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층계식으로 높아지면서 건물을 지은 윤영채 가옥. 아마도 방을 나눌 수 이곳이 명당이라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듯하다
▲ 안채 층계식으로 높아지면서 건물을 지은 윤영채 가옥. 아마도 방을 나눌 수 이곳이 명당이라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듯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북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에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17호인 윤영채 가옥이 자리하고 있다. 5월 22일 찾아간 집은, 일반적인 고택에서 보이는 모습과는 영 딴판이다. 집의 구조가 일반 양반집이나 민초들의 형태가 아닌 특이한 형태로 꾸며져 있다. 집을 돌아보면서 느낀 것은, 많은 고택을 나름대로 보아왔다고 생각했는데 생소한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이 집은 원래 사람이 살림을 하기 위해 지은 집은 아니었다. 현재 안채와 중문채, 문간채를 겸한 사랑채 등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튼 'ㅁ' 자 형태로 꾸며져 있다. 이 집은 원래 남원을 '방(坊)'이라는 작은 행정구역으로 나누면서 48개의 방을 조성했는데, 그 중 '이언방(伊彦坊)'에 속하였던 곳이다. 이언방이란 아마도 선비들이 많이 살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윤영채 가옥의 대문의 안. 좌측으로는 한 칸의 광이 있고, 우측으로는 방을 두었다
▲ 대문 윤영채 가옥의 대문의 안. 좌측으로는 한 칸의 광이 있고, 우측으로는 방을 두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대문채의 한편을 방과 툇마루로 꾸며 사랑채를 구성했다. 후에 붙여지은 것으로 보인다.
▲ 사랑채 대문채의 한편을 방과 툇마루로 꾸며 사랑채를 구성했다. 후에 붙여지은 것으로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48방 중 최고의 명당에 자리해

이 이언방에 선비들이 많이 살고 있었다는 것은, 바로 옆에 서원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아 알 수 있다. 이 집은 중종 6년인 1511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돼, 500년이 지난 유서 깊은 집이다. 이 이언방은 48방 중 가장 명당에 속한다고 한다. 이 건물은 이언방이라는 마을에 있던 집으로 '동대(東臺)'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아, 관청의 한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일설에는 이 건물이 남원 수령의 별장이었다고도 한다. 건물은 중앙에 안채인 듯한 세 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편에 부속건물을 붙여지었다. 현재는 개인 소유로 되어있는 이 집은, 그 형태가 남다르다. 우선은 집의 전체적인 구성은 일반적인 고택과 그리 큰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아마도 중간에 살림집으로 개조를 하면서 약간의 형태가 달라진 듯하다.

중문은 막힌 담장 안에 자리하고 있어, 이 대문채가 개조를 했거나 후에 살림집으로 만들면서 고친 것으로 추정된다
▲ 중문 중문은 막힌 담장 안에 자리하고 있어, 이 대문채가 개조를 했거나 후에 살림집으로 만들면서 고친 것으로 추정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중문 안으로 들어서면 한 칸의 방이 있고, 옆으로는 공간을 두고 다시 방을 한 단을 높여 드렸다
▲ 중문채 중문 안으로 들어서면 한 칸의 방이 있고, 옆으로는 공간을 두고 다시 방을 한 단을 높여 드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체적인 구성으로 볼 때 현재의 문간채에 붙은 사랑채는 후에 다시 붙어 지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청의 옆에 붙은 날개채 역시 근자에 들어서 사람이 살림을 할 수 있도록 고쳐지은 것으로 보인다.

안채와 행랑채 사이에 높임마루가

윤영채 가옥의 사랑채는 후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대문을 마주하고 좌측으로는 방으로 꾸몄다. 그리고 그 끝에는 판자문을 달아낸 툇마루를 두고 있다. 이 사랑채를 나중에 꾸몄다는 것은 집의 구조로 보아 알 수 있다. 낮게 막힌 담이 사랑채에 연결이 되어있는데, 그 안에 중문이 자리하고 있다. 현재 이 중문은 안채의 뒷마당으로 출입을 할 수 있는 문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안채의 건넌방과 행랑채 사이에는 높임마루를 두었다. 마루 밑으로는 아궁이에 불을 땔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높임마루 안채의 건넌방과 행랑채 사이에는 높임마루를 두었다. 마루 밑으로는 아궁이에 불을 땔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채와 행랑채 사이에 있는 높임마루. 누마루를 깐 마루 뒤편으로 팥자문을 내어 정자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 높임마루 안채와 행랑채 사이에 있는 높임마루. 누마루를 깐 마루 뒤편으로 팥자문을 내어 정자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중문을 들어서면 우측으로 방이 한 칸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옆으로 사이를 두고 한 층이 높은 방 두 개가 나란히 붙어있다. 이 중문에서 대청까지는 모두 세 단으로 높아진다. 두 개의 방과 안채 건넌방 사이에는 높임마루가 있다. 일반적인 높임마루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뒤로는 벽을 막아 판문을 달고, 마루 밑으로는 아궁이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어느 집에서도 찾아보기가 힘들다. 아마도 이 집의 특성상 자연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듯하다. 이곳이 명당이기 때문에 지형을 건들이지 않고, 그대로 지형에 맞게 축조한 것이란 생각이다.

세 칸 넓은 대청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뒤로는 넓은 판자문을 달아냈다. 옛 동헌이라고 전한다
▲ 대청 세 칸 넓은 대청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뒤로는 넓은 판자문을 달아냈다. 옛 동헌이라고 전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대청에 달린 날개채에 마련한 부엌과 안방. 층계식으로 꾸며진 것을 알 수가 있다
▲ 부엌 대청에 달린 날개채에 마련한 부엌과 안방. 층계식으로 꾸며진 것을 알 수가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활주조차 색다른 윤영채 가옥

넓은 대청은 아무런 장식이 없다. 관청의 동헌을 보는 듯하다. 뒤로는 세 칸 모두 판문을 시원하게 달아냈으며, 마주보고 우측으로 부엌과 안방, 윗방이 자리하고 있다. 사람이 살림을 하기 위해 꾸민 집이 아니라는 것은 한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그런 집을 후에 살림을 할 수 있도록 여기저기 개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부엌의 바깥 지붕은 따로 주추를 놓지 않고, 기둥에 기대어 건물 주추위에 올려놓았다. 윗방의 뒤편에는 벽을 돌출시켜 다락의 용도로 사용했다. 전체적인 집의 모습은 예전과 달라졌다고 하지만, 중문채와 안채의 사이에 특이한 형태의 높임마루와, 지형을 그대로 이용한 꾸밈새 등이 특이하다. 옛 고택은 아무리 돌아보아도 새로운 것은, 바로 이런 색다른 모습을 보는 재미가 있기 때문이다.

주추를 따로 사용하지 않고 굽어진 나무를 이용해 건물 주추를 사용했다
▲ 활주 주추를 따로 사용하지 않고 굽어진 나무를 이용해 건물 주추를 사용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티스토리 '바람이 머무는 곳'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윤영채 가옥, #이언방, #문화재자료, #남원, #동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