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나리가 움트는 계절 3월. KBS 2TV <1박2일>은 뒤늦게 혹한기 특집을 방영했다. 이미 수차례 혹한기 특집을 선보였던 <1박2일>팀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혹한기 특집을 위해, 대륙의 추위를 찾아 중국 하얼빈으로 향했다.

마치 러시아 도적 떼처럼 털이 풀풀 날리는 누런 털코트를 입고 공항을 누비며 하얼빈으로 떠난 멤버들. 그들은 추운 중국의 날씨 속에서 어떤 웃음을 선보일까 기대와 걱정을 함께 안고 떠났다. 하얼빈에 도착한 멤버들은 한국과 급이 다른 추위에도 불구하고 <1박2일>의 전통에 맞게 온몸을 드러냈다. 중국이나, 한국이나 어디서나 <1박2일>은 <1박2일>이라는 듯이.

 <1박2일> 멤버들은 혹한기 특집을 위해 중국 하얼빈으로 떠났다.

<1박2일> 멤버들은 혹한기 특집을 위해 중국 하얼빈으로 떠났다. ⓒ KBS2


하지만 예능 프로그램으로서의 <1박2일>은 거기까지였다. 다음 날 아침 그들이 찾아간 곳은 조린 공원. 어제의 노출이 무색하게, 그들은 그곳에서 안중근 의사의 역사와 만났다. 안중근 의사가 동료들과 함께 거사를 모의한 하얼빈 조린 공원에서 동료들과 함께 사진을 찍던 곳, 그리고 5일간 지냈던 동포 김성백의 집, 이어 하얼빈 역 그리고 144일의 수감 생활 후 사형을 당했던 뤼순 감옥까지. <1박2일>은 1909년에서 1910년까지 안중근 의사의 행적을 따라갔다.

서른 살 청년 안중근으로 되살아 난 안중근 의사

예능프로그램이라는 정체성을 놓치지 않기 위해 중간중간 퀴즈도 풀고, 안중근 의사처럼 휘호도 써보기도 했다. 하지만 조린 공원 모의에서 이토 히로부미 저격 시간이 다가올수록, 멤버들의 얼굴에선 웃음기가 사라졌다.

대신 멤버 중 막내인 정준영보다 겨우 몇 살 많을 뿐인 서른 살의 안중근, 역사책의 몇 줄로 남겨진 박제된 위인 안중근이 아닌 살아 숨 쉬는 청년 안중근을 느낄 수 있었다.

책에 쓰여 있는 글을 통해 상상하는 역사와 현장에서 느끼는 역사의 느낌은 다르다. 그게 바로 유적 답사의 참 맛이다. 그리고 혹한기 특집을 빙자해 하얼빈으로 날아간 <1박2일>은 제대로 안중근 의사 유적 답사를 해냈다.

낯선 이국땅 그곳에서 만난 안중근 의사의 단지 된 손이 새겨진 기념비에서 멤버들은 예능 이상의 감회를 느끼기 시작했다. 멤버들을 조린 공원으로 데리고 간 제작진은 과연 그곳에서 무엇을 했겠느냔 질문에서 시작해 사진관으로 가서 안중근을 비롯한 당시 거사를 도모했던 분들의 나이를 되짚게 했다. 그렇게 멤버들은 그저 막연히 역사적인 거사를 했던 위인으로만 알았던 분이, 되짚어 보니 겨우 서른 살의 청년이었음을 깨닫게 된 멤버들은 100년의 역사를 거슬러 청년 안중근을 만났다.

 <1박2일> 멤버들은 하얼빈에서 역사 속 위인 안중근이 아닌 청년 안중근을 만났다.

<1박2일> 멤버들은 하얼빈에서 역사 속 위인 안중근이 아닌 청년 안중근을 만났다. ⓒ KBS


그렇게 멤버들은 안중근 의사의 행적을 따라 5일간 머물던 동포의 집에서 저격을 앞둔 심정을 헤아렸다. 그리고 그때 지은 '때가 영웅을 만들고, 영웅이 때를 만든다'는 장부가를 통해 흔들림이 없던 안중근 의사의 신념에 새삼 감동을 한다. 흔들림이 없던 안중근 의사의 거사가 실은 먼저 준비하고 기다렸던 동지들을 대신했던 방비책이었다는 우리가 몰랐던 역사의 우연도 배울 수 있었다. 조선 식민 지배 밀사 자격으로 하얼빈을 방문했던 이토 히로부미의 숨겨진 임무를 통해 왜 이토를 저격했는지에 대한 역사적 이유도 살폈다.

