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장수상회>에서 70살 연애초보 성칠 역의 배우 박근형이 30일 오후 서울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오마이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영화<장수상회>에서 70살 연애초보 성칠 역의 배우 박근형이 30일 오후 서울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오마이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이정민


최근 배우 박근형은 50여년의 연기 인생에서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근엄함과 묵직함의 대명사였던 그가 tvN 예능 <꽃보다 할배>를 통해 대중에게 한껏 다가섰다. 드라마에서도 주·조연 가리지 않고 역할을 소화하며 남다른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영화 <장수상회>에서 박근형은 성칠 역을 맡았다. 그 스스로 말하듯 "나와 가장 다른 인물"이면서 동시에 "지금 시대에 의미를 던질 수 있는 인물"이다. 독거노인으로 동네 이웃들에게 그 흔한 미소조차 보내지 않는 꼬장꼬장한 성칠이 이웃집으로 이사 온 금님(윤여정 분)에게 마음을 열면서 벌어지는 온갖 사건들이 깊은 울림을 준다.

한 여인을 사랑했네?...더 큰 의미 담아낸 <장수상회>

애초 박근형은 <장수상회>의 결말이 좀 더 비극이길 원했다고 한다. 개봉 직전(오는 9일 개봉)이라 이야기 속 반전을 공개하지 못하는 것에 답답함을 표하면서 박근형은 "성칠이 좀 더 처참하게 부서졌어야 하는데 희망을 제시했다"며 "하지만 이것도 나름 좋은 거 같다"고 말했다.

"흔히 동네에서 보이는 호랑이 할배지! 내 모습과는 상반되지만 이야기로 보면 반드시 필요한 인물이기도 해요. 제가 많은 작품을 했지만 영화에서 연극적 표현을 한 게 <장수상회>가 처음입니다. TV드라마로는 <추적자>가 최초였고요. 그동안엔 순발력을 믿고 과장된 표현을 좀 했어요. 흔히들 드라마는 작가의 예술, 영화은 감독의 예술, 연극은 배우의 에술이라고 하는데 배우 입장에선 연극적 표현을 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영화의 중심 캐릭터인 성칠과 금님을 통해 박근형은 세대 간 이해를 말하고 싶었단다. 혼자 사는 노인들, 이혼한 자식들, 불우한 청소년기를 보낸 이웃 등 파편화된 인물들이 <장수상회>에 유독 많이 등장하는 걸 보며 박근형은 "노인 입장에선 젊은 세대들의 이해를 바라면서도 무엇을 준비해야 하고 어떻게 마음을 열어야 하는지 편지를 쓰는 심정이었다"고 강조했다. 말이 아닌 글로 마음을 한 글자씩 꾹꾹 눌러쓰는 감정을 연기에 고스란히 담았다고 이해할 수 있겠다.

 <장수상회>의 한 장면. 금님과 성칠

<장수상회>의 한 장면. 금님과 성칠 ⓒ CJ 엔터테인먼트


"가족으로부터 떨어지면 노인은 얼마나 불안하겠어요? 그 마음을 표현했습니다. 내가 아는 감정과 이야기를 차분히 전해야지, 무조건 몰라준다며 늙은이가 행패를 부리면 안 돼요. 젊은 세대 문화를 부정하지 말고 그 속으로 들어가야 해요. 나도 인터넷 검색 정도는 할 줄 압니다(웃음). 내 고향이 전라북도 정읍인데 거기에 모임을 만들었어요. 거기 오는 사람들이 40, 50대 애들이에요. 같이 운동도 하고 그래. 그러면서 어울리는 거지요.

뉴스를 보면 고독사다, 뭐다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건 외로워서만 벌어지는 게 아닌 사회 구조 문제라고 봅니다. 교육도 문제고요. 하나의 원인만 있는 건 아니에요. 같이 놀고 모여서 얘기하는 수밖에 없어요. 인문학의 실종 시대라고들 하는데 결국 교육으로 이루는 게 가장 빠른 해결책이죠. 구청이나 동네 회관 등에서 노인들 대상으로 춤도 가르치고 그러는데 일단 그런 게 하나씩 늘어나고 거기에 더해 토론도 좀 하고 교육도 해주면 좋겠어요."

