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비만은 허기에 시달리던 원시 시대에 어떻게든 지방과 탄수화물을 축적하여 추운 계절을 견뎌내려던 진화의 결과물이다. 물욕은 비만과 다르지 않다.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더 많은 걸 갖고자 하는 생물학적 본능에 기반을 둔 허황한 갈망이다.   

그리고 그 갈망을 소비 문화에 기반한 광고 등이 조장한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가 보여주듯이 지난 100년간 아메리칸 드림은 미국은 물론, 전세계 삶의 스타일에 있어 성공의 상징이 됐다. 하지만 과연 그 물리적 성공을 통해 우리는 행복해졌을까?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 넷플릭스

 
<넷플릭스>의 다큐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은 미니멀리즘이란 화두를 내세운다. 물건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인정받고자 하는 현대인의 공허한 존재론을 통찰한다. 

다큐의 시작은 미니멀리즘에 대한 책을 출간하고 미국 전역 투어에 나선 조슈아 필즈 밀번과 라이언 니커디머스 두 사람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죠슈아와 라이언은 왜 미니멀리스트가 되었나? 

두 사람은 모두 젊은 나이에 대기업에 다니던 이른바 잘 나가는 직장인이었다. 가져야 할 모든 걸 가졌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공허했다. 그럴수록 더 많은 걸 샀다. 그것으로 행복을 쟁취하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라이언은 사람들에게 5살 짜리에게 어떻게 하면 핸드폰을 팔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주다 퍼뜩 정신이 들었다. '내가 뭐하는 거지?' 직장 내에서 승진을 하고 더 좋은 차를 타기 위해 5살짜리에게까지 핸드폰을 팔려고 하고 있었던 것이다.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 넷플릭스

 
죠수아의 경우 27살에 150개 소매 점포의 관리자가 되었다. 2008년 엄마에게 전화가 왔는데 회의 때문에 받지 못했다. 나중에 확인해 보니 엄마가 암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이었다. 그리고 엄마는 돌아가셨다. 6년 간의 결혼 생활은 종지부를 찍었다. 그런데 그런 비극적 순간에도 죠수아는 이케아에서 쇼핑을 하는 자신을 발견했다. 이혼 후 집을 나오면서 190리터짜리 쓰레기 봉투에 물건들을 버린 그는 곧 다시 새 집에 어울리는 물건을 들일 생각에 설레하고 있었던 것이다.  

시작은 죠수아였다. 물건을 버리기 시작했다. 그러자 기분이 좋아졌다. 행복하고 가벼워짐을 느끼기 시작했다. 죠수아를 따라 라이언도 물건을 버리기 시작했다. 그들은 수도승 같은 극단적 미니멀리스트가 아니다. 그들은 가구도, 가전제품도 있다. 하지만, 그들이 가진 물건들은 저마다의 목적이 있다. 단지 필요없는 물건을 사지 않을 뿐이다. 그들은 말한다. 스스로에게 질문하라고. '이게 정말 내 삶에 가치가 있을까?' 그렇지 않다면 과감하게 버리라고 말한다. 더 적은 물건으로, 더 계획적으로 사는 삶, 그들은 그에 대한 책을 쓰고, 널리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길을 떠났다. 

두 사람은 물욕에 빠졌던 이유를 어린시절에서 찾는다. 두 사람 다 불우하고 가난한 가정에서 자랐다. 라이언이 초등학교 때 부모님은 이혼했고, 그 이후 엄마는 코카인 중독을 넘어 직접 만들다 체포까지 당했다. 죠수아 역시, 폭력적인 아버지와 이혼 후 어머니는 알코올 중독자가 됐다. 그들은 고등학교 졸업 후 삶의 목표를 '물질적 성공'으로 삼았다.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 넷플릭스

 
물건에 애착하는 사람들 

이런 두 사람이 지나온 삶의 행보는 많은 현대인들이 걸어온 삶의 여정과 다르지 않다. '삶이 주는 불만족스러운 부분을 물건에 대한 욕망으로 풀어내기', 신경과학자 샘 해리스는 이를 가리켜 물건에 애착을 형성하는 삶이라고 정의한다. 끊임없이 신제품이 나오면, 지금 가지고 있는 물건은 어느덧 불만족스러운 대상이 된다. 사람들이 원하는 게 물건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물건을 사서 만족감을 얻으려 하지만 그건 완벽한 사람에 대한 굶주림에 기인하는 것으로 결코 채워질 수 없는 공허함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과도한 소비 행위는 세계 경제의 변화와 맞물린다. 1990년대 중반부터 미국인들은 미친듯이 물건을 사대기 시작한다. 그걸 가능토록 한 건 상품에 대한 생태학적 비용을 정당하게 치르지 않는 값싼 중국 상품들이다. 이 싸고 구하기 쉬운 물건들을 인터넷에서 24시간 동안 언제든지 구할 수 있는 소비 형태의 변화가 소비의 폭발로 이어졌다. 

더 많이 물건을 사들인 사람들은 당연히 그 물건을 쌓아놓을 더 큰 집이 필요했다. 열감지 카메라로 조사를 해보니, 막상 큰 집을 소유한 사람들이 그 집에서 쓰는 공간은 40%가 채 되지 않았다. 나머지는 물건을 채워 넣는 공간으로 쓰일 뿐이다.

사람들이 첫 번째 차를 사는 이유는 필요해서다. 하지만 두 번째 차를 사는 이유는 첫 번째 차가 싫증났기 때문이다. 세번 째 차를 산다면, 이건 중독이다. 이런 물질적 욕망에의 중독을 기술과 정보가 부추긴다. 그리고 그걸 위해 사람들은 하루 2시간 걸려 출퇴근을 하고, 10시간이 넘게 칸막이 쳐진 사무실에서 일을 한다. 그리고 대출을 받아 물건이 주인인 집을 사고, 내 집이라 생각하며 살아간다. 

연간 7만 달러까지는 물질적 풍요가 정신적 풍요와 연관을 갖지만 그를 넘으면 더는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없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 

미니멀리즘의 전도사가 된 죠수아와 라이언은 말한다. 엄마에게도 관심을 갖지 않는 성공에 매달리지 말라고, 나를 둘러싼 혼란스러운 세상에서 그만 나오라고 말이다. 그리고 단순하고 열정적인 삶을 살아가라고. 또 그들은 말한다. 사람을 사랑하고 물건을 사용하라고. 미니멀리즘은 그저 물건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고, 내가 어떻게 살고 내 삶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에 대한 질문이자, 결단이라고 말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브런치 https://brunch.co.kr/@5252-jh와 <미디어스>에도 실립니다.
<미니멀리즘; 오늘도 비우는 사람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