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은 8일 오후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사립초중고교 사학재단 이사장들에게 통일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은 8일 오후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사립초중고교 사학재단 이사장들에게 통일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 이창열

관련사진보기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명예이사장은 자신이 최근 중국에서 개최된 한 회의에서 "북한이 어려워지면 우리(남한)가 (북한으로) 올라가겠다. (중국) 너희들은 절대 압록강을 넘어오지 말라"고 말한 바 있다고 밝혔다.

박 명예이사장은 지난 8일 오후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사학경영인 세미나에 참석, 최근 중국에서 개최된 한 회의에서 중국 학자들과 공무원들에게 이같이 말했다고 전했다.

박 명예이사장의 이 같은 발언은 북한에 급변사태가 발생하면 북진통일도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박 명예이사장의 강경 통일관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박 명예이사장은 "한반도 통일의 문제와 선진화의 문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며 "선진국이 될 정도의 국력을 가졌을 때 통일의 시대를 열 수 있고, 반대로 통일의 시대를 열어야만 선진화를 완성활 수 있다"고 통일의 필요성을 강조헀다.

박 명예이사장은 분단이 지속되면 북한이 '제2의 티베트'와 '제2의 만주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 나진선봉과 청진과 같은 곳에서 중국의 상선이 출현할 것이고 동해와 대한해협을 따라 이동하는 중국 상선을 중국 군함이 호위하게 될 수도 있다"며 "그러면 일본의 재무장은 필연적이 될 것이다. 일본이 핵개발을 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그는 통일비용에 대해서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한국정부가 가지고 있는 식량재고만으로도 북한 전 주민을 5~6개월 정도 먹여 살릴 수 있고, 북한 투자금의 55~60% 가량은 해외 자금으로 조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박 명예이사장은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이) 과거사를 반성하든 안 하든 말든 신경 안 쓴다. 새로운 신뢰관계가 등장할 수 있고, 후손들이 과거사를 풀기에 훨씬 쉬울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승만 대통령 동상이 남산에 없다. 김구와 이시영만 있다"며 "이승만의 공은 9고, 1이 과일 것이다, 이런 식으로 역사를 가르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 명예이사장은 이날 '통일이냐 분단이냐? - 한반도 통일은 축복이다'를 주제로 1시간여 동안 강연했다. 강연에는 초중고교 사학재단 이사장과 교장 등 1000여 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박 명예이사장은 서울대 법대 교수 출신으로 YS정권의 청와대에서는 정책기획수석을 역임했다. 이후 17대 국회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정치에 입문해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교육희망>에도 함께 싣습니다.



태그:#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민기자입니다. 교육 분야에 관심이 많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