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족벌 두 신문 이야기> 포스터.

영화 <족벌 두 신문 이야기> 포스터. ⓒ (주)엣나인필름


2020년은 한국을 '대표하는' 두 신문에게 뜻 깊은 해였다. 1920년 3월 5일 창간한 <조선일보>와 1920년 4월 1일 창간한 <동아일보>의 창간 100주년 되는 해였기 때문이다. 두 신문은 2019년 한국ABC협회 일간신문 유료부수 통계로 최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거니와, 가장 오래된 일간 신문 2, 3위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정연주 전 KBS 사장은 <한겨레신문> 논설위원과 논설주간을 역임할 당시 칼럼을 통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두고 '조중동 조폭언론'이라고 부르며 한데 묶기도 했다. 여러모로 한국을 대표하는 신문들임에 분명하다.

각각 '1등 신문'과 '민족정론지'를 자처하는 이들은, 1985년의 어느 날 느닷없이 싸운다. <동아일보>가 창간을 기념하는 기사에서 본인들은 민족지, <조선일보>는 친일 기회주의 신문이라며 선전포고를 한 것이다. 이후 두 신문의 격론과 논쟁이 계속될 듯했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그리고 1988년 일명 '5공 청문회'라 불리는 국회 청문회, 국회 언론청문회에 <조선일보>의 방우영 사장과 <동아일보>의 김상만 명예회장이 불려 나왔다. 그 자리에서 그들은 '친일'이라는 단어에 격한 반응을 보인다. 그리고 독재 정권을 찬양하며 또 정권과 유착하지 않았다는 걸 분명히 한다.

친일, 독재 정권 유착, 그리고 권력

뉴스타파함께센터가 기획·제작하고 김용진 뉴스타파 대표가 공동연출한 다큐멘터리 영화 <족벌 두 신문 이야기>는 '앞잡이', '밤의 대통령', '악의 축'이라는 3개의 챕터로 나뉘어 진행된다. 일제강점기 당시 친일의 최전선에서 활약했고(앞잡이), 광복 이후 박정희 독재와 전두환 독재 시절에는 정권을 찬양하며 또 정권과 유착해 세를 크게 불렸으며(밤의 대통령), 2003년 노무현 대통령 당선 이후에는 스스로가 권력이 되어 대한민국을 주무르기에 이르렀다(악의 축)는 내용이다.

이 영화는 두 신문 <조선일보> <동아일보>를 '큰 세력을 가진 가문의 일족' 즉, '족벌'로 규정하고 그들의 100년 역사를 되짚어 보는 작업이다. 일제강점기 시절에는 히로히토 부부 사진을 1면 정면에 수차례 배치했으며, 강제 폐간이 아닌 합의에 의한 폐간이었다는 게 문서로 드러났다. 박정희, 전두환 정권 찬양 기사들은 셀 수 없이 많았고 '동아특위'로 대표되는 반(反)사주-반독재 대열에 합류했던 두 신문의 기자들도 여럿 출연해 목소리를 보탰다.

특히 마지막 챕터 '악의 축'은 이들이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두 신문을 왜 '족벌'이라고 규정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대한민국을 주무를 수 있는지 치밀하게 보여 준다.

대한민국을 주무르는 족벌이 되기까지

아이러니한 점은, 두 신문이 찬양했던 독재정권을 물리치고 이룩한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의 자유로운 언론 환경에서 이들이 훨씬 더 높이 뛰어오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두 신문은 향후 어디로 향할까. 우리 모두 잘 알고 있듯 직접 핵심 권력을 형성하게 된다.

1970~1980년대 군부 독재 정권을 지지하고 찬양했던 대표 주류 언론 <조선일보> <동아일보>는 노무현 정부에 대대적인 선전포고 후 융단폭격을 날리기 시작한다. 노무현 대통령은 당시 "지난날의 기득권 세력들은 수구언론과 결탁하여 개혁을 반대하고 진보를 가로막았다", "민주시민들을 폭도로 매도해 왔던 수구언론들은 그들 스스로 권력으로 등장하여 민주 세력을 흔들고 수구의 가치를 수호하는 데 앞장섰다"고 표현했다.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은 수구 언론들이 그들 스스로 권력으로 등장했다는 말일 테다.

<조선일보> <동아일보> 두 신문의 권력은 방대한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다. 정계, 재계, 관계의 최상위층을 아우르는 혼맥과 전 세계 언론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사주 세습은 권력을 더욱 공고하게 만든다. <조선일보>는 친일파로 유명한 윤치호와 맞닿아 있는 것도 모자라 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현대가 정몽준, 그리고 홍정욱 전 의원 집안과 연결된다. 또한, 아모레퍼시픽과 농심과 동부와 GS 등 대기업 가문과도 연결된다.

<동아일보> 역시 이에 못지않다. 이한동 전 국무총미 등 정계와 삼성, GS, 현대 등 재계 등에 연결되어 있고 가문의 일원들이 직접 국회의원과 비서관 등 정계와 관계로 진출하기도 했다.

<조선일보>는 방일영 문화재단을 만들어 SKY 등 명문대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했고, 경찰과 함께 만든 청룡봉사상으로 1계급 특진의 영광을 주기도 했으며, 전국 방방곡곡 금싸라기 땅에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 기사인 것처럼 꾸몄지만 사실 광고인 '불법' 기사성 광고를 가장 많이 내놓은 신문들도 다름 아닌 두 신문이다.

이대로라면, 두 신문에게 미래는 없다

'악의 축'이라는 제목의 세 번째 챕터야말로 <족벌 두 신문 이야기>가 진짜 하고 싶은 이야기다. 앞서 두 챕터의 이야기들은 비교적 익숙한 반면, 마지막 챕터의 인맥 네트워크 이야기는 속속들이 생전 처음 보고 듣고 느끼는 것들이었다. 새삼 무서움과 두려움 그리고 허탈함이 앞섰다. 권력이란 게 영구적으로 지속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영화는 2시간 30분이 훌쩍 넘는 긴 러닝타임을 자랑한다. 후반부에 하고싶은 이야기가 집중되는데 워낙 방대하다보니 지루하고 피곤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또한, 역시 두 신문이 주인공이었기에 이를테면 <동아일보>의 자유언론실천선언에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한겨레신문> 창간 같은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지지 않아 아쉽기도 했다.

그럼에도, 재밌었고 속 시원했다. 사실만을 전하면서도 블랙 코미디 요소가 다분했던 내레이션이 웃음까지 피식피식 나오게 했다. 진지한 와중에 유머와 풍자를 잊지 않았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그동안의 행적이라면, 그들에게 미래는 없을 것이다. 1970년대 두 신문의 기자들이 사주의 올바르지 않은 짓에 반발했듯, 두 신문에도 진정한 희망의 빛이 다시 한 번 비출 날이 올까. 이 작품을 다 보고 나니, 그 희망이 다시 찾아오길 바라게 된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형욱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 singenv.tistory.com에도 실립니다.
족벌 두 신문 이야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친일 군부 독재 권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冊으로 策하다. 책으로 일을 꾸미거나 꾀하다. 책으로 세상을 바꿔 보겠습니다. 책에 관련된 어떤 거라도 환영해요^^ 영화는 더 환영하구요. singenv@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