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6일 천안함 침몰 원인 1차 조사결과 발표 때, 민군합동조사단(아래 합조단)은 외부 폭발에 의해 천안함이 두 동강났을 것이라고 잠정결론을 내렸다.

 

어뢰나 기뢰 등 외부폭발을 일으켰을 폭발물에 대해선 특정하지 않았지만 합조단은 인양된 함미의 손상 모습으로 볼 때 '버블제트'(물 충격파)에 의한 침몰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폭발 흔적이나 화약 냄새 없어... 버블제트 어뢰?

 

이날 1차조사 결과를 발표한 윤덕용 합조단 공동단장은 "천안함 왼쪽 흘수선 아래 수중에서 터진 것 같다"며 "폭발력이 왼쪽으로 들어가서 오른쪽으로 나와 오른쪽이 열려 있다"고 말했다. 천안함 함미 갑판쪽 절단면의 오른쪽이 왼쪽보다 더 많이 바깥쪽으로 휘어있는 것이 합조단이 이런 판단을 내린 근거라는 것이다. 수중폭발 때 생긴 물 충격파가 천안함 왼쪽 함체 철판을 내부로 밀어 넣으며 위쪽으로 치솟은 뒤 오른쪽으로 분출했을 것이라는 추정이다.

 

이런 형태의 외부충격은 기뢰나 어뢰에 의해 모두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하지만 목표물에 직접 부딪쳐서 폭발을 일으키는 직격어뢰의 경우 함체 부위에 구멍(파공)이 생겨야 하지만 천안함 함미에서 이런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 기뢰의 경우에는 함정 바닥(함저) 부분에서 폭발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천안함은 흘수선(선체에서 해수면 아래로 잠기는 부분) 아래 왼쪽 하단부에서 폭발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 일단 합조단은 기뢰보다는 어뢰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또 파손부위에서 화약 등 폭발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점, 생존 장병들이 화약 냄새를 맡지 못했다고 증언하고 있는 점, 어뢰에 의해 직격됐을 때는 함체에 구멍을 내고 함 내부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파손 부위가 지금보다 훨씬 더 심하게 손상되었을 것이라는 점 등이 버블제트 어뢰에 힘이 실리고 있는 방증이다.

 

물기둥 목격자나 고막 손상자 없어... 의문점 여전

 

그렇지만 버블제트 어뢰로도 설명이 되지 않는 부분들도 여전히 남아 있다.

 

버블제트 어뢰의 가장 큰 특성이 작게는 수십m에서 크게는 100m 이상의 물기둥이 솟는다는 점인데 사고 당시 천안함의 견시병 들은 물기둥을 보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또 생존 장병들 가운데 바닷물을 뒤집어썼다고 증언한 사람도 없다.

 

또 일반적으로 버블제트는 함체의 바닥 부분에서 수직 방향으로 치솟는 형태이지만, 천안함의 경우에는 폭발력이 왼쪽 흘수선 아래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오른쪽 위쪽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도 의문으로 남는다.

 

끝으로 생존 장병들 중 고막 등 이비인후과적인 손상을 입은 사람이 없다는 것도 버블제트 어뢰의 가능성을 의심케 하는 대목이다. 버블제트 같이 배를 두 동강 낼 정도의 엄청난 위력을 가진 압력파가 발생했다면 생존자들 중에서도 다수가 고막에 상처를 입을 수 있는데 그런 흔적이 없다는 것이다.


태그:#초계함 침몰, #천안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