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벌통에서 한 칸을 꺼내 보여주고 있다. 안전을 위해 보호망은 필수
 벌통에서 한 칸을 꺼내 보여주고 있다. 안전을 위해 보호망은 필수
ⓒ 김지형

관련사진보기


벌을 키우고 꿀을 따는 양봉을 떠올리면 흔히 시골집이나 산 중턱에 늘어선 벌통이 먼저 떠오른다. 그런데 도시 한가운데서 양봉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름하여 도시 양봉. 아직은 많은 이에게 낯선 풍경이지만, 갈수록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급속히 늘고 있다. 시쳇말로 '요즘 뜨는' 취미 생활이다.

도시에서 양봉을?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에 살고 있는 차상륜씨(47)도 3년째 집에서 꿀벌을 키우는 도시 양봉가다. 집을 들어서면 마당 한쪽을 벌통이 점령하고 있다. 한 통에 평균 1만 5천 마리에서 2만 마리가 살고 있으니 어림잡아도 10만 마리 이상의 벌을 거느린 대식구의 가장인 셈이다.

"처음 시작할 때는 한 통으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5통을 키우고 있어요. 더 늘릴 수도 있지만 손이 많이 가다 보니 직장 다니면서 그 이상은 무리가 있더라고요.

호기심에서 시작했는데 지금은 생활의 일부가 됐습니다. 신경 써줘야 하는 게 많아 늘 바쁘지만 벌들을 보살피다 보면 재미도 있고 특히 꿀을 딸 때면 보람도 있죠."

차씨는 양봉을 하기 전 농지도 가꿨다. 인근에 500평 가량의 농지에 다양한 작물도 가꾸고 있는데 주말이면 주로 밭에 가 있는 시간이 많다고 한다. 도시 농업과 도시 양봉을 동시에 하고 있는 셈이다. 그는 어릴 때부터 직접 무언가를 키우는데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마당에 늘어선 벌통들
 마당에 늘어선 벌통들
ⓒ 김지형

관련사진보기


"텃밭을 하다 보니 자연스레 벌에도 관심이 가더라고요. 처음엔 좀 시행착오도 겪고 쉽지 않았지만 이젠 좀 익숙해졌어요. 다만 벌을 키우고 텃밭도 가꾸다 보니 주말도 없고 다른 취미 생활은 엄두도 못 냅니다."

특히 그는 중년에 접어 들면서 아이들도 웬만큼 자라 신경을 덜 쓰게 돼 본격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취미로 하다 보니 재미가 쏠쏠하다고 전했다. 차씨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다며 한 번쯤 도전해보기를 권했다. 초보자들이 하기에 어려울 것 같다고 하니 직접 부딪혀 보면 다 할 수 있다며 처음 하는 분들에게는 노하우도 전하고 싶다고 했다.

언뜻 도시에서 양봉이 잘 될까 싶기도 한데 실제로는 농촌보다 도시가 양봉에 더 적당하다고 한다. 벌에게는 건조하고 따뜻한 기후가 좋은데 그런 점에서 시골보다 도시가 더 맞춤인 것이다. 게다가 단일 작물이 많은 농촌에 비해 도시는 주변의 식물종이 다양해 먹이도 충분해서 도움이 된다고 한다. 도시에 꽃이 어디 있냐, 싶을 수 있지만 벌들의 활동 반경이 대략 2km정도나 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단다.

도시 양봉을 하려면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벌통을 놓고 키울 수 있는 공간이다. 마당이 있다면 좋겠지만 아니라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다음으로는 벌통을 비롯해 꿀을 내리는 장비까지 관련 물품도 제법 필요하다. 또한 벌을 키우는 과정에서 필요한 소모품까지 포함하면 시작할 때 준비할 것들이 적지 않다.

마당에서 벌을 키우고 있는 도시양봉가 차상륜씨, 보호망을 쓰고 있던터라 땀이 송글송글 맺혀있다.
 마당에서 벌을 키우고 있는 도시양봉가 차상륜씨, 보호망을 쓰고 있던터라 땀이 송글송글 맺혀있다.
ⓒ 김지형

관련사진보기


물론 처음 시작하면 벌도 분양 받아와야 한다. 공간 마련을 제외하고 대략 제반 비용이 전체적으로 약 200만 원 가까이 든다고 한다. 벌통이 늘어나면 또 늘어나는 비용이 생긴다. 취미 생활로 보기에 적지 않은 금액이다. 하지만 양봉이라는 특성상 꿀을 따면 이 비용이 상당 부분 상쇄 된다고 한다.