"노인은 그 나라의 훌륭한 인적 자원"

언론 시사 때도 잠시 언급했던 말이지만 박근형은 한국 사회가 노인이라는 훌륭한 자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쓸모 없는 사람들로 치부하는 게 문제라는 의식을 갖고 있었다. 당장 영화나 드라마에서 중년 이상의 연기자들이 점점 사라지고, 젊은 배우 중심의 트렌드 드라마가 나오는 현실이 그렇다. 박근형은 "지금의 60, 70대 배우들이 대부분 한국 연극의 변천사의 한 가운데 있던 사람들"이라며 "그들의 장점을 취사선택하면 될 텐데 그러지 못하는 현실이 아쉽다"고 토로했다.

"신파극, 신극, 동인지 상업극으로 넘어가는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에요. 그들이 1970년대에 번역극부터 창작극까지 다양하게 작업했죠. 이게 다양성이 아니고 뭐겠습니까. 언제부턴가 뿌리 없는 콘텐츠가 생기고 있어요. 한류 스타도 좋은데 과연 그들의 뿌리는 무엇일까요. 타이밍이 묘하게 왔어요. 내 어깨가 무겁습니다. <장수상회>도 그렇지만 노년과 청년들이 함께 볼 수 있는 작품이 나와서 가족의 사랑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영화<장수상회>에서 70살 연애초보 성칠 역의 배우 박근형이 30일 오후 서울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오마이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이정민


단순히 연기 경력이 오래돼서 하는 이야기는 아니었다. 그 역시 연기에 대한 양가감정을 느끼며 청춘을 보내왔다. 열아홉에 연극을 처음 시작했지만 너무 힘들고 재능에서도 한계를 느껴 대학 학부생 때는 연출을 전공(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1기)했다. 조연출로 몇 작품에 참여해오다 배우 최종원의 대타로 대학 연극 무대에 서면서 지금까지 외길을 걸어왔다.

"그때 진짜 고민 많이 했죠! 공연 2일 전까지 고심했어요"라며 박근형이 당시를 회상했다. 당대 언론에서는 중앙대의 박근형과 고려대의 여운계를 두고 '장차 연극계를 이끌 신예'로 평가하기도 했다. 

"대학 연극의 장점이 컸죠. 어떤 작품을 갖다 놔도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었으니. 내가 맡은 역이 <베니스의 상인> 샤일록이었는데 그전까지 전혀 볼 수 없던 샤일록을 표현했어요. 그런 게 연기에서의 기반이 됐죠. 제가 1960년 후반에 TV에 등장했고, 영화를 하다가 다시 연극도 했는데 그때 경험으로 사람을 기반으로 한 역할 창조는 자신 있게 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 스승을 만난 덕도 있어요. 나소운 선생에겐 연기 이론을, 이근삼 선생에겐 무대 동작을, 이해랑 선생에겐 섬세함을 배웠죠."

좋은 스승과 동료들에게 박근형이 배운 가장 큰 가르침은 '사람을 중시하고 우선 사람이 되어라'였다. "어느 학원, 강의실을 가도 그 표어가 있었다"면서 박근형은 "모든 문화는 결국 사람으로 귀결되는 만큼 사람을 잘 이해하라는 뜻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근형에겐 소박한 꿈이 있다. 지금의 경력과 연륜에 대학 강단 의뢰도 가끔 들어온다지만 그는 귀향해서 꿈을 가진 어린 친구들을 위한 서원을 차리고 싶어 했다. "서당 같이 차려서 십 여 명 정도 데리고 국수도 끓여 먹고 배우와 작가 이야기를 하고 싶다"며 박근형은 "꼭 서울에서 성공해야 하나, 좋은 문화유산이 지방에도 많으니 그 씨앗을 키우고 싶다. 아이들의 취미를 키워서 의미 있는 일을 하도록 돕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꼬장한 노인 성칠이 아닌 진정 세대의 소통을 갈망하는 배우 박근형의 본심이었다.

  영화<장수상회>에서 70살 연애초보 성칠 역의 배우 박근형이 30일 오후 서울 팔판동의 한 카페에서 오마이스타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 이정민



박근형 장수상회 윤여정 강제규 꽃보다 할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