<1박2일>은 어쩌면 우리에겐 너무 당연하고 뻔한 역사책의 몇 줄이 되어버린 안중근 의사의 거사가 당시 전 세계 신문을 장식한 세계사적 사건이었음을 알렸다. 중국이 하얼빈 역에 특별히 안중근 의사 기념관은 물론, 안 의사가 투옥되었던 뤼순 감옥, 조린 공원 등에 안 의사의 생생한 기록을 고스란히 남겨둘 정도로 말이다.

그렇게 하얼빈 특집은 위인 안중근을 독립을 향한 흔들림 없는 신념으로 죽음을 향해 뚜벅뚜벅 나간 젊은이, 청년 안중근으로 불러온다. 안 의사의 유적지에서 소회를 밝힌 멤버들의 감상을 통해 청년 안중근의 고뇌와 신념을 역설적으로 더 짙게 짚어볼 수 있었다. 매장됐는지 확인조차 할 수 없는 뤼순 감옥 공동묘지에서 결국 울컥하고만 차태현의 눈물에서 두 아이의 아버지이자, 남편, 그리고 누군가의 아들이었던 안중근 의사의 생애를 절절하게 공감할 수 있었다.

<1박2일>은 조국을 삼킨 적의 우두머리를 저격해 독립을 앞당기겠다는 열의 하나로 하얼빈으로 향했던 청년 안중근의 행적을 되짚어 봄으로써, 비극의 시대에 한 젊은이가 내린 결단을 더욱 묵직하게 느낄 수 있었다.

현실의 참회록 된 하얼빈 특집

 <1박2일>은 독립을 향한 열의 하나로 하얼빈으로 향했던 청년 안중근의 행적을 되짚었다.

<1박2일>은 독립을 향한 열의 하나로 하얼빈으로 향했던 청년 안중근의 행적을 되짚었다. ⓒ KBS


더욱이 그저 딱딱한 연표로만 만났던 한일 한방을 앞둔 시기의 격동의 역사가, 안중근과 그 동지들의 거사와 그를 둘러싼 러시아, 중국, 일본 열강의 움직임을 통해 생생한 사건으로 옮겨졌다. 당시 하얼빈 역의 상황을 삽화와 CG를 통해 현실감 있게 복원함으로써, 당연한 거사가 아닌, 일촉즉발의 선택, 그 역사적 한 수를 절묘하게 공감할 수 있게 만들었다.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의 행적을 짚어보겠다고 했을 때 멤버들이 우스갯소리로 서로 억지 감동이나 눈물을 보이면 안 된다고 지레 설레발을 떨었지만, 막상 역사의 현장에서 멤버들이 보였던 공감과 감동 그리고 눈물은 결코 '예능적 리액션'으로 보이지 않았다.

타국의 애국지사를 위해 기념관을 만들고, 그의 유적을 고스란히 남겨둔 중국 정부의 배려에서 굳이 부연 설명을 덧붙이지 않았음에도 소녀상조차 자리를 보전하기 힘든 우리의 현실이 겹쳤다. 무엇보다 독립된 고국으로 이장해달라는, 그리고 동양 삼국이 서로 협력하여 평화를 이루라는 유언이 서로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없는 현실에서, 역사에 대한 참회는 묵직해졌다.

역사 공부가 단지 대학을 가기 위한 도구가 된 현실, 역사 교과서를 둘러싼 각종 논쟁이 이는 현실에서, <1박2일> 하얼빈 특집은 추위의 혹한기 특집이 아니라, 냉혹한 현실의 혹한기 속에서 위인의 참모습을 찾아보는 단련의 시간이 되었다.

<무한도전>을 통해 교과서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역사를 배우고, <1박2일>을 통해 몇 줄로 박제된 위인의 생생한 유적을 답사하는 현실.

예능이 역사 교육까지 맡은 현실은 예능의 새로운 지평일까, 갑갑한 현실에 대한 예능의 도전일까? 그 어느 때보다도 감동을 주었던 하얼빈 특집은 역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박제화된 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귀결됐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1박2일 안중근 하얼빈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