"처음엔 좀 금전적으로 부담이 되는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상당수의 물품은 장기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꿀을 따서 일부라도 팔게 되면 어느 정도 수입이 생기니 부담은 크게 느끼지 않아도 됩니다."

실제로 1통의 벌통에서 대략 연간 17병 가량의 꿀을 딸 수 있다고 한다. 요즘 시세로 1병에 4만 원 정도 된다고 하니 전부는 아니지만 소모품 비용을 제외하더라도 적지 않은 비용이 상쇄되는 셈이다. 마당에 있는 벌통을 열어 보니 그야 말로 장관이었다.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벌들이 모여 있었다.

처음 벌을 구경하고 싶다고 연락했을 때는 좀 부담스러워하지 않을까 했는데, 벌통의 벌들을 보여주면서 그의 표정이 더 밝아졌다. 자신만의 보물을 자랑하는 느낌이 아닐까 싶었다. 5통의 벌통마다 여왕벌도 한 마리씩 자리잡고 있었다. 다가오는 겨울을 준비하느라 벌들은 여름 만큼 바쁜 모습이었다. 새롭게 벌집도 짓고 새끼도 낳느라 분주하기 그지없었다.

환경 지표 생물... 토종벌 지켜내야

여왕벌 주위에 모여있는 벌들, 가운데 다른 모양의 벌이 여왕벌이다
 여왕벌 주위에 모여있는 벌들, 가운데 다른 모양의 벌이 여왕벌이다
ⓒ 김지형

관련사진보기


도시 양봉이 아직은 우리에게 생소한게 사실이다. 따지고 보면 그 역사도 그리 길지는 않다. 하지만 이미 서울의 경우 도시양봉협동조합이 생겼을 정도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서울시와 각 자치구에서는 양봉 체험장 설치가 붐이 되고 있다. 특히 벌이 가지는 생태 환경적 가치로 지자체를 비롯해 많은 분야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외의 경우 6~7년 전부터 도시양봉 붐이 일고 있는데 런던의 경우 옥상 양봉이 각광받으면서 3200여 개에 이르는 벌통이 있다고 한다. 뉴욕의 경우 도시에서 양봉을 금지 하고 있던 법까지 개정해 벌을 키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벌을 흔히 환경 지표 생물이라고 한다. 벌이 잘 살 수 있는 환경이라야 사람도 잘 살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벌의 생태가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몇 해 전에는 우리나라 토종벌들의 90%가 괴사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벌이 줄어들면 각종 농작물의 수분이 이루어지지 않아 농업 생산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 인간의 생존을 위해서라도 벌은 제대로 잘 가꾸고 키워나가야 하는 운명 공동체인 것이다.

집에 마당이 없거나 인근에서 공간을 마련하기 힘든 이들은 전문 양봉단지에 가서 분양을 받아서 체험해 볼 수도 있다. 대구의 경우 가까운 경산에 벌통을 분양해주는 곳이 있다. 일정 금액을 내고 분양을 받으면 시간 날 때 가서 체험과 관리를 해볼 수 있다. 일상적인 관리는 전문가가 도와준다. 물론 꿀도 딸 수 있다.

선물받은 꿀병,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최고의 꿀이다
 선물받은 꿀병,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최고의 꿀이다
ⓒ 김지형

관련사진보기


벌 구경을 마치고 집안으로 따라 들어가니 주인장이 내주는 꿀을 맛볼 수 있었다. 그야말로 제대로 된 꿀맛이었다. 일반적으로 벌을 키울때 병 때문에 항생제도 사용한다고 하는데 차씨는 일체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물론 그만큼 신경을 더 써줘야 한다. 다음번엔 텃밭에도 함께 동행하기로 하고 발걸음을 돌렸다. 입가에 남은 꿀 향기를 맡으며 꼭 직접 한번 도전해 봐야겠다고 다짐했다.

덧붙이는 글 | 본 기사는 대구 북구의 강북인터넷뉴스(www.kbinews.com)에 함께 실렸습니다.



태그:#도시양봉, #꿀벌, #벌, #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구에 살고 있는 두아이의 아빠, 세상과 마을에 관심이 많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