하영(김남길 분)이다. 

어린 시절 물 속에 빠졌다가 시신을 발견하게 된 송하영, 그는 그 시절 이후로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감정을 상실해서가 아니라, 너무 예민해서 감정을 수면 아래로 숨겨버린 것이다. 범죄 행동 분석관이 된 그는 살인마들과의 인터뷰를 자처한다.

그들과의 인터뷰가 편해서가 아니다. 하루 빨리 범인을 잡아 피해자의 고통을 줄여주고 싶다는 사명감 때문이다. 그 사명감이 그로 하여금 연쇄 살인범에 대한 혐오를 삼키도록 만들었다. 심리 분석을 무기로, 법의 테두리 내에서 범죄에 대한 자신의 혐오를 풀어내려 애쓴다. 

하지만, 10회에 이르른 <악의 마음을 쫓는 자들>에서 송하영은 그 자신이 말하듯, 악의 심연이라는 구덩이에 빠져버리고 만다. 혐오를 숨기려 하지만, 마치 뱀이 또아리를 틀어 그의 목을 조른다. 연쇄 살인마와 면담을 하며 그는 고통스러워 한다. 또한 연쇄 살인범을 잡고자 하는 그의 열의가 '연쇄 살인범의 마음을 읽기 위한 '범인화'의 과정에서 그를 혼돈에 빠뜨린다. 결국, 그 정신적 딜레마는 사고를 일으키고 만다.

신선한 수사 장르의 탄생

<소년심판>과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은 신선한 수사 장르다.

<소년심판> 심우석 판사와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속 송하영 범죄 분석관은 자신들이 구가하는 법이라는 제도 앞에 가장 이성적인 포지션을 취한다. 물론, 이들에겐 인간적 면모가 있기에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10화, 송하연은 악의 심연에 빠지고 <소년심판>심은석 판사는 피해자 어머니의 도시락을 거절하지 못한다. 

송하영과 심은석은 서릿발 같은 무표정 속에 뜨거운 혐오를 숨기고 법이라는 무기로 범죄의 숲을 헤쳐나간다. 이성적 혐오가 있기에 최초의 프로파일링과 소년범에 대한 제대로 된 심판이 가능했던 게 아닐까. 뜨거움이 범람하는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들의 프로페셔널한 임무가 더욱 신선하게 다가오는 이유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브런치 https://brunch.co.kr/@5252-jh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소년 심판 악의 마음을 쫓는 